한글 논어 - 시대를 초월한 삶의 교과서를 한글로 만나다 한글 사서 시리즈
신창호 지음 / 판미동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다닐적에 교과서에서 자주 만나는 게 공자의 '논어'였다. 수업시간에 만났던 공자의 말들은 고리타분하고 지루하기 짝이 없었다. 그저 시험에 나올까 싶어 달달 외우는 정도였다. 그때 배웠던 공자의 논어와 공자의 제자들의 이름이 아직까지도 자세하게 기억되는 걸 보면, 그때 달달 외웠던게 이토록 오래가는 가 싶어 학창시절에 공부했던 게 평생을 가는구나 싶다. 지금 생각해보면, 아마도 공자의 말씀들이 다 한자이기때문에 더 어렵고 고리타분하게 느껴지지 않았을까 싶다. 몇 년전부터 공자의 '논어'를 읽어야지, 읽어보아야겠다고 생각을 하고 있었고, 구입해야지 하고 리스트에 넣어놓기도 했었는데 다른 문학서적들에 항상 밀리곤 했었다.

 

그러다가 이번에 인문학자인 고려대학교 신창호 교수가 한글로 쉽게 풀어낸 『한글 논어』가 출간된 것을 보고 이번 기회에 꼭 읽어야 겠구나 다짐을 했다. 그러고 내게 온 『한글 논어』이다. 일단 한자를 어느 정도 알고 있기는 하지만, 모르는 한자들은 일일이 찾아 읽어봐야하는 '논어'에서 한글로 풀어 쓴 『한글 논어』는 아주 읽기 싶고, 받아들이기 쉬웠다. 사실 한자가 쓰여져 있으면 미리부터 읽기 싫은 경우는 있잖은가.

 

 

논어가 소설처럼 읽히는구나, 하면서 읽었다.

일단 한글로 되어 있어서 읽기 쉽고, 막힘이 없을 뿐더러 그 뜻을 이해하기가 쉬웠다. 이번에 『한글 논어』를 읽으면서 느낀건데, 우리가 지금에서도 왜 고전을 읽는지, 고전에 있는 말들에 감동을 받는지 깨닫게 되는 시간이 되었다. 사실 직장생활이나 친구들간의 사이에서도 자주 보는 사이는 매일 좋을수만은 없다. 자주 보는 사이일수록 농담삼아 하는 이야기에도 상대방은 상처를 받기도 하는데 정작 말을 건넨 사람은 잘 모르기도 한다. 하지만 나중에야 그 사람이 내가 하는 말에 상처를 받았다는 걸 알고는 조심해야지 생각하는 경우도 꽤 있다.

 

 

상대방을 진짜 생각하는 거라면 충고를 해야 할까? 그냥 두고 봐야 할까? 나 같은 경우, 잘 모르는 사람에게는 충고를 건네지도 않는다. 하지만 내가 마음에 두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런저런 말을 많이 해주는데, 막상 그 충고를 받는 사람은 기분이 좋을수만은 없는 것이 사실이다. 두세 번까지 말을 했어도 그 사람이 듣지 않는 경우, 내 말에 기분 나빠할 경우에는 포기해버리는 게 내 성격이기도 하다. 상대방은 고칠 마음이 없으므로. 내가 하는 말에 기분만 나빠하므로.

 

 

 

역시나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말에, 다시 되새기고 싶어 포스트잇을 많이 붙여놓으며 읽었는데, 친구들이 하는 단체톡에 공자의 말씀을 적어주기도 하고, 진짜 맞는 말이구나 마음에 새겨야겠다 하는 말들이 많았다.

 

 

충고를 토해 잘 인도해 주되 충고를 듣지 않으면 그만두어라. 지나치게 충고하여 욕을 보는 일이 없어야 한다. (310페이지, '안연' 편)

 

벗과 벗 사이의 사귐에 있어서 성심성의껏 충고하고 설득하며 인도해주어야 하지만, 아무리 좋은 말일지라도 상대가 듣지 않으면 그만두어야 한다, 라는 말이다. 지금 내 상황과도 너무 맞는 말이고, 우리가 사람과의 사이에서 새겨야 할 말이다.

 

'자한' 편에서 공자가 한 말을 볼까. 이 말은 친구들에게도 써준 대목이다.

 

공자는 평소에 다음 네 가지 행동을 절대로 즐겨 하지 않았다.

첫째, 자기 뜻만을 세우지 않았다.

둘째, 꼭 그렇다고 함부로 단정하지 않았다.

셋째, 완강하게 고집부리지 않았다.

넷째, 자기만이 옳다고 여기지 않았다. (237페이지, '자한' 편)

 

나이가 든 사람을 대하다보면 갈수록 아집이 강해지는 사람들을 만나고는 한다. 나도 저 나이가 되면 저런 아집을 가질까, 싶은걸 자주 느낀다. 상대방의 말은 듣기 싫어하고, 자신이 말을 했을때 들어주지 않는다고 서운해하는 걸 보면서 느낀 점이다. 어떨때는 나한테도 조그만 말에 상처받고 서운해하는 감정을 느끼면서, 내가 그들처럼 나이가 들어가고 있구나 하는 걸 알게 되기도 한다. 친구들과 함께 나눈 이 문장들을 오래도록 마음에 새겨야겠다고 생각했다.

 

공자는 때와 장소, 사람의 성향에 따라 적절하게 제자들을 가르쳤다고 한다. 어느 한 마디의 질문에 제자마다 다른 대답을 해주는 것을 보면 알수 있다. 정형화된 답이 아닌 그 사람에 따른 대답을 해주었다. 이는 공자가 마음을 닫아놓지 않았고 열린 마음을 가졌다는 뜻이다. 우리도 살아가면서 열린 마음을 가지면 사람을 대하는데 있어서도 잘 할 수 있고, 삶의 지혜를 터득할 수 있지 않겠나 하는 생각을 했다.

 

리뷰 읽으시는 분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일독을 하고 나면 재독을 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