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신
강희진 지음 / 비채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역사를 아는 것은 역사실록에 적혀져 있는 역사적 사실이다.

승리한 사람들의 시각으로 적어낸 역사적인 사료를 우리는 그게 사실인양, 진실처럼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역사를 이끌어갔던 왕이나 신하에 대한 시각으로 바라보는 게 또한 역사이기도 하다. 하지만 역사를 만들어갈때 역사속에 실제 살았던 민초들의 삶을 바라보는 시각은 많지 않다. 그들이 전쟁속에서 어떻게든 살았을 민초들의 삶은 실제로 많이 알지 못한다.

 

우리가 민초들의 삶을 알수 있는 것은 이렇듯 영화속에서나, 소설속에서 만나볼 수 있다. 병자호란(1636년)이 일어난 후의 참담한 광경을 볼수 있는 책이다. 역사를 보면 늘 가슴아픈게 우리의 역사는 늘 침략을 받았다는 것이다. 전쟁속에서 어머니와 여동생, 아내와 딸아이를 모두 잃은 한 남자의 이야기를 읽으며 이런 느낌이 더했다.

 

 

이신李臣, 아버지는 내게 이씨 왕조의 신하로 살라 하고,

이신貳臣, 세상은 내게 다른 왕을 섬기라 한다.

 

이신李臣, 그는 조선의 신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난 후 청나라 군사들에게 아내와 딸과 함께 잡혀 청으로 끌려가던중 아내와 딸은 죽고, 죽다 살아나 청의 황제의 신하로 칙사가 되어 조선으로 돌아왔다. 죽은줄 알았던 아내가 살아있다는 말을 듣고 아내의 흔적을 찾아헤매지만 쉽지 않다. 이신은 좀처럼 잠을 이룰수 없다. 순간적으로 잠이 들어도 늘 아내와의 행복했던 기억들을 꿈으로 꾼다. 혹은 아내가 화살을 맞고 죽어가던 모습을 꿈으로 꾼다. 운종가의 거리에서 보았던 아내의 모습은 꿈결에서 보았던듯 아스라하기만 하다.

 

이신이 떠올리는, 청으로 가는 포로들인 조선인들의 모습은 그 때의 왕이었던 인조에 대해, 친명 정책들을 펼쳤던 신하들에 대한 울분때문에 울컥했다. 영화 「최종병기 활」에서의 조선인들의 모습을 상상해 보면 될 것이다. 청으로 가는 곳에서 왕에게 몸시중을 들어야 했던 여인들, 거부를 하게 되면 그 자리에서 칼을 맞았던 모습들과 그것을 지켜봐야만 하는 조선 남자들의 처절한 모습들이 아직도 기억이 난다. 책에서도 마찬가지로 이신의 기억으로 치욕의 날들을 독자들에게 보여준다.

 

 

이런 아픈 기억을 가지고 있는 이신에게 조선은 자신의 나라였으나 왕도, 신하들도 같은 나라의 사람이 아닌것처럼 느껴진다. 수많은 밤들을 불면으로 보낸 밤시간들이 그의 심정을 알려준다. 백성들에게 고통을 안겨주었던 사대부들을 벌하고자 그들에게 복수하고자 했다.

 

 

추억이란 당시에는 얼마나 행복한지 알 수가 없다. 먼 시간이 지난 후에 비로소 깨닫는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행복했던 시절로 영원히 돌아갈 수 없다. 오직 꿈에서만 다시 볼 뿐이다. (95~96페이지)

 

 

작품을 읽다보면 같은 여성의 입장에서 울분이 터져나올 수 밖에 없는데, 포로로 끌려가 청나라 군사들의 몸시중을 들다 조선으로 돌아온 여성들을 환향녀라고 불린다. 하지만 그 여성들을 받아주는 이가 없었다. 소위 사대부들은 환향녀인 정실아내와 같이 살수 없다고 이혼을 주청하기도 했고, 자결을 종용하기도 했다.

 

아내 선화를 찾는 이신의 마음은 어떤 마음이었을까.

아내에게 주겠다고 당혜를 만들고 딸아이인 난이에게 주려고 꽃신을 만들던 이신의 마음 저면에서는 수많은 갈등으로 싸웠을 것이다. 잘못된 판단으로 조선의 사대부와 왕은 청나라 황제에게 치욕스러운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 늘 침략의 위협을 받았던 조선의 역사 속 백성들의 속내를 알수 있던 작품이었다. 책을 다 읽고, 리뷰를 쓰는 이 시간에도 마음 한 쪽은 저려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