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新 황태자비 납치사건 - 개정판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4년 1월
평점 :
얼마전에 신문에서 위안부였던 한 할머니의 별세 소식을 들었다.
그 분들이 원한 건 '진정한 사과 한 마디' 였다고 했는데, 일본은 그 한 마디를 하지 않고 있다는 기사였다. 그렇다. 현재의 일본은 그들이 행했던 과거사를 왜곡하며 무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독도와 중국의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 분쟁이 그렇다. 그들은 한국과 중국의 영토를 일본의 영토라며 우기고 있다는 사실이 그렇다.
영토 분쟁에서 한국과 중국이 대처하는 방법이 다른 것 같다.
우리나라도 독도 분쟁 때문에 노력을 꽤 한다고 보는데, 중국은 일본제품 불매 운동 등 훨씬 더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 같다. 이는 각 나라 국민의 특성 차이라고 보는데, 나 또한 일본의 그러한 행태에 대해 열이 나는 건 사실이지만, 적극적으로 어떤 행동을 한다던가 그런 것은 없는 것 같다.
그러한 나를 채찍질 하기라도 하는 듯, 김진명 작가의 『신 황태자비 납치사건』을 읽으며 울분을 금할 수 없었다. 작가가 십삼년 전에 썼던 작품을 새로 썼다는 건 그만큼 할말이 많다는 것일테다. 또한 작가는 일본국민들에게 이 책을 꼭 읽히고 말겠다고 했다. 그만큼 작가의 의지가 강하는 뜻도 된다.
나 또한 이 책을 읽으며 울분을 참을 수 없었는데, 많은 일본인들이 읽고 역사적 사실들을 알았으면 좋겠다. 책의 전체적인 스토리는 일본의 마사코 황태자비 납치사건을 다루면서 한국의 명성황후 시해 사건과 중국의 난징대학살의 내용을 이야기한다. 작가는 황태자비를 납치한 한국인과 중국인의 입을 빌려, 한국과 중국에게 큰 죄를 져놓고도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역사 교과서를 왜곡하려는 것을 바로잡으려 했다.
어느 날 공연을 보던 황태자비가 동창생들을 만나러 갔다가 납치되었다.
사건을 조사하던 경시청은 비상 검문을 실시하는 등 납치범 잡기에 총력을 기울이지만 황태자비의 행방은 오리무중이다. 납치범 중 한 명이 중국에서 유학 온 펑더화이라는 게 밝혀졌다. 그후 납치범들로부터 전화 한통이 온다. 두 개의 문서를 공개하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일본 정부와 황실은 황태자비의 안위가 걸렸는데도 문서의 존재조차 없다며 부인한다. 납치범을 추적할수록 한국의 명성황후 시해 사건과 중국의 난징대학살의 비밀이 드러나게 되는 이야기다.
현재의 한.중.일은 역시 불편한 관계다.
역사 왜곡과 영토 분쟁도 그렇고, 과거사에 대한 진심어린 사과도 없는 상태여서 더욱 그렇다. 어떻게 보면 김진명 작가는 일본에 대한 도전을 했다. 한국과 중국 동시 출간이 그의 의지를 분명히 해주고 있었다. 또한 십삼 년 전의 원작에 있었던 한국인 납치범 두 명 중 한 명을 중국인으로 개정해 난징대학살의 비밀을 이야기했다. 갈수록 일본이 우경화 되어 가는 것과 역사 왜곡, 영토 분쟁등을 중국과 합세하여 강력 대응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작가의 바램처럼, 많은 일본인들이 이 책을 읽고 일본의 과거사에 대해 정확하게 알았으면 싶다. 일본의 젊은 친구들이 더 읽어 보았으면 싶고, 자신들의 나라가 어떠한 일들을 했고, 일본 정부가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알았으면 싶다. 책 속에서 그들의 역사 교과서에 정신대라는 부분이 아예 들어있지 않을 정도로 숨기고 싶은 과거일 것이다.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진심어린 사과를 하는 것, 이게 힘든 일인가.
더불어 한국의 어린 친구들도 이 책을 읽어야 한다고 본다.
수능시험에 한국사가 필수 과목이 되었다. 이처럼 국사는 그 나라의 국민이라면 누구나 공부해야 하는 과목이다. 과거의 역사를 알아야 현재를 살아갈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지금의 현실에서 꼭 읽어야 할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