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혁명, 광활한 인간 정도전 1~2 세트 - 전2권 소설 조선왕조실록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도전이란 인물을 알았던게 학교 다닐적에 역사책에서 배운 조선의 개국공신으로만 알고 있었다. 언젠가 TV에서 방송했던 드라마에서 삼봉 정도전의 사상이 부각되어 아마도 나를 포함해 많은 사람들이 정도전의 삶에 대해서, 정도전의 사상에 대해 궁금했을 것이다. 그러 여파 때문인지 최근에 텔레비젼에서도 '정도전'이란 인물을 탐색하는 드라마를 방영하고 있었다. 처음엔 알지 못하였다가 정도전에 대해, 조선을 개국하게 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라는 것 때문에 살펴보게 되었다. 몇편을 보고는 드라마를 보아야겠구나, 그에 관련된 책도 읽으면 좋겠구나 하고 생각했다. 그러곤 정도전 이란 이름을 인터넷 책방에서 검색해보니 아주 많은 책들이 나오고 있었다.

 

나는 여러 권의 책들 중에서 민음사에서 나온 김탁환 작가의 『혁명, 광활한 인간 정도전』을 읽기로 했다. 역사서 중에서도 깔끔하게, 그리 과하지 않게 심플하게 쓰는 작가의 작품을 알기 때문에 어떻게 표현했을지 궁금했었다. 그러곤 누군가의 선물로 받은 한국고전번역원에서 나온 『삼봉집』을 먼저 읽을까 하다가 일단 조선을 건국하게 된 배경을 알고 싶어 김탁환 작가의 책을 먼저 읽게 되었다. 김탁환 작가의 작품에서 느껴지는 것은 작품의 배경과 주요인물에 대해서 아주 심플하게 다룬다는 것이다. 예를들면 같은 인물을 다룬 신경숙 작가의 『리진』과 김탁환 작가의 『리심』에 대한 접근도 그렇다. 심연속으로 침잠하는 인물의 묘사 보다는 그의 사상과 전체적인 틀을 강조하는듯한 느낌이 그렇다.

 

이 작품 『혁명, 광활한 인간 정도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내가 기대한 정도전의 혁명은 부제에서처럼 광활한 인간 정도전을 살피고자 함이었다. 하지만 작가는 이성계가 해주에서 낙마하는 시점부터 정몽주가 암살당하는 그 18일간의 여정을 그렸을 뿐이었다. 이 짧은 기간으로 정도전의 삶, 사상을 다 알수는 없었지만, 정도전이 궁극적으로 그리고자 했던 백성을 위한 나라, 그 개국의 첫발을 디딜수 밖에 없었던 정도전의 사상을 알수 있었다.

 

작가는 이 18일간의 여정을 정도전이 저술한 일기 형식의 글로 나타내었다.

세상을 바꾸고자 했던 것, 백성을 위한 나라를 만들고자 했던 삼봉 정도전과 포은 정몽주, 그리고 이성계를 앞세워 이루고자 했던 그의 번민들이 담겨 있었다. 세 남자가 꿈꾼 새로운 세상을 여는 길, 갈등 구조 때문에 TV에서 눈을 뗄수 없게 만드는 드라마를 보듯 이 책에서도 새로운 정도전을 만났다. 그토록 백성을 위한 나라를 꿈꾸었으나, 오직 포은과 함께 꿈꾸었던 새로운 세상이었지만, 그의 뜻대로 되지는 않았다.

 

 

사직(社稷) 보다도 군(君)보다도 귀한, 결코 갈아치울 수 없는 그와 나의 모든 것, 백성 민(民)!  (1권, 28페이지)

처음부터 혁명을 꿈꾸지 않듯이. 혁명을 도모한다는 건 절망의 끝에 다다랐다는 뜻일세. 지금 여기의 사람과 제도로는 도저히 희망을 발견할 수 없다는 안타까운 확인.

 (1권, 199페이지)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도 보았듯,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 이방원이 혁명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게 되는데, 이성계와 정도전 그리고 정몽주와는 또다른 감정들, 결코 섞이지 못하는 이방원에 대한 정도전의 감정들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다른 혁명을 꿈꾼 이방원의 욕망이 조선을 개국하기 전부터 새롭게 보여진 탓이다. 결국 역사가 말해주지 않았나. 정도전이 우려한대로 이방원은 자신이 왕이 되고 싶었던 것이다.

 

목은 이색 스승에게서 형제처럼 배움을 같이 했던 포은 정몽주를 향한 정도전의 애틋한 마음과 결국에는 정몽주를 믿지 못했던 안타까움도 드러내었다. 어제와는 다른 오늘, 오늘과는 다른 내일을 이곳 백성이 느끼도록 만드는 것(1권, 130페이지)이 정도전이 생각한 새로운 세상을 향한 혁명이었다. 이러한 정도전의 번민에 그가 꿈꾸는 나라 조선이 개국했을 것이다.

 

정도전과 이성계, 정몽주의 사상들을 겨우 18일간의 여정으로 다 알 수는 없을 것이다. 정도전의 사상에 대한 목마름이 더 커져가고 있는 것을 느낄수 있었다. 과거를 읽으며 현재를 이해하게 되고, 과거를 읽으며 우리의 미래를 그릴 수 있는 역사서를 읽는 일이기도 하다.  

 

민음사에서 새로운 역사서를 내고 있다는 것이 반갑다.

《민음 한국사》시리즈도 그렇고, 김탁환 작가가 《소설 조선왕조실록》 쓸 계획을 세웠다는 것도 그렇다. 그만큼 중요한 역사이기때문에 텔레비젼에서도 수없이 드라마로 방송하고 있지만, 소설로 보는 조선왕조실록은 더 다른 느낌으로 다가올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