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트] 붓다의 십자가 - 전2권
김종록 지음 / 김영사 / 2014년 1월
평점 :
작년 여름휴가를 역사유적 탐방차원으로 강화도를 다녀왔다.
강화도에서 며칠 머물며, 고려 시대의 숨결을 느꼈고, 아픈 역사를 실감할 수 있었다. 많은 사람들의 방문으로 인해 강화도는 우리 역사를 이해하는 곳으로 새롭게 다가왔다.
이런 기억들과 함께 언젠가 TV에서 했던 드라마 '무신'으로 인해 몽골의 침략을 제대로 바라보았고, 노비출신으로 고려 무신정권 최고 권력자가 된 김준의 이야기를 보며, 고려 황제보다도 더한 권력을 누렸던 고려 무신정권의 역사를 알수 있었다.
김종록의 『붓다의 십자가』는 드라마 '무신'의 시대적 배경과 일치한다.
몽골의 침략으로 집정 최이(최우)는 수도를 개경에서 강화도로 옮겼고, 그곳에서 대장경판을 새롭게 만들어 지금의 팔만대장경을 만든 인물이다. 『붓다의 십자가』는 팔만대장경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소설이다. 대장경을 새롭게 만들수 밖에 없었던 이유와 함께 그들이 권력을 누리기 위해 했던 일들을 허구의 인물인 지밀 승정의 시선으로 우리를 이끌어가고 있었다.
강화도 선원사 대장도감, 대구 부인사의 초조대장경을 몽골군이 불태운후 대장경을 새롭게 쓰는 일을 하고 있는 지밀 승정. 스승 수기 도승통의 부름에 달려가 남해에서 올린 경판에 십자가의 문양이 새겨져 있는 것을 발견한다. 지밀은 경판을 새겨 올린 김승이란 각수장이를 찾아 나선다. 남해의 각수마을에 들어선 순간, 의문의 회오리바람으로 지밀은 앞이 보이지 않게 되고, 같이 갔던 시자 인보 또한 며칠후 의문사 한다. 갑자기 눈이 보이지 않게 된 지밀은 인보의 죽음을 조사하려하고 그곳에서 새로운 세상을 만나게 된다.
책 속에서 불상 가운데 새겨진 십자가가 새겨져 있는데, 책을 읽으며 나는 기독교를 경교라 부른게 아니었나 했는데, 고대 동방기독교인 경교는 대진경교라고도 불리우며 불교와 기독교가 접목되어진 게 아닐까 싶었다. 불교가 석가모니의 말씀을 따르고, 경교가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는 것이니 이 모두는 사람의 마음을 위로하고 신에 대한 믿음을 주는 것이겠다.
왕이 백성을 버리고 강화도로 들어가 버리고, 백성들은 굶주리고, 의지할 곳이 없었다.
백성들이 굶주리는데 집정 최이의 비호를 받는 승려들은 호위소식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래서 그들이 의지하는 건 예수의 말씀이었고, 모두가 평등하게 살 수 있는 나라를 꿈꾸었다. 서방정토라 여겨진 김승 촌장이 이끄는 각수장이 마을에서 지밀은 그마저 그곳이 자신이 꿈꾸던 곳임을 느꼈던 것이다.
처음 책에 대한 설명을 들었을때, 대장경에 예수란 이름이 있다는 말에, 작가의 상상력이 아닌가 했다. 붓다의 불상에 새겨진 십자가 또한 작가의 상상력이 빚어낸 산물이라 느꼈지만, 책 1권의 첫머리에 보면 그에 관련된 사진이 수록되어 있었다.
합천 해인사에 팔만대장경이 있고 세계문화유산이라는 것은 우리가 학교 다닐적부터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다. 수학여행때에도 합천 해인사를 들렀던 것 같은데, 이 책을 읽고 나니 해인사 팔만대장경을 다시 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고려인들의 아픔과 나라를 잃고 싶지 않은 염원으로 새겨졌을 팔만대장경이 새롭게 보였다. 비록 최이가 자신들의 권력을 위해 그렇게 했을지라도 말이다. 우리는 이 책으로 인해 세계문화유산인 팔만대장경을 새롭게 만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