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금, 여기, 하나뿐인 당신에게 - 영화심리학자 심영섭의 마음 에세이
심영섭 글.사진 / 페이퍼스토리 / 2014년 1월
평점 :
품절
나에게 심영섭은 영화평론가이다.
영화를 좋아하기 때문에 신문의, 혹은 다른 매체의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접할때 늘 이름이 보이곤 했던 영화평론가 심영섭. 나는 심영섭 영화 평론가가 좋다고 하는 영화면 고개를 끄덕였고, 그다지 마음에 들어오지 않는 영화라고 평하면 나도 영화보기 꺼려지곤 했다. 영화평론가 중에서 나에게는 그 무엇보다 영향력이 컸던 분이기도 하다.
그런 영화평론가 심영섭이 사실은 심리학자 였다는 사실이 놀라웠고, 예쁘장한 외모의 얼굴에 남자이름 같다며 혼자 웃었었는데, 이번 책을 보며 알게 된 사실은 자신이 지은 이름이란다. 처음 영화평론상 수상 당시 '심리학과 영화를 두루 섭렵했다' 라는 지녔다 했다.
아마도 이런 사항들이 나로 하여금 이 책에 대한 호기심이 더해졌다. 또 내가 좋아하는 심리학과 영화를 매개로 한 글이 아니던가. 영화를 모티프로 하여 사람의 심리를 이야기하는 글이다. 더군다나 심리학자였던 만큼 심리상담을 하면서 상담을 했던 사람들이 가장 많이 물어온 인생에 대한 답이라는 것이다. 저자가 영화와 함께 우리의 삶에 대한 통찰을 할 수 있는 글이다. 영화 속 주인공들의 삶, 그들의 결정이 왜 그렇게 되었는지, 그렇게밖에 행동할 수 없었던 그 모든 것들이 우리 삶과 아주 많이 연결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때 알았더라면 좋았겠지만
이제라도 알게 되어 다행인 것들
타인들의 생각과 질문만을 대상으로 하는 글이 아닌 저자 심영섭의 진심이 들어가 있는 글이었다. 남편과 자신의 이야기를 하며 영화속 사람들의 심리, 자신의 심리를 말하여 책을 읽는 이로 하여금 그 글에 대해 공감하게 만들었다. 심리에 대한 글을 많이 읽었기 때문에 너무 전형적인 심리학만을 다룬 글은 읽는 재미가 떨어지게 마련인데,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영화와 결부하여 이야기하기 때문에 더 쉽게 다가선다. 예전에 보았던 영화에 대한 기억들이 떠오르고, 그에 관한 설명들을 읽으면서 '그랬구나' 하고 더 깊은 이해를 하게 되는 것이다.
사랑이란 내가 원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대가 받아들여야 이루어지는 것임을. 가장 아프고 가장 간절한 연애가 아니라면, 이러한 통찰은 다가올 수조차 없는 법이다. (105페이지) 보고 싶었으나 시간이 여의치 않아 보지 못했던 영화 '연애의 온도'를 말할 때의 대목이다. 누군가를 아무리 사랑하였어도 내 마음속에 있는 마음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보다는 감추고 상대방의 뜻에 따라 행동하다보면 상대방은 나의 마음을 알기 어렵다는 이야기를 했다.
오래전 누군가로부터 이별 통보를 받았을때 기억이 문득 떠오른다. 이별 통보를 받아들이기 힘들었고, 그게 사실이 아니기를, 하룻밤 자고 나면 그 모든 일들이 꿈이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졌었다. 나는 누군가를 아주 많이 사랑하고 또 원했지만, 상대방이 받아들여주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이별이었다. 꼬박 하루를 앓아 눕고, 그 후로도 꽤 오랫동안 그 사람이 내게 다시 돌아오지 않을까 하는 기다림이었고, 아픈 상처로 남아있었다. 나 또한 그 상처로 인해 성큼 성장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했다. 저자는 이처럼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을 겪으며 성숙하게 된다는 이야기를 한다.
상처를 치유하고, 그 상처를 극복함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삶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는 것이다.
나를 두렵게 만드는 것, 나를 뒤흔드는 것도 실은 타인의 시선이 아니라, 바로 내 안에 들어있는 스스로의 시선과 검열 때문이다. 그리고 지나친 자의식과 자기검열 속에는 타인에게 사랑받고 이쁨 받고 싶은 밑 마음, 혹은 다른 사람에게 미움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도사리고 있는 것이다. (173페이지)
영화 '미쓰 홍당무'에서 타인을 지나치게 의식하기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타인의 구미에 맞는 나, 바람직한 나를 연기하는 일은 이제 그만 두자고 말한다. 나를 보호하는 것도 나고, 이 세상에 하나뿐인 나를 사랑해야 하는 이도 나인 것이다. 타인에게 다 맞춰 줄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타인에게 무조건 친절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나의 삶을 이끌어 가는 것은 나이므로.
나에게 아픔이 찾아올지라도 내가 헤쳐나가야 하기 때문에 우리 앞의 현실에 더 직시해야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 아픔을 겪으면서 우리는 한층 성숙해져 있는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