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레드
김유철 지음 / 황금가지 / 2013년 12월
평점 :
며칠 전 꿈을 꾸었다. 꿈을 꾼 날 아침에는 소름이 끼쳐 한동안 불안할 정도였다.
아마 이 책을 오래도록 붙잡고 있어서 일까. 길다란 칼로 사람을 찌르는 소설의 내용 때문에 소름끼쳐 하면서 읽은 이 작품 때문이었을 것이다. 지금은 꿈의 내용이 희미해졌지만 그때는 괜시리 불안했었다.
우리나라 작가의 추리소설을 읽은지가 꽤 된것 같다.
오래전에 읽은, 지금은 제목도 기억나지 않은 김성종 작가의 추리소설을 읽은게 다 였으니까. 물론 최근에 나온 추리소설 기법을 사용한 소설을 읽기는 했다. 추리소설하면 영미권이나 북유럽 소설이 강세를 이루고 있어서 아무래도 그쪽 소설을 더 많이 읽게 된다.
그런 우려를 갖고 읽은 책인데 생각보다 괜찮은 추리소설이었다.
다만 편집 상태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 박형사가 나오는 단락에서 갑자기 추리소설 작가인 민성의 이름이 나열된 식이고, 박형사가 나오는 부분에서 갑자기 윤형사라는 이름이 들어있기도 한 이유 때문이었다. 이런 오타는 좀 피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 들었다.
책 내용을 보자면, 주로 생리를 하는 여자들만으로 골라서 살인을 하는 연쇄살인범을 쫒는 이야기이다. 연쇄살인범을 쫒는 경찰서 직원들과 연쇄살인범을 주인공으로 하는 추리소설을 쓰는 작가, 작가가 쓴 추리소설대로 연쇄살인을 저지른다는 보고서를 써온 한 남자와 여동생이 실종되었다는 여대생이 주를 이루는 인물구조를 갖고 있다.
자신이 쓴 소설대로 연쇄살인이 벌어진다면 작가 입장에서도 꽤 두려울 것 같다.
이 책 속에서 작가 민성 역시 자신만의 방법으로 연쇄살인범을 쫓으려 하고, 자신이 12년전의 한 사고 때문에 기억상실을 겪었던 일과 연관성이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니 말이다. 연쇄살인범을 좇는 박형사 또한 집과 꽤 먼 곳에서 목이 잘린 채 살해당한 여대생 주변을 탐문하면서 여대생의 중학교 시절 과외 교사와 함께 아이들과 만들었던 모임과 그 모임을 이끌었던 김현 이라는 과외 선생을 찾으려 한다.
사건 해결을 위한 그들의 행동이 거듭될 수록 사건은 12년전에 일어났던 용호 농장에서의 화재 사건과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그곳에 얽혀있던 진실로 다가갈수록 마주하고 싶지 않은 사실과 맞딱뜨리게 되는데 소설은 아주 애매하게 끝이 났다.

카라바조 <골리앗의 머리를 들고 있는 다윗>
책 속에서는 살인사건이 난 장면의 피해자의 모습을 보며 카라바조의 위 그림 <골리앗의 머리를 들고 있는 다윗>을 떠올렸다고 했다. 이 그림을 볼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끔찍한 모습이다. 피해자가 발견될 때마다 목이 잘리는데 이런 의식을 거행했던 것이다.
영미나 북유럽 소설에 비해 촘촘하게 짜여진 추리소설은 아니었지만, 나름대로 짜릿함도 있었다. 우려했던 것보다 괜찮았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