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잊혀진 근대, 다시 읽는 해방 전前사 - 이덕일 역사평설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3년 10월
평점 :
역사를 좋아하기 때문에 역사 관련 책이 나오면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다른 건 몰라도 우리 역사는 알아야 하지 않겠나 하는 생각도 강한 편이다. 우리 역사 관련 책을 읽으며 현재와 다를바 없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현재의 정치 상황이나 역사적인 사실과 맞닿아 있는 경우를 보면 그렇다. 지나온 역사를 알면 현재와 미래의 역사를 아는 것과도 같다. 그만큼 지나온 역사는 우리가 알아야 하고, 우리가 갈 방향을 알려주기도 한다.
최근 역사 교과서 때문에 문제가 된 적이 있었다.
여태는 일본이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 때문에 열분을 토했었는데, 우리나라 역사 교과서도 문제가 될줄은 몰랐다. 아이들은 역사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왜곡된 내용으로 공부한다면 우리 역사를 모르는 것이 아닌가. 그렇게 즐겨 읽던 역사서를 아이들이 점점 재미없어하고 있는데, 왜곡된 역사를 배우면 어떻게 될 것인가 생각해보면 안타깝기 그지 없다.
저자 이덕일은 들어가는 말에서, 일본의 우경화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에 충격을 받은 일본인들이 일본 본토에서 벗어나기 위한 집단적 병리현상의 표출로도 이해할 수 있다. 방사능 오염에 대한 극단의 공포가 독일처럼 원전 해체라는 이성적 방향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과거 아시아 일부를 식민지배했던 군국주의에 대한 향수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5페이지) 라고 했다. 저자는 일본의 우경화가 실패할 것이 틀림없다고 말하면서 이 책을 시작했다. 이 말은 왜곡된 역사 교과서를 쓰는 그들, 군국주의에 대한 향수가 이처럼 그들을 몰아가고 있는건가 싶다.
얼마전 신문에서 사이가 좋지 않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정상이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사진을 보고 씁쓸함을 감출수 없었다. 일본의 젊은이들은 군국주의에 대한 향수가 없지 않을까 싶지만 일본의 젊은이들도 만만치않은 걸 보면서 우리가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저자는 『잊혀진 근대, 다시 읽는 해방전사』에서 표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일제시대였던 1918년에서부터 1945년까지의 우리나라 근대사를 말하고 있었다. 우리나라를 되찾기 위해 저항했던 이들이 사회주의자들과 아나키스트들이 생성되는 과정을 담았다. 또한 일본의 만주 침략과 꿈을 잃은 사람들이 투기로 일확천금을 노린 사람들과 부호들이 등장했고 일본이 패망하게 되는 과정들을 담았다.
내가 생각한 사회주의는 해방 바로 전에 생기지 않았을까 했었는데, 3.1운동이 일어나기 전해인 1918년에 한인들이 모여 민족해방에 도움이 된다면 볼셰비즘을 받아들일 용의가 있었고, 민족주의자들은 이탈했지만 볼셰비즘에 찬동하는 한인들이 다시 모여 결성했다 한다.
공산당 하면 생각나는 인물이 김일성과 박헌영 이름 정도였는데, 책에서는 박헌영의 이름이 자주 나오고 세세하기 기록되어 있었다. 모르는 인물들이 많아 누가 누구인지 제대로 기억하지는 못했지만 나라를 구하려고 했던 민족주의자들이 어떻게 사회주의에 발을 들였는지를 제대로 알 수 있었다.
책의 말미에서 저자는 더글러스 맥아더가 국무장관 제임스 번스의 답변에 따라 "천황제를 해체하고 일왕을 전범으로 처벌"했다면 전후 아시아의 정치 지형은 크게 달라졌을 것이다. 제대로 청산하지 못한 과거가 미래의 발목을 잡현 현재 동아시아 상황의 원죄가 바로 여기에 있었다. (366페이지) 라고 역설했다. 일제에게서 해방은 되었지만 미국과 소련의 군정으로 인해 절반씩 나뉜 역사가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전 세계에서 대한민국만 분단되어 있는 것이다.
몇몇 인물의 이야기가 아니라 일본과 한국의 근대사를 통틀어 말하는 글이라 다소 집중하지 못한 면도 있었지만,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근대사를 세세하게 알수 있어 유익한 글이었다. 아직도 군국주의에 대한 향수에 젖어 있는 일본, 파란만장한 격동의 한국 근대사. 우리의 근대사를 제대로 알수 있는 유익한 작품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