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avie 338
서야 지음 / 신영미디어 / 2013년 11월
평점 :
품절


최근에 가을이 되니 책을 말하는 이웃분들의 댓글에서 서야 작가의 『은행나무 장자』를 말하는 걸 보고 다시 읽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예전에 모 연재 사이트에서 연재글로 읽고, 책이 나오자마자 구입해 몇번을 읽었는지 모른다. 몇 번을 읽어도 책은 읽을때마다 설레고 두근거렸었다. 로맨스를 말할때면 생각나는 몇 권의 책중 한 권이라, 작가의 신작이 나왔다는 소식에 부랴부랴 구입해 읽게 된 책이다. 하나의 작가에 꽂히면 작가의 신작이 나올때마다 꼭 구입해서 읽게 되는데 서야 작가의 책도 그 중의 하나이다.

 

그것은 내가 네게로 가는 길

이곳은 네가 내게로 오는 길

서로가 서로에게 향하는

 

이런 글귀가 써 있는 것에 더 혹했는지도 모르겠다.

로맨스 소설을 좋아하는 이웃분들도 쓸쓸한 가을이 되니 달달한 사랑이야기가 읽고 싶다고 말씀하시는 걸 봤는데, 역시나 나 또한 추운 계절이면 따스한 이야기가 읽고 싶어진다. 그것이 로맨스라면 더욱 즐거운 일이고. 최근에는 다른 책들에 밀려 로맨스 소설을 많이 읽지 못하는데, 이처럼 한 번씩 읽어주어야 할 때도 있다. 서야 작가의 『길』처럼.

 

사실 서야 작가의 『삼거리 한약방』을 읽을때, 『은행나무 장자』의 주인공이 깜짝 출연을 해줘 무지 반가웠었는데, 이 책도 그러하지 않을까 내심 기대를 했지만, 나오지는 않았다. 나와서 깨알 웃음을 줬으면 더 반가울법도 했는데 말이다. 내가 왜 그런 생각을 했느냐면, 이 책에서도 고택이 나오기 때문이다. 종가는 아니지만 고즈넉한 고택에서 생활하는 이가 주인공이라서 그랬다.

 

만물을 품어 주는 지리산을 닮은 남자, 홍이문

개량한복을 입고 흰 고무신을 신은 남자, 이문이 고택 소선의 주인이라는 사실에 굉장히 기대를 했다. 더군다나 직업도 대안학교장을 하면서 아이들에게 고택의 논을 빌려주어 짓게 하는 등 베푸는 삶이다. 또한 일제 시대때 항일 열사이기도 한 집안이다. 자신의 집 소선으로 찾아든 제이를 보고 한 눈에 반했다. 이문은 농담처럼 "얼른... 도망가라, 제이야" 라고 말을 건넸다. 

 

한겨울 눈 속에 핀 시린 꽃을 닮은 여자, 진제이.

암투병을 하던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어머니가 화장터에 들어가신 날 제이를 스토커처럼 쫓아다녔던 동채가 죽었다 한다. 이 모든 게 너무 버거운 제이는 호젓한 시골에서 힐링을 받고자 한다. 서점에서 발견한 지리산에 관련된 책을 보곤 지리산으로 출발했다. 친구 가람의 친척집이기도 한 소선으로 향했다. 고택의 아름다움, 시린 바람, 자신을 가족처럼 품어주는 소선 안주인과 단덕 아주머니 때문에 그곳에 정이 들어 몇 달을 그렇게 소선에서 지내고 있다. 그리고 한 남자, 자신에게 농담처럼 도망가라고 하는 남자 이문을 만났다.

 

 

내가 소설에서 제일 싫어하는 남자의 직업이 정치인과 연예인인데, 내용을 어떻게 풀어나가느냐에 따라 때로 느낌이 달라지기도 한다. 가슴이 설레며, 콩닥거리는 가슴을 부여안고 보기 시작하는데 그가 정치인이란다. 아,, 정치인이면 내용이 빤한데 하면서도 멈출수 없었다. 자칫 그저그런 글이 될수도 있을텐데, 책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래도 괜찮다는 느낌을 갖게 했다. 내용을 풀어가는 솜씨가 좋기 때문인 듯 하다.

 

1인칭 화자의 소설일때 그 사람의 마음을 알아 좋긴 하지만, 상대방의 마음이 몹시 궁금할 때가 있다. 그래서 그런가, 이 책에서도 1인칭 화자로 제이의 마음이 담긴 글이 한 편씩 끝날때마다 이문의 이야기가 짧게 나온다. 이문이 제이를 처음 만나던 날의 느낌, 술 한 잔을 마시고 저도 모르게 별당에 까지 발걸음을 하던 일, 제이를 부여잡고 진한 키스를 하고는, 자신에게 할 질문이 두려워 피해다니던 마음까지 그대로 전한다.

 

우리는 모두 누군가를 향해 길을 건너고 있다.

만약 누군가 나에게 오는 길을 그린 지도를 준다면 그 길을 따라가기가 너무도 쉬울텐데, 때론 험한 길이 우리 앞에 다가오기도 한다. 사랑을 향해, 사랑하는 상대방을 향해, 험한 길도 마다하지않고 헤쳐나갈수 있는 길이 분명 우리 앞에 존재한다. 서로가 서로에게 향하는 길에 마주 설 때 즈음 우리는 사랑이 서로에게 닿아있음을 느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