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치 - 2013 제37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이재찬 지음 / 민음사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전 결혼 시장에서 외모, 집안, 재산, 직업에 따라 등급을 나누게 되는데 통틀어 D등급으로 표현된 여자가 주인공인 소설이 있었다. 그 책을 읽으며 나의 등급을 매겨보고 씁쓸한 마음을 감출수가 없었는데, 이젠 고등학교의 성적과 외모를 5등급이라 표현한 여고생이 주인공인 소설을 만났다. 수능을 준비하는 고등학교 3학년생, 아무리 노력하고, 과외를 해도 성적이 5등급 밖에 되지 않는다면 갈수 있는 대학은 한정되어 있다. 아무리 가고 싶어도 문을 두드릴수 없는 등급, 엄마는 서울에 있는 대학만이라도 가길 원하며 여고생의 등급을 올려보려 하지만 내가 봐도 힘들다 싶었다. 5등급으로 과연 무얼할 수 있을까.

 

그녀, 고등학교 3학년생, 방인영. 인영은 성적만 5등급인게 아니다. 엄마의 외모를 닮았으면 좋으련만, 엄마의 외모 등급인 2등급을 훨씬 밑도는 5등급이다. 변호사인 아버지의 머리를 닮았으면 좋으련만, 인영은 엄마의 머리와 아빠의 외모를 닮았다. 공부가 안되면 외모로라도 어떻게 해볼텐데 그녀의 미래는 불투명하기만 하다.

 

사실 고등학교 3학년 여자아이를 키우고 있는 입장에서 인영의 마음속 낙타를 키우고 있는 걸 보며 마음이 좋지 않았다. 인영과 다를바 없는 성적 등급에서 아이가 가고 싶은 대학과는 자꾸만 멀어지고 있는 걸 보며 아이에 대한 기대치를 점점 낮춰가고 있었다. 그래도 잘하는 것 있겠지하며 아이가 잘하는 것, 하고 싶은 것을 하게 하리라 생각했다. 안되는 공부, 안되는 외모, 있는 돈, 자신을 속박하는 엄마, 자신을 무시하는 부자 아빠. 이 모든 게 인영이 꿈 속에서 낙타를 타고 모래위를 걷게 하는 것 같았다.  

 

재벌 총수와 사회 고위층 비리층을 변호하는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않고 방 변호사라 부르는 인영은 자신을 옭아매는 어머니를 더이상 보고 싶지 않아 40대 공무원인 '모래의 남자'를 꿰뚫어보며 그에게 청부 살해를 의뢰한다. 완벽한 알리바이를 위해 기숙학원을 알아보며 치밀한 계획을 세운다. 방변호사와 엄마에게서 자유롭기 위해.

 

 

순전히 부모에게서 자유롭기 위해 자신의 부모를 청부 살해 의뢰를 한다. 더구나 여고생이. 살인을 하는데 여고생과 남고생이 특별하게 차이가 없을테지만 작가는 우리의 발상을 뒤엎는다. 전혀 상상하지 못했던 인물이다. 방인영이라는 인물은. 작가는 여고생의 마음속을 빌어 현재 고등학교 생들의 마음을 표현했다. 머리 등급은 좋지 않지만 외모로 돈 있는 남자를 만나 아이에게 좋은 학교를 보내겠다며 과외를 붙이고, 아이의 모든 시간을 좌지우지하는, 더구나 하는 일이라곤 피트니스에서 몸매 관리에만 쏟는 엄마의 모습이 싫었다. 또한 머리가 좋아 좋은 대학을 나오고 고시에 패스에 변호사를 하며 비리를 저지른 사람에게도 죄가 안되게 변호를 하는 아버지가 싫었다. 이런 부모와 삼촌, 고모의 모습들을 빌어 요즘 기성세대의 모습들을 고발한다. 물질만능주의에 젖은 사람들이 싫었는지도 모른다.

 

인영이 한 달에 한 번씩 꾸는 꿈이 있다.

스트레스가 극에 달할 때면 꿈을 꾸는지, 낙타가 나타나는 꿈을 꾼다. 모래먼지가 안개처럼 흩날려 앞이 잘 보이지 않는 곳을 낙타를 타고 모래위를 걷는 꿈이다. 인영이 타고 있는 낙타는 어느새 코뚜레를 하고 있다. 앞이 흐려진다. 숨조차 쉬기 어려울 정도다. 꿈속에 나타는 코뚜레를 하고 있는 낙타는 자신의 모습 같기도 하다. 자신이 서 있는 곳은 모래위. 어느새 인영의 모래에 갇힌 여자가 되고 만다. 다른 남자를 불러와야만 하는 모래의 여자.

 

자신의 미래를 알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도무지 앞날이 보이지 않는 미래. 내 삶의 주인은 내가 아니었다는게 한 남자를 살인자로 만들었고, 한 여자아이를 살인 청부하는 아이로 만들었다. 내 삶의 주인은 나. 내 삶을 헤쳐 나가는 주체도 나. 내 삶의 주인이 되고 싶은 염원이 이들을 이렇게 만들었을 것이다.

 

제대로 펀치 한 방 맞았다.

이재찬이라는 작가에게, 발칙한 여고생에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