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높고 푸른 사다리
공지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1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에 관한 감정은 이성을 사랑하는 것이 있고, 동성을 사랑하는 것이 있다.
또한 종교적 인물에 대해 사랑하는 감정을 갖는 경우가 있다. 하느님을 향한 사랑을 바치겠다고 한 이들이 수녀, 신부들이다. 일반인이 나는 전혀 생각할 수 없는. 과연 인간에 대한 사랑이 찾아오면 어찌할 것인가에 대한 물음을 늘 갖고 있었다. 예전에 어느 에세이에서 수녀를 사랑한 목사의 이야기가 나와, 사랑은 그처럼 거부할 수 없는 것인가 라는 생각을 했었다. 또한 얼마나 그를 사랑했으면 수녀라는 신분을 버리고 결혼을 했겠는가 이런 생각도 했던것 같다.
사랑이 찾아 올때는 모든 삶이 사랑으로 비춰진다.
온 세상의 빛이 나를 향하는 것 같고, 세상은 우리 주변을 향하여 다가오는 것 처럼 느껴지는게 사랑할 때의 감정이다. 죽을때까지 신에게 헌신 하겠다고 한 사람에게 사랑이 찾아 왔을때 어떻게 해야할까. 자신의 마음을 다잡아보지만 어느새 속수무책으로 빠져들고 말것이다. 한창 젊을 때이므로. 자신에게 찾아온 떨림을 주체할 수 없는 때이므로.
공지영 작가의 신작『높고 푸른 사다리』는 한 젊은 수사의 사랑과 방황 그리고 구도에 이르게 되는 그의 성장이야기이다. W시의 수도원, 정요한 신부는 사무엘 아빠스로부터 조카 소희가 한국으로 돌아오겠다는 소식을 듣는다. 더군다나 자신을 만나러 오겠다는 것이다. 과거 10년전에 속수무책으로 사랑에 빠졌던 소희를, 자신을 버리고 떠났던 소희를 추억한다.
수도원의 일과가 시작될 때 들리는 종소리. 종소리로 하루를 시작하는때, 종소리가 듣기 싫어 수도원을 뛰쳐 나가고 싶었던 적도 있었다. 수사 생활을 할때 요한의 곁에는 미카엘 신부와 안젤로 신부가 있었다. 그들이 있었기에 힘든 수사 생활도 견딜수 있었다. 요한은 대학을 2년 다니다가 수도원으로 들어왔고, 미카엘은 대학을 마치고 수도원으로 들어왔고, 안젤로 신부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들어왔다. 이들은 모두 두 살의 나이 차이가 났지만, 그 어느 누구보다도 마음을 터놓고 지냈던 이들이었다.
요한은 아빠스님의 비서수사로 일하고 있었고, 아빠스님 미국의 조카가 연구 논문 때문에 수도원으로 오게 되었으니 도움을 주라는 것이었다. 연두색 스웨터에 나풀거리는 하얀색 스커트를 입었던 소희를 보고 떨림을 느끼게 되고 자신이 사랑에 빠졌음을 느낀다. 하느님에게 기도를 하고 마음을 다잡아 보려하지만 쉽지 않았다.
사랑에 대한 고통때문에 하느님게 기도를 하지만 하느님은 침묵.침묵.침묵하고 있었다.
그토록 애타게 기도를 해도 침묵을 하던 하느님은 언젠가 자신에게 말을 거셨다. 사랑하라 더욱 사랑하라. 그 목소리에 요한은 대답을 받았다는 생각때문에 소희를 향한 사랑에 더욱 열을 올린다. 늦은 밤 함께 산책을 하고, 그들이 거닐었던 담벼락을 기억하고, 수줍게 손을 잡은 일, 그가 옷을 걸어두었던 목련나무에 대한 애틋함을 가졌다. 그녀가 머문 모든 공간이 그에게는 애틋함이었고 사랑이었다.
죽음처럼 강하고 저승처럼 억센 것, 큰물로도 끌 수 없고 강물로도 휩쓸지 못하는, 그런 사랑이 우리 두 사람을 적시는 것 같았다. (150 페이지)
요한은 휴가를 내 집으로 가 할머니에게 처음으로 할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
한국전쟁이 한창인 때 만삭으로 배불러 있을때 피난을 가기 위해 흥남부두에 할아버지와 함께 서 있었던 때의 이야기, 피난민을 실었던 커다란 외국의 배를 탔던 이야기를 듣는다. 그리고 마리뉴튼 수도원의 인수 문제로 미국엘 가게 되고 그곳에서 요한은 마리너스 수사님의 한국전쟁 이야기를 듣는다. 예전에 수송선의 선장이었던 마리너스 수사의 이야기에서 마리너스 수사와 할머니의 이야기의 접점을 이루는 곳, 그것을 보며 인연과 고귀한 사랑에 대한 것을 깨우친다.
한 사람을 사랑할때의 고통이 밀려올때는 대체, 왜, 왜, 내게 이런 시련을 주십니까? 라고 기도를 하고 부르짖었지만 들려오는 대답은 침묵 뿐일때의 그 안타까움. 그 모든 것들은 그를 강하게 이끌기 위해서였는가. 하느님의 사랑을 진정으로 깨닫게 하는 소리없는 외침이었는가. 진정한 사랑의 깨달음. 사랑에 대한 고통때문에 힘겨워 할때도 그 또한 사랑을 하라는 침묵의 메시지 였는지 모른다.
공지영 작가는 작가의 말에서 '삶은 낯선 여인숙에서의 하룻밤과 같다'라는 이 한 구절을 떠올리고 소설을 쓰기로 했다고 했다. 젊은 수사에게 찾아온 사랑, 그로 인해 고통을 겪게 되지만 더한 사랑을 깨닫는다는 이야기는 감동적이었다. 작가는 젊은 수사의 마음을 빌어 인간을 사랑하는 것과 하느님을 사랑하는 것, 이 모든 사랑이 하나임을 알려주고 있었다. 사랑도 숭고함으로 승화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