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송어낚시
리차드 브라우티건 지음, 김성곤 옮김 / 비채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전 슈베르트의 「송어」란 곡을 접했을때 나는 그게 숭어의 다른말 인줄만 알았었다. 나중에 송어라는 물고기가 따로 있다는 걸 알고 혼자 웃었었다. 이번에 이 책을 받고 네이버에 검색해보니, 연어목 연어과의 회귀성 어류로 바다에서 살다가 산란기에 다시 강으로 거슬러 올라오는 습성이 있는 물고기가 송어이다 라고 나와 있었다. 붉은 살코기를 자랑하는 빛깔에 회를 좋아하는 나는 침이 다 고였다.

 

『미국의 송어낚시』는 송어 낚시를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아마 사진과 곁들어 있겠거니 하고 생각하였다. 작가의 에세이려니 하고 읽었던 책은 소설이었다. 나에게는 생소한 리처드 브라우티건 작가의 장편소설. 나는 이 책을 받아들었을때 먼저 귀에 익은 이름이 김성곤 이었다. 오래전에 리더스 다이제스트를 구독할때 그 즈음에 익히 들었던 이름이어서 반가웠다.

 

먼저 작가를 살펴보자면, 가난하게 자랐던 어린 시절에 차라리 교도소에 들어가 배불리 먹어보려고 경찰서 유리창에 돌을 던지기도 했다. 세 권의 시집을 발간했고, 『미국의 송어낚시』를 출간하여 전세계 문단의 비상한 주목을 받았던 작가라고 한다. 『미국의 송어낚시』는 이번에 새로 발간된 개정판이다. 그가 일찍이 1984년 49세의 나이로 자살로 생을 마감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그의 새로운 작품을 더 만났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생긴다.

 

미국 생태문학의 대표작이라는『미국의 송어낚시』는 잃어버린 어린 시절의 목가적 꿈을 찾아 아내와 어린 딸을 데리고 미국 서부를 여행하는 한 남자의 이야기이다. 처음 여행을 시작하는 첫머리에는 아래의 사진에 보이는 벤자민 프랭클린의 동상 아래에 찍은 리처드 브라우티건과 한 여인이 앉아 있는 사진이 있다. 원래 원작에서는 아래 사진이 표지로 있었다 한다. 책에서는 흑백으로 된 아래 표지 사진을 가리켜 말하는 내용이 많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성실, 근면, 검소하면 누구나 잘 살수 있다고 주장했던 이로, 리처드 브라우티건은 벤자민 프랭클린에 대한 비판의 뜻을 담았다 . 그래서 프랭클린 동상에서 사진을 찍었고, 동상 아래에서 누군가를 만나는 장면들이 많다.

 

 

주인공 남자는 아내와 딸과 서부를 여행하며 미국의 송어낚시에 대한 추억을 이야기한다. 계부에게 처음 들었던 미국의 송어낚시에 대한 것부터 여행지에서 만난 송어낚시 하는 사람들을 말이다.

미국에 처음 불기 시작했던 캠핑. 사람들로 가득찬 캠핑장에 텐트를 치기 위해서는 누군가가 죽어 나가야 텐트를 칠수 있었다. 또한 자는 아이를 차에 두고, 수십마리의 물고기 시체가 부유하는 온천물에서 아내와 함께 몸을 섞었던 일, 그래서 정액이 물고기 시체들과 함께 부유했던 장면들을 말한다. 거슬러 올라가다가 온천물에 빠져 죽고만 물고기들의 시체들. 죽어 있는 물고기들 속에서 잠겨지는 사람들. 이런 것들은 모두 미국의 어두운 면을 보이고 있었다.

 

주인공은 책 속에서 아주 많은 미국의 송어낚시들을 만난다.

늘 프랭클린 동상앞에 앉아 있는 베트남 참전용사이자 주정뱅이 쇼티의 등장에서부터 등에 커다란 혹을 가진 12인치의 무지개 송어이자 곱추 송어 이야기를 하는데 이는 어쩌면 미국의 비틀어진 욕망을 말하는 것 같다.

 

미국의 송어낚시가 가리키는 것은 때론 사람으로, 때론 사물로 이야기한다.  

작가는 목가적 여행을 하며 만나는 미국의 송어낚시 하는 사람들을 보며 미국의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이야기하고, 다른 작가들의 이름을 들먹이며 날카롭고 시니컬하게 말을 건네고 있었다.

 

 

200 페이지 정도의 짧은 소설이다. 하지만 가볍다고 말할수는 없고, 묵직한 무게의 느낌이 있는 책이다. 번역자 김성곤은 책 뒷편에 해설과 리처드 브라우티건 과의 인터뷰를 실어 리처드 브라우티건의 생각에 가깝게 느껴지도록 도와주고 있다.

 

벤자민 프랭클린 동상 앞에 서 카메라를 바라보는 작가 리처드 브라우티건의 미소에 나도 슬며시 입가에 미소를 지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