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스톤갭의 작은 책방 - 우정, 공동체, 그리고 좋은 책을 발견하는 드문 기쁨에 관하여
웬디 웰치 지음, 허형은 옮김 / 책세상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런 말 한마디쯤 할 것이다.
'책방 하고 싶다', '도서관에서 일하는 직원들이 너무 부럽다' 이렇게. 나 또한 이 중의 한 사람으로 도서관에 책 빌리러 갔을때, 도서관 직원들이 마냥 부럽다. '책 속에 푹 파묻혀 일하는 직원들은 너무 행복하겠다.' 하는 생각이 절로 든다. 하지만 우리의 그런 생각을 반박이라도 하듯, 막상 도서관 직원들은 책 속에 파묻혀 있어도, 책 분류하는 작업 하느라 정작 책 읽을 시간이 없다 한다. 책등이나 책 제목은 많이 안다고. 정작 책 안을 펴 볼 시간은 없다고 한다. 이런 걸 행복한 고민이라고 해야 하나.
또한 자주 가는 책방이 있는데, 오랜 시간 동안 책을 빌려보고 하는데라서, 책방 사장님과 친하게 지낸다. 여기에서 책방은 '헌책방'이 아닌 '책 대여점'이다. 나는 책방에 가서 책방 사장님과 이런저런 이야기도 하며, 책방에서 빠질수 없는 책이야기를 한다. 나는 신간 위주의 '이런 책이 좋더라 라'는 말을 하고, 책방 사장님은 나에게 신간 중 좋았던 책의 제목을 알려 달라고 한다. 그곳에서 나는 차도 한 잔 마시며 책이야기를 하는 시간이 좋다.
나처럼 책을 좋아하는 사람의 염원인 '나만의 책방을 갖고 싶다' 라는 것을 행동하는 사람이 있다. 버지니아주 애팔래치아 산맥의 작은 마을 빅스톤갭에서 헌책방 '테일스 오브 론섬 파인'을 연 부부가 그들이다. 스코틀랜드 출신의 남편 잭과 민속 문화 전문 칼럼니스트인 웬디 웰치는 가진 돈을 다 털어 에드워드 풍 저택을 매입하고, 몇천 권밖에 안되는 장서로 헌책방을 열었다. 헌책방이 잘 되리라는 보장도 없고, 생활비 조차 빠듯한데도 계획도 없이 시작했던 것이다.
책방은 마법의 장소
무작정 뛰어든 헌책방에서 그들은 그들이 가진 책들을 분류했다.
몇년동안 한번도 읽지 않은 책을 골라 아래층 헌책방으로 보내고, 자기가 가진 책중에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서로 책을 숨기고, 숨긴 책을 찾아 아래층으로 내려보낸 책들이 1천5백권에 달했다 한다. 책방을 열기 위해서는 그들이 가진 책만 내놓을수 없어, 차고 세일을 다니며 헌 책들을 구했다. 또한 토박이 들이 살고 있는 작은 마을에 책방을 열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전단지를 만들어 홍보했다.
책을 좋아해서 읽는가, 허영심을 채우려고 있는가.
누군가에게 이 질문을 한다면,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다들 하나같이 입을 모아 '책을 좋아해서 읽는다' 라고 할 것이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허영심을 채우려고 읽는다'라는 사람들은 좀 이해할 수 없다. 그저 책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으므로 책을 읽는다. 항상 책이 손이 가는 곳에 있어야 하는 사람이다. 책이 없으면 마치 목마른 사람이 물을 구하듯, 글자들을 찾는다.
최근에 거실 한켠에 놓인 책탑들을 정리하면서, 책장을 구입해, 책을 정리했다.
신랑이 자꾸 쌓이는 책들을 다 갖고 있을거냐며, 자신의 직장에 있는 젊은 대원들에게 50권쯤 기증을 하라고 했다. 몇 번쯤 망설이다가 그들에게 줄 책들을 추렸다. 그동안 젊은이들이 읽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책들과 내가 한번도 손에 대지 않은 책들, 읽고 난 뒤, 다음에 들춰보지 않을 책들로 고르다보니 80여권쯤 된것 같다. 책을 누군가에게 주는 일도 즐거운 일임을 최근에야 알았다.
우리집 거실의 책장
이 책의 저자인 웬디 웰치는 책방의 활성화를 위해 책을 모으는 것 만큼이나, 취미가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여 책이야기를 하는 모임을 꾸렸다. 예를 들면, 뜨개질 모임이라든가, 글쓰기 모임을 통해 책방을 '동네 사랑방'으로 만들어 동네 사람들이 편하게 찾아올 수 있는 곳을 만들었다. 가족에게 슬픈 일이 발생했을때 가지고 있던 책들을 정리하기 마련인데, 많은 사람들이 가족의 죽음으로 인해 책을 박스에 담에 책방으로 가져왔다. 슬픔을 참지 못하는 사람에게 차 한잔을 대접하며 그들을 위로했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줌으로써 그들을 위로했다. 저자는 책에서 '낯선사람 효과'를 말하며, 친구나 가족에게 말하기 곤란한 고민들을 낯선 사람에게 털어놓음으로써 사람의 마음을 나누는 일을 했고, 그들을 단골로 만들었다.
누군가의 집을 방문했을때 나는 제일 먼저 보는게 '그 집에 책이 있는가' 이다. 아무래도 책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책 이야기 하는 것만큼 즐거운 일이 있을까. 또한 감동적으로 읽었던 책을 만나면 무지 반갑다. 그 책을 읽는 사람과 교감하는 느낌을 갖는 것이다. 저자는 책방을 하면서, 책을 고르다가 '책과의 동창회'를 치루는 손님들을 많이 본다고 했다. 우리가 어렸을때 읽었던 책을 만나면 반가운 것처럼, 어렸을때 엄마가 읽어주시던 책을 읽고 감동의 눈물을 흘렸던 손님의 이야기를 건넨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내가 초등학교 도서실에서 읽었던 동화책들이 지금의 자양분이 되었듯이 사연을 담은 책들은 우리를 추억속으로 인도한다.
작은 탄광마을에서 '나만의 책방'을 갖고야 말겠다 라는 즉흥적인 감정으로 시작한 책방이 동네 주민들에게, 세상의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정도로 성공한 따스하게 다가온 책방 이야기였다. 헌책방의 풍경, 에드워드 풍 저택의 모습을 책 속에 담았으면 더 좋았을걸 하는 생각을 했다. 리뷰를 쓰면서 보니 책 소개하는 곳에 있어 다행이란 생각을 했다. 책방을 나만의 상상력으로 그려왔는데, 그 실체를 보는 느낌이었달까. 이들 부부처럼 애서가들은 남의 집이나 서점, 도서관의 책장만 보아도 흐뭇해지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