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시대가 던진 질문의 답을 찾다
권희정 지음 / 꿈결 / 2013년 5월
평점 :
철학을 처음 만났던게 수업 시간에 배운 '철학 개론'이었을 것이다.
철학이라하면, 일반 사람들이 범접하지 못할 어려운 학문이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막상 수업을 받다보니 너무 재미있어서, 철학도 이렇게 재미있을수 있구나 하고 느꼈었던것 같다. 그리고 읽었던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입문』이었다. 내가 아주 사랑해 마지 않던 책이었다. 항상 꿈꾸는 게 궁금했었는데, 우리가 꾸는 꿈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보고 한동안 나는 어떤 꿈을 꾸는가에 깊이 빠져있기도 했었다. 그렇게 좋아했던 책이 있었던 것에 반해, 니체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같은 경우 아무리 책을 읽으려해도 첫 페이지가 잘 나가지 않아 몇 번 만에 포기해버린 적도 있다. 우리 실생활에 다가오면 쉽게 볼 수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굉장히 어렵게 느껴지는 게 철학이라는 학문같다.
현재 고등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는 교사가 '시대가 던진 질문의 답을 찾다'라는 소제목으로 총 36권의 책을 소개하는 책을 만났다. 제목만 보고서는 고전문학을 소개한 책이겠거니 하며 가볍게 읽으려했던 마음이었는데 첫 장에서부터 '지구와 인류의 미래를 생각하다'라는 챕터로 『도둑맞은 미래』에 대해 말하는 책이 있어서, 사실 처음엔 읽기 싫은 마음도 있었다. 너무 쉬운 독서, 읽기 편한 소설만 읽어왔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 책은 나의 다른 쪽 뇌를 자극시키는 역할을 해 주었다. 쉬운 독서만 해 왔기 때문에 내면의 깊이를 더 할 수 있는 책을 읽기를 싫어하고 거부하는 것 같아서 솔직히 반성도 했다.
각 챕터의 제목은 아래와 같다.
챕터 1. 지구와 인류의 미래를 생각하다.
챕터 2.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챕터 3. 문명은 진보하고 있는가
챕터 4. 정치가 일반 사회를 바르게 이끌 수 있을까?
챕터 5. 올바르게 산다는 것의 참된 의미를 찾아서
챕터 6. 충돌인가, 공존인가
우리가 나고 자랐던 곳에서 우리는 현재를 살지만 미래를 생각하지 않을수 없다. 우리의 미래를 위해 현재를 충실하게 살아가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에 따른 건강은 더욱도 중요한 일. 한때 내분비계를 교란시키는 환경호르몬 때문에 일회용으로 나온 즉석 라면 용기가 얼마나 좋지 않은가에 대해 나온 적이 있었다. 우리가 사용하는 플라스틱 컵에서도 나온다는 사실 때문에 직장에서도 내 컵 가지기를 하고 있는데 이 책에서 언급한 『도둑맞은 미래』는 편리하자고 만든 1회용 용기들이 우리 인간에게 미치는 해악에 대해 말해주고 있었다.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 현실을 바로 세우는 길이듯 미래를 준비하는 것 역시 현실을 만드는 중요한 초석이 된다. 어떻게 대비하느냐에 따라 미래는 '주어지는 것',이 될 수도 '창조하는 것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55페이지)
태평양 전쟁이 한창일 때 미국은 문화인류학과 교수인 루스 F. 베네딕트에게 '일본인이 어떠한 국민인가를 해명'할 수 있는 연구를 맡겼다. 베네딕트는 『국화와 칼』이라는 제목으로 합리적인 시선으로 일본인들을 긍정적으로 이해하려 했다는 글을 썼다. 정원과 꽃을 가꾸는 섬세함과 무武를 숭상하고 계층제도를 중시하는 일본인의 독특한 민족성을 간파했다고 했다. 또한 현재 역사 왜곡문제로 자꾸 외교 마찰을 빚고 있는 요즘에 냉정한 이성으로 일본을 한번 들여다보라는 저자의 날카로운 외침이 있었다.
저자는 외국의 유명 석학들의 책만 소개한 게 아니라 조선의 실학자 박제가의 『북학의』도 소개하고 있었다. 사은사로 임명된 채제공을 따라 청나라에 다녀온 뒤, 백성들의 삶을 위해 청의 선진 문물을 도입하고자 했던 책이었다. 끝내 박제가의 뜻이 이루어지지 못했음을 저자는 안타까워했다. 또한 '올바른 삶이란 무엇인가'를 묻는 책에서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을 소개하고 있었다. 영화 '글래디에이터'가 재미있어 영화관에서만 두 번을 본 작품인데, 영화에서는 막시무스와 코모두스와의 대결을 다루었다. 코모두스의 인자해 보였던 아버지가 바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였다는 놀라운 사실을 말해 주었다. 사실 영화를 볼때도 그 사실을 알지 못했다. 전장 한가운데서도 인간의 길을 찾기 위해 애썼다고 했다.
저자는 책으로 인해 시대를 알고, 그들이 던진 질문에 우리가 책에서 답을 찾을 수 있게 해주고 있었다. 어렵게만 느껴졌던 철학 서적을 가깝게 느껴지게 만드는 글이었다. 우리는 이 책들을 읽으며, 비록 수박겉핥기 식이지만, 우리가 처한 현실에 더 깊이 생각해 볼 수 있을듯 하다.
저자는 우리의 환경과 미래, 인간의 본질에 대한 것, 철학 윤리, 역사, 정치와 사회, 과학과 문명에 대한 것에까지 책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에 대한 것을 말해 주었다. 36편의 책만 소개한 게 아니라 저자의 상세한 이력과 함께 같이 읽으면 좋을 책들까지 엄선하고 소개해주어, 저자가 소개한 책들을 다 읽는다면 우리의 지식은 훨썬 더 풍부해 질것이고 올바른 가치관을 가질 수 있을 거란 생각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