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페넘브라의 24시 서점
로빈 슬로언 지음, 오정아 옮김 / 노블마인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언젠가, 갑자기 책이 필요한데 인터넷 서점에서는 그 다음날에나 도착할 것이고, 동네 서점에 전화로 책을 물어보고, 도매하는 책전문 서점에도 전화를 해 책을 구입할 수 있는지 물었지만, 구할수 없었을때 굉장히 답답했었다. 만약 대형서점이 24시간 영업을 한다고 하면, 굉장히 좋을 것이란 생각을 했었다. 갑자기 책이 필요할때 책을 구할 수 있는 서점이 있다는 건 책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생각해 봤을 것이다. 거의 모든 책이 구비되어있는 서점이 24시간 운영을 한다면, 밤에 잠을 자지 못하는 사람들, 한밤중에 갑자기 책이 필요한 사람들에겐 아주 유익한 서점일 것이다. 한밤중에 책을 찾는 사람들, 어떤 복장으로 책을 찾는지, 무슨 사연을 가지고 한밤중에 서점을 방문하는 것인지, 많은 사연들을 가지고 서점을 방문하는 그들이 궁금할것도 같다.
로빈 슬로언은 트위터 회사의 매니저로 일하고 있던중, 트위터 상에서 '24시간 도서 반환통(book drop)' 을 '24시간 서점(book shop)'으로 잘못 읽었다는 문구를 보고 아이디어를 얻어 이 책을 쓸 결심을 했다고 했다. 처음 아마존의 킨들 스토어에 출판하게 되었고, 독자들의 입소문으로 종이책으로 출간하게 된 책이라고 한다. 전자 기기와 종이책을 함께 책을 읽는 이들에게 굉장한 호기심을 준 책이라 나 또한 이 책이 궁금했다.
모든 것을 컴퓨터로 해결하는 책 속의 주인공 클레이 재넌는 갑자가 경영 악화로 실업자 신세가 되었다. 직장을 제대로 구하지 못하다가 우연히 페넘브라의 24시간 서점에서 사람을 구한다는 것을 알고 서점에서 저녁부터 아침까지 야간 시간을 담당하게 된다. 페넘브라가 그에게 요구했던 것은 세가지였다.
첫째, 밤 10시에 서점에 나와 다음날 새벽 6시까지 일해야 하네. 근무시간에 늦어도 안되고 퇴근시간을 앞당겨도 안되네.
둘째, 서가에 꽂힌 책들을 살펴보거나 읽어서는 안되네.
셋째, 시간, 손님의 외모, 심리 상태, 책을 요청하고 받아가는 방식 등을 정확하게 기록할 것 등이었다.
페넘브라 서점에 찾아오는 이들은 하나같이 나이든 사람이었고, 비밀스럽게 책 제목을 이야기하면서 서가 뒷쪽에 있는 책을 빌려갔다. 책을 빌려간 이들은 마치 수수께끼를 푸는 것처럼 다음 책을 빌려가곤 했다. 클레이 재넌은 사실 디지털 기기에 능한 사람이었다. 종이책들이 쌓여 있는 서점에서 홀로그램으로 서점을 마케팅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도 했다. 무슨 책인가 호기심에 열어보니 이상한 기호로만 가득한 책들이었다. 페넘브라는 갑자기 소리소문없이 사라지고 페넘브라 서점은 불이 꺼졌고, 어둠에 잠겨버렸다. 이에 클레이는 페넘브라를 찾기 위해 책을 빌려간 사람의 뒤를 밟아 집으로 찾아가 이야기를 나누고, 그들은 '부러지지 않는 책등'이란 비밀단체에 가입된 사람들이란 걸 알게 된다. 부러지지 않는 책등이란 단체에서 페넘브라 서점에서 책을 빌려갔던 이들은 모두 초심자 단계라는 것도. 이 단체의 회원들은 초심자, 미제본, 제본 회원으로 나뉘어 있었고 초심자 단계를 넘어서야 미제본 회원으로 되는 단계로 넘어서게 되어 있었다.
1부가 이런 내용이라면 2부는 재넌의 친구들과 함께 '부러지지 않는 책등'의 본거지가 있는 곳으로 향하고, 그곳에서 그들은 지하의 비밀도서관을 엿보는 이야기를 담았다. 2부에서부터는 더 흥미진진한 사실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책 속의 비밀을 푸는 과정을 보면 다지털 세대 답게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열쇠를 푸는 장면들이 나온다. 그리고 책 속에서는 구글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구글 직원으로서 하는 일, 구글 직원이 먹는 직원 식당의 맞춤 식단까지.
처음에 굉장한 호기심으로 시작되었던 『페넘브라의 24시 서점』은 요즘의 사회를 많이 반영했다. 종이책만을 고집하는 사람들, 디지털 문화에 길들여 킨들등 이북 리더기로 책을 읽는 사람들의 모습들을 담아냈다. 나 또한 종이책만을 고집한 사람이었는데, 전자기기로 책을 읽어보기도 해 보았던 터라 이북 리더기의 유용성을 경험해보기 했다. 너무 한가지만을 고집할 수 없다는 것을 알려주는 작품이기도 했다. 다만, 내가 기대했던 만큼의 호기심, 짜릿함을 담아내지는 못했다.
밤은 많은 이야기들을 만들어낸다. 24시간 서점이 운영되는 곳에서 나타난 이야기는 밤이 가진 낭만을 이야기했다. 좋아하는 책에 대한 이야기라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