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게 노래
김중혁 지음 / 마음산책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에게 음악은 일상이다.

아침에 제일 먼저 눈을 뜬 다음 물 한 잔을 마시고 하는 일이 주방에 있는 라디오를 켜는 일이다. 라디오속에서 나오는 갖가지 사연들을 접하며, 우리의 삶의 모습은 다들 비슷비슷한 면이 있구나 하며 공감하게 된다. 예전에 들었던 한국가요들, 좋아했던 팝음악들, 최근에 자주 나오는 가요들을 흥겹게 따라 부르곤 한다. 일어나기 싫어 침대속에서 웅크렸던 지난날보다 라디오를 들으며 하루를 시작하는 일상이 무척 즐거운 일이다.

 

지금은 바쁜척하느라 많이 듣지 않지만, 한동안 연주곡에 빠져있었다.

클래식이나 우리가 뉴에이지 장르라고 표현한 음악들을, 책이 없으면 불안한 것처럼 그렇게 빠져 들었었다. 나의 일상은 책과 음악. 지금도 예전에 자주 들었던 연주곡들을 듣는다. 리처드 용재 오닐의 비올라 음악이 좋고, 최근 드라마에서 나오는 윤미래의 'Touch Love'를 즐겨듣는 요즘. 드라마에서 노래를 듣고, 휴대폰에서 듣고, 누군가 전화를 하면 들리는 벨소리로도 사용하고 있다. 김중혁 작가가 에세이 속에서 말했던 것처럼, 나도 음악을 듣느라 전화를 늦게 받고싶은 그런 곡이다. 나는 오늘도 노래로 하루를 시작했다.

 

한때 음악에 빠져 살았던 소설가 김중혁의 음악에 관한 에세이이다.

부모님께 용돈을 받으면, 먹는 건 친구들에게 선배들에게 얻어먹고, 오로지 음반을 샀던, 음악을 좋아한 김중혁의 에세이는 우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었다.

 

중학교 때 처음 팝음악을 알게 돼, 음악사에서 음악을 테이프에 녹음해 친구들에게 선물을 하기도 하고, 지금은 음원을 틀었을때 가사도 나오지만, 그때는 일일이 팝음악 가사를 노트에 적어 놓곤 했었다. 영어를 한국어 발음으로 적어 노래를 따라불렀던 시절, 김중혁의 에세이를 읽다보니 웬지 그런 향수가 떠올랐다.

 

 

지금 아이들은 휴대폰에서, 아이팟 같은 MP3 플레이어로 음악을 듣지만, 우리는 테이프 세대였다. 그때 삼성에서 나온 'my my' 하나쯤 다 갖고 있던 시절이었다. 가난한 우리 집 사정에서 나도 그걸 갖고 있었던 걸 보면, 그만큼 대중적이었던 거지. 그때 들었던 팝음악을 지금에서도 듣고, 어쩌다가 라디오에서라도 흘러나오면 그렇게 반가울수가 없다.

 

책을 읽는 사람에게 음악은 마치 자석처럼 딸려오는 것 같다.

책을 읽는 사람이나 책을 쓰는 사람이나, 음악을 들으며 읽었거나 음악을 들으며 썼다는 사람을 많이 보아왔다. 오히려 책을 쓰는 작가들 같은 경우, 음악을 너무너무 좋아하더라. 김중혁 작가 또한 여행을 할때도 아이팟에 음악을 담아가고, 글을 쓸때 음악과 함께하는 작가였다. 산문을 쓸때는 보컬곡도 괜찮지만, 집중해서 소설을 써야 할때는 클래식 음악을 듣는다고 했다.

 

클래식이나 뉴에이지 음악을 들을때에 보컬이 들어간 곡을 몹시 듣고 싶은 때가 있다.

영화 '시라노 ; 연애조작단'을 보다가 나오는 곡을 듣고 너무 좋아, 그날 바로 인터넷에서 검색을 해 그 음악을 사랑하게 된 적도 있다. 그 음악은 지금 내 휴대폰의 개인 벨소리로 저장되어 있고, 마음이 우울하거나 몹시 음악이 듣고 싶을때, 몇번이고 재생하며 듣는 곡이 되었다. 그 음악은  '아그네스 발챠'의 'Aspri mera ke ye mas'란 곡으로 한국어로 표기하자면 '우리에게 더 좋은 날이 되었네'란 곡이다. 낮게 울려퍼지는 메조 소프라노 아그네스 발챠의 목소리는 나를 따뜻하게 위로를 건넨다.

 

 

 

소설가 김중혁은 위의 사진처럼, 봄, 여름, 가을, 겨울이란 챕터로 음악들을 소개하는 산문을 썼다. 소설가 김중혁의 말처럼, 사실 음악은 계절을 많이 탄다. 봄이면 마음이 설레게 하는 노래가 듣고 싶고, 여름이면 바다가 생각나는 노래가 좋고, 가을이면 왠지 쓸쓸한 노래가 좋다. 겨울이면 우리를 따스하게 감싸줄 수 있는 노래가 좋은 걸 느낄수 있다. 각 계절에 맞게 노래를 선곡하고, 노래를 들으며 계절을 맞는 느낌들을 그대로 풀어냈다.

 

사람이 사람에게 건넬 수 있는 가장 따뜻한 행동이 위로라고 생각한다. 위로는 죽으려는 한 사람을 살릴 수도 있고, 모든 것에 환멸을 느낀 한 사람의 마음을 바꿀 수도 있다. 우리는 누군가의 마음을 완전히 알지 못해도 위로할 수 있다. 나는 '위로'라는 단어가 마음에 든다. '위로'의 '로'는 애쓴다는 뜻이다.  (94페이지)

 

소설가 김중혁의 산문이 좋다.

그의 소설도 좋지만, 그의 산문은 그가 저 높은 곳에 있는 작가가 아닌 우리 곁에 있는 친근한 작가처럼 느껴진다. 그의 음악에 대한 애정, 위트있는 글들이 우리들의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