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과
구병모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많은 사람들이 그랬겠지만, 구병모 작가를 『위저드 베이커리』로 만났다.

신선함과 놀라움을 주었던 작가. 나는 작가의 작품이 나올때마다 늘 눈여겨본다. 이번에 나온 신작의 표지를 보고는,,, '파과'라는 뜻이 무엇일까, 무언가 파손된 것이 아닌가. 여자의 등허리가 맨몸으로 되어 있었다. 한 여자의 이야기로구나. 날씬한 뒷모습을 젊은 여자의 이야기리라. 나 혼자 마구 상상의 나래를 폈다. 

 

그런데 작가 구병모는 나의 이런 상상을 한 순간이 무너뜨려 버린다.

책의 처음 시작부분, 나오는 여자가 예순여섯의 할머니가 주인공인것 같다. 금요일밤의 지옥철, 사람의 부대낌이 너무도 싫은 곳에서 육십이 다 되어가는 남자가 앉아 있는 젊은 여자에게 일어나라며 삿대질을 한다. 곁에 있는 사람들은 의아한 눈으로 쳐다보지만, 곧 자신만의 생각에 잠겨 있고, 모두들 스마트폰을 바라본다. 그 장면으로 보고 있는 65세의 여자, 남자가 내리자 뒤따라 내린뒤 무언가로 남자를 찌른것 같다.

 

이 여자, 65세의 이 여자가 주인공이다.

그 여자의 이름은 '조각'이고, '무용'이라는 개, 역시 자신처럼 나이 든 개와 함께 살고 있다.

그 여자의 명함에 들어있는 회사는 '방역'을 하는 업체다. '쥐, 개미, 바퀴벌레를 청소하는 업체'가 아닌 쓰잘데 없는 사람들을 처리하는 곳이라는 방역업체다. 누군가 사건을 의뢰한다. 그 사람을 처리해 달라고. 대부분의 방역은, 누가 왜 이것을 원하는지 묻지 않는다. 누가 왜 누군가의 안에서 구제해야 할 해충이나 소탕해야 할 쥐새끼가 되었는지 설명하지 않는다. 방역업을 하는 이들은 그저 대상자를 처리할 뿐이다. 45년간 사람 죽이는 걸 업으로 하고 살아온 사람, 조각의 이야기가 시작되었다.

 

처음부터 방역업자는 아니었다.

먹고 살기 힘든 가족에게서 버림받고, 우연한 기회로 방역 업자가 될수 밖에 없었던 그 여자, 조각은 과거의 자신을 생각한다. 이제 나이는 들어 몸은 둔해지고, 자꾸 기억이 나지 않는 일들이 생기자, 이 일을 그만두고 이제 무엇을 할것인가 고민한다. 그 와중에 사무실에 일을 받으러 갈때면, 늘 있곤 하는 젊은 남자애가 있다. 자신에게 '할머니' 라 부르면서 반말짓거리를 하지만, 별 대꾸를 하지 않는다. 그도 방역업자다. 그의 이름은 '투우', 그에게도 방역업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사연이 있었다. 그는 아버지의 시체를 발견하던 때를 떠올린다. 자신들의 곁에서 일하고 있다가, 아무렇지도 않게 아버지를 죽이고 혼연히 사라져갔던 그 여자를 찾는다. 벌써 20여년이 지났다.  

 

  

 

 

구병모 작가는 참 독특한 글을 썼다.

청소년 소설인『위저드 베이커리』나 『아가미』, 『방주로 오세요』, 『피그말리온 아이들』이런 책들 모두 보통의 책들이 아니다. 한 작가의 작품이 아닌 작품들인것처럼 다양한 주제, 구병모 만의 이야기를 한다. 그가 이야기하는 내용에 빠져 읽다보면, 나는 내가 이 세계에 있지 아니하고, 다른 세계에 있는 것만 같다. 그만큼 독특한 이야기를 한다.

 

사람을 죽이는 일을 한 '조각'은 누구하나 자신이 지켜야 할 사람을 평생 만들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기억도 잘 나지 않는 조각이, 아직 어린 풋내기 아가씨일적에 마음을 품었던 '류'라는 사람을 생각하는 일을 자주 한다. 사람들에게 무감했던 조각이 이제 사람을 바라보기 시작했다. 그들이 눈에 들어오고, 눈에 밟힌다. 그들의 사연을 모른척 할 수 없다. 나이가 들어가, 곧 죽을때가 되어가니 사람이 보이기 시작한 건가. 누군가에게 정을 붙이지 아니하고 살아도 사람을 품을 수 밖에 없는 모양이다. 혼자서는 살 수 없으므로. 혼자서는 살아가는게 너무 외로우므로.

 

 그다지 두꺼운 책은 아니었지만, 금새 읽었다.

다시한번 구병모의 글에 반했다. 이제 읽지 않은 그의 단편집 『고의는 아니지만』도 읽어야주어야겠다고 생각했다. 표지처럼 좋았던 글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