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과 나 - 왕을 만든 사람들 그들을 읽는 열한 가지 코드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시대의 왕에 대한 이야기는 TV 속의 드라마로도 많이 방영되고, 다양한 책으로 나오기 때문에 그들의 이야기를 많이 알면서도, 늘 흥미롭다. 날때 부터 왕이 되기 위한 교육을 받지만, 장자가 아니었을 경우에 왕이 되기란 힘들었다. 하지만 우리나라 역사를 보면, 장자가 아닌 왕이 더 많았을 정도다. 우리가 생각해왔던 것 보다는 약간 다른것을 알수 있다. 한 나라를 이끌어가는 왕이 되기는 힘들었다. 권력의 맛을 안 집단들이 자신들이 추대하는 왕이 되길 바랐고, 그들이 추대한 왕에게서 계속 권력을 유지하고자 했다.

 

 역사학자 이덕일은 『왕과 나』에서 왕을 만든 사람들의 이야기를 열한 가지의 핵심 코드로 풀어썼다. 왕을 만들기 위해 손을 잡았지만, 그들은 세상을 바꾸기 위해 자신이 원하는 왕을 만들고자 했다. 기득권을 지키려는 자에게서 새로운 세상을 바꾸고자 했고, 기득권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세상을 향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도전을 행한 사람들이었다.

 

 역사학자 이덕일이 열거한 왕을 만든 사람들을 보자면, 드라마에서도 호평을 받았던 통일신라를 삼국통일을 한 인물들이었던 김춘추와 손잡고 왕을 만든 김유신의 이야기가 나온다. 신라의 경주 진골들에게서 무시를 받았던 가야 왕족의 후예인 김유신은 가문의 한계를 알고, 그의 뜻을 이루어줄 이를 찾았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언니 보희의 꿈을 사 김춘추의 아이를 가진 문희의 이야기를 알고 있듯 김유신이 처한 상황들과 쫓겨난 진지왕의 손자인 김춘추와 손을 잡아 세상을 바꾸고자 했다.

 

여장부 소서노의 이야기도 들어보자.

소서노는 졸본부여 족장의 딸이었다. 자신에게는 두 아들들이 있었지마, 주몽을 이끌어 고구려를 건국하게 했다. 또한 주몽의 아들 유리가 찾아왔을때, 권력에 대한 싸움을 하기 보다는 스스로 물러나 아들 온조를 데리고 온조백제를 세우기한 도전적인 여성이었다. 기득권이 있었지만, 그것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을 했다.

 

 고려의 왕조 지배시스템이 무너지고 있었지만, 지배층은 체제가 무너져 내리는 것도 알아채지 못하고 착취에 열심이자, 정도전은 자신의 사상을 실현하기 위해 이성계를 만나 새로운 왕조를 탄생시켰다. 정도전의 개국 이념은 토지문제의 혁명적 해결이었다. 개인이 소유한 막대한 토지들을 모든 백성들에게 골고루 나눠주자 했던 것이다. 토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요동을 정벌하고자 했지만, 그의 뜻대로 되지는 않았다.

 

 

또한 왕들에게 평생 바른 말을 했지만 고종명해 시운을 타고난 황희 정승의 이야기도 있다. 사람은 자신의 가치를 알아준 사람에게 자신을 바치기 마련이다. 할말 다 했지만, 시운을 타고 났고, 그가 여러 왕들을 거쳐 관직에 있었던 이유를 보자면, 그는 권력자의 자리에 있었지만, 권력을 남용하지 않았다. 스스로 낮추면서 자신을 높였고, 자신이 섬기는 군주도 높아지게 하는 인물었다고 한다.

 

때로 참모는 악역을 마다하지 않아야 한다. 진정한 참모는 독배도 기꺼이 들이마시는 인물이다. (9페이지, 들어가는 글)

 

 조선의 왕에서 제일 좋아하는 왕이 세종과 정조다. 정조의 참모 홍국영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사도세자를 죽이게 만든 노론이었으면서도 정조의 편에 서서 왕을 만들게 한 이가 있었으니 그가 홍국영이다. 권력을 장악한 홍국영은 자신이 군주를 보좌하는 것이 아니라 군주를 조정하려했다. 권력이 커질수록 겸손하고 매사 조심해야 한다는 사실을 홍국영은 몰랐고 권력을 남용했다.

 

왕이 모든 것을 해결하기 보다는 왕의 곁에서 조언을 해주는 참모의 역할, 즉 '책사'를 기용함으로써 자신이 원하고자 하는 일을 이룰수가 있었다. 내가 최고라는 자만심에 빠져있었던 우리나라의 왕들을 보면 현재의 정치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적재적소에 맞는 사람들을 배치해 자신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일. 참모들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주는 글이었다.

 

현재의 우리가 과거의 역사를 배우는 것은 자꾸만 욕심이 드는 마음을 없애주는 것이기도 하다. 역사속에서 우리는 우리가 나아갈 길을 찾기도 한다. 그래서 역사서를 읽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