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울할 땐 니체 ㅣ 땐 시리즈
발타자르 토마스 지음, 김부용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철학에 쉽게 다가가는 일은 우리의 일상에서 일상과 닮은 것에 대한 사유를 발견할 때 철학을 쉽게 받아들이는 것 같다. 내 마음이 내면의 깊은 사유를 원할때 철학의 의미는 더 가깝게 다가오기도 한다. 하지만 그러지 않을때 철학에 관련된 책을 읽기란 쉽지 않은 것 같다. 나는 『우울할 땐 니체』를 읽으면서 자꾸 내용이 겉도는 걸 발견했다. 읽다보면 글은 읽는 것 같은데 저자가 말하는 의미가 제대로 마음속으로 다가오지 않음을 느꼈다. 또한 읽었으되 행간의 의미를 찾을수 없어 몇번이고 다시 앞장으로 가 다시 읽고 있었다. 하지만 다시 앞장으로 와 문장을 읽다보면 마음에 드는 구절도 발견할 수 있었다.
저자 발타자르 토마스는 니체의 글들을 통해 우리의 내면의 깊이를 더하기 위한 글을 설명한다.
먼저 이 책의 활용법을 보자면 니체의 글을 통해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책이라고 말했다. 19세기 철학의 여러 관념을 통해 자신의 가장 깊은 내면으로 이끌 것이며, 니체의 사유가 우리의 삶을 바꿀수도 있다고 했다. 첫 째 장에서 진단하기, 두 번째 장은 이해하기, 세 번째 장에서는 적용하기, 네 번째 장은 내다보기로 우리를 니체의 사유로 이끈다.
질병을 통해 습관과 단절하며, 우리의 우선 순위 등을 바꿔준다고 했다.
사실 우리가 질병에 걸렸을때 우리는 마음속 깊은 곳에서부터 끝없는 번민을 하게 된다. 수술실에 들어가기 전 죽음에 임하는 자세와 특별할 게 없어 보였던 자신의 삶과 가족들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생명이 얼마나 귀한 건지 깨닫게 된다. 삶의 우선 순위가 바뀌게 되는 것을 경함할수 있다. 니체가 생각하는 질병은 허무주의였다. 삶의 덧없음을 허무주의라고 표현할 수 있으려나.
삶은 단순히 살고자 하는 의지가 아니다. 사람들은 이미 삶 속에 있지 않고는 살기를 원할 수 없다. 왜 우리는 이미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을 원하는가? 더 이상 삶은 생존하기 위한 단순한 투쟁이 아니다. 아무도 단순히 생존하는 것에 만족하지 않는다. 만일 그렇다면 자연계는 훨씬 빈약할 것이다. 우리는 존재하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그 이상이기를 원한다. (87페이지)
일단, 내면의 함이 충분히 축적되면 우리는 그 힘을 머뭇거림, 과잉, 잘못된 길, 헛된 투쟁으로 낭비하지 않고 사용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우리는 결정적 선택을 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확실한 몸짓, 정의로운 제도를 가지는 법, 우리를 동요시키는 충동 사이에서 조화를 이루는 법을 배워야 한다. (196페이지)
니체의 사상, 니체의 철학을 제대로 읽지 않은 상태에서 그의 철학을 논하는 글은 조금 어려웠다. 삶에 대한 내면의 깊이를 찾는 일이 어렵게도 여겨졌다. 아마도 5,6월을 보내며 마음에 바람이 든건지, 여기저기 쏘다니고 싶은 마음 때문일 것이리라. 마음이 붕 떠 있는데, 니체의 철학을 말하는 책이 마음속 깊이 들어올리는 없으니까.
『우울할 땐 니체』라는 제목때문일까.
이제는 내 마음이 우울해진다고 느낄때 니체를 떠올릴지도 모르겠다. 우울함을 느낀다는 건 삶에 대한 허무이기도 하니까, 그것을 치료하고 건강해지기 위해서는 니체를 읽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니까. 허무주의를 검색해보니 니체가 『유고』라는 작품에서 '허무주의'를 이야기 했다고 했다. '허무하다'라는 말을 쓰거나 '우울하다'라는 말을 자주 쓰는데, 허무주의에서 벗어나는 길은 '고통에 직면하기'로 인해 치료가 된다고 했다. 삶의 고통, 질병의 고통 속에서 우리는 삶에 대한 열망을 느낄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느끼는 것이 바로 삶의 내면의 깊이를 더하는 일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