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49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같은 사건을 두고도, 저마다 각자의 시각에 따라 달리 보이는 일들이 발생한다.

누군가와 사랑을 했을 때도 상대방과 내가 기억하는 부분이 다르고, 생각하는 바가 달라 다른 기억을 갖고 있듯이, 어느 사건 현장에 있었던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조작된 기억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사람은 자기가 보는 것이 정답이라고 믿고, 또 그것을 전파한다. 그것이 맞다는 군중심리가 반대를 하는 한 사람을 어떻게까지 매도하는지도 우린 알수 있다.

 

도쿄 한 상가에 화재가 났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화재 신고가 들어왔지만, 출동한 소방서 구조대원들도, 사건의 틈바구니에 있었던 사람들도 화재가 났다고 했지만 연기를 찾을수가 없었다. 연기가 없기 때문에 그들은 독가스 였을거라 생각을 한다. 냄새가 난 것 같았고, 쓰러진 아이도 독가스 때문이라고 잘못 생각한 것이다. 그리고 어느 한 사람이 행동한 것을 보고 그들은 도망을 친다. 출구를 향해 내달린다. 곧 죽을것 같은 마음에 마구 내달리다가 그들은 쓰러진 아이들과 노약자를 밟고 도망을 치려 한다. 그런 와중에 사람들이 깔려 죽었다.

 

사고가 났던 M건물에서의 사고 원인을 몇 달이 지나도록 찾을 수 없었다.

온다 리쿠의 『Q&A』는 제목 그대로 질문과 대답 형식으로 된 소설이다. 책 날개에 있는 작가 소개란을 보니 SF소설의 거장 J. G. 밸러드가 쓴 『러닝 와일드』에서 영감을 얻어 탄생한 소설이라 한다. 어떤 소설일까 검색해보니 아직 우리나라에는 번역이 되지 않은 책이다. 편지로 쓰여진 글도 읽는 사람으로하여금 특별함을 느끼게 했는데, 질문 형식으로 된 이 글도 굉장히 특별하긴 했다.

 

온다 리쿠는 질문과 대답이라는 형식을 빌어 책을 읽는 독자로 하여금 그 건물에 사고가 난 원인이 무엇인지 추리해 나갈수 있는 장치를 두었다. 한 사람, 한 사람과 인터뷰 할때마다 그 사람이 사건을 바라본 시각을 알수 있었다. 같은 시간, 같은 공간에 있었어도 기억하는 부분은 다 저마다 달랐다. 하지만 그들은 장소에서 도망치기 전 한 두 사람을 바라 보았다. 모두다 평범한테 유난히 눈에 띄는 사람, 뭔가 특이해 보이는 사람을 꼽았다. 사건의 정황들이 질문과 대답으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한 사람씩의 파트가 끝나고 다른 파트가 이어질때의 연결 고리들을 생각했다. 서너 사람이 계속 인터뷰를 하는게 아닌 하도 여러 사람이 질문과 대답을 하는 통에, 만약 이 책이 영화였다면 안개속에 휘말린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달까. 각자의 사연을 가지고 인터뷰에 응한 사람들, 역시 이들은 각자 자신이 본 것들을 이야기하는데, 어느 누구하나 같은 대답을 하는 사람이 없다.

 

우리들도 마찬가지겠지만, 사고 현장에 있었던 사람들은 평범한 삶을 제대로 살 수 없었다.

정부의 조사요원으로 일했던 이도 다른 일을 하고 있었고, 사고 현장에서 살아남은 어린 소녀도, 사고 현장에서의 기억이 확실하지 않다. 이들은 자신이 본 상황들을 이야기하지만 이 사람들이 하는 말들은 진실하지만은 않다. 저마다 무언가를 숨기고 있다. 자신에게 유리한 말만 하고 있었다. 인터뷰를 할때 그들이 믿는 진실은 책을 읽는 독자에게까지 전해져오지 않았다. 모호한 진실 속에 자신의 본심을 감췄다. 급기야 정부의 음모론 까지 들먹여진다.

 

사고 현장에서 기적적으로 살아 남은 아이의 모습은 아이들 마저 추악한 진실을 감추고 있었다.

우리가 살기 위해 행동 하듯, 어린 아이들도 그런 모습이 마음속에 자리잡고 있었던 것이다. 책을 다 읽고 나서 다시 보이는 표지의 의미. 인형을 들고 걸어가고 있는 아이의 뒷모습이 섬찟하게 느껴진다. 아이의 시선 속에 많은 것이 담겨져 있음을 알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