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상시에도 아침 출근 전에 신문을 대충 훑어 보지만, 토요일에 오는 신문은 유달리 깊이있게 들여다 본다. 바로 책을 소개하는 '책의 향기' 코너가 있기 때문이다.

책을 읽게 하겠다는 신문사의 배려로 나는 내가 읽고 싶었던 작가를 만나기도 하고, 읽었던 책, 구입한 책, 이거다 싶은 새로운 책들을 만나기도 한다.

 

 

나는 오늘 아침 신문에서 새로운 작품 『28』로 온 정유정 작가의 인터뷰 내용을 보며

미리 예약구매한 걸 기쁘게 생각하기도 했다. 곧 나에게로 올 작품이라서. 이처럼 인터뷰 사진과 기사를 보며 책을 읽을 기다림이 마냥 설레기도 했다.

 

 

 

 

 

 

 

나는 신문에서 오늘 책을 발견했다.

바로 미셸 페로의 『방의 역사』라는 책이다.

 

아주 비싼 가격을 자랑하고 있지만, 과감하게 구입하고 싶은 책이었다.

우리가 숨쉬고, 자고, 많은 사생활을 함께 하는 방의 역사를 알수 있다니, 이런 책을 이제야 보았던가 싶을 정도였다.

 

표지에서 보는 그림에서부터 오래전의 그림과 함께 방을 이야기하는 책이란 걸 알수 있었다.

 

왕의 침실에서부터 부부 침실, 여인의 방, 어린이의 방, 노동자의 방, 호텔 방 등 다양한 방 안에서 벌어진 역사를 낱낱이 모았다고 표현했다. 

 

또한 은밀한 방의 역사를 방대하게 복원해낼 수 있었던 것은 이 노학자가 옛 편지와 일기, 문학작품을 부지런히 뒤진 덕분이라고 했다. 또한 여성사, 노동사, 왕실문화사, 성생활사에 이르는 '거의 모든 것의 역사'이기도 했다.

아,, 책 값이 후덜덜덜 하지만, 갖고 싶은 책이 되었다.  

 

 

또한 신순옥이 지은 『남편의 서가』라는 책도 눈에 들어온다.

 

2년전 44세의 젊은 남편이 뇌종양으로 세상을 떠난 뒤 남편이 남긴 엄청난 책을 정리하려 했지만, 차마 치우지 못하고, 6개월이 지나서야 남편이 남긴 책들을 통해 과거의 기억을 풀어내는 책이라 했다.

 

이 책 또한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궁금증을 일으킬 책이었다. 구입해서 읽고 싶은 책이다. 

 

 

 

 

 

 

다음은 그림에 관련된 책이었다. 

 

서양화든 동양화든 예전의 그림들을 좋아하는 내게 이 책의 표지부터 들뜨게 만들어 얼른 책을 소개하는 내용을 훑어 본 책이다. 내가 좋아하는 정선, 김홍도, 강세황 등이 그린 인물화를 다룬 책이라 한다. 

 

그림을 볼 생각에 역시 두근거림이 먼저 찾아드는 책이다. 

 

 

 

 

 

이외에도 이번 주 '책의 향기'는 관심가는 책들이 많았다.

제목을 보고, 책의 간단한 설명을 읽으면, 역시 읽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