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D현경 시리즈
요코야마 히데오 지음, 최고은 옮김 / 검은숲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전에 보았던 영화 <살인의 추억>이 떠오른다. 공소시효만료를 앞두고 아직도 해결되지 못한 미제사건이 되어, 피해자들의 가족들에게 더없이 안타까움을 주었던 영화였다. 우리는 신문지상에서  그 사건들을 간헐적으로 봐왔지만, 막상 영화에서 그 사건을 대하는 이들을 보고는 꼭 잡혔으면하는 안타까움이 일었다. 요코야마 히데오의 이 작품 『64』또한 오래된 유괴사건의 공소시효 만료를 앞두고 있는 사건 '64'에 대한 이야기이다. 작가는 1987년 일본의 군마현에서 있었던 '오기와라 요시아키 소년 유괴살인사건'에서 모티프를 따왔다. 당시 유괴사건을 취재하던 기자로서 공소시효가 만료된 2002년에 작품을 시작했다고 하니 그가 이 사건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었는지, 자식을 잃은 부모의 마음을 주인공인 '미카미'에게 투영하지 않았나 싶다.

 

 

작품에서의 『64』는 쇼와 64년에 일어난 사건이라 하여 사건명이 '64'라고 붙여졌다.

'미카미'는 D현 경찰서의 홍보담당관으로 일하고 있다. 경무부에 근무하는 경찰관들은 발로 뛰어 사건을 해결하고 범인을 잡는 형사와는 달리 내부에서 근무하는 사무직으로 형사들에게서, 형사들과는 다른 족속이라는 식의 폄하를 받는다. 경찰서의 홍보실에 근무하는 직원들은 사건이 생겼을때 경찰서 출입기자단들에게 사건의 개요를 알리기도 하고, 통제하기도 하는 역할을 한다. 형사들에게는 사건을 캐려는 자들로 비치고, 기자단들에게는 알면서도 숨기지 않나 하는 의심을 받기도 하는 자리다.

 

 

홍보담당관 미카미에게는 자신과 똑닮은 딸 아유미가 있다. 아유미는 미인인 엄마를 닮지 않고, 아버지 얼굴을 닮았다는 게 너무 싫고, 죽고 싶어해 석 달전에 가출했다. 혹시라도 시체라도 찾았나 싶어 체형이 비슷한 시체가 나왔다는 말에 아내와 함께 확인을 했지만, 자신의 딸이 아닌 걸 알고 안도의 한숨을 내쉰다. 시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건, 어딘가에 살아있다는 걸 의미하기도 하기 때문이었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딸이 가출해 생사를 알수 없어 아내는 외출도 하지 않고, 전화기 옆에만 붙어 있지만, 그걸 알면서도 다그치지도 못하며, 또한 기자들을 상대해야하는 홍보담당관으로서의 일이 있다.

 

 

상관으로부터 본청의 청장이 과거 14년전의 미제 유괴살해사건인 '64'의 사건현장과 유족의 집을 방문해 사건 해결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이에 홍보실의 미카미는 유족의 집에 방문해 청장의 방문 허락을 해달라고 하지만 유족은 거절한다. 유족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미카미는 '64'에 관련된 형사들을 찾아다니지만, 과거 아마미야 쇼코가 유괴되었을때 자택에서 대기했던 팀들도 찾아가지만, 사건 이후로 경찰을 그만두고 연락이 되지 않는 이도 있고, 사건을 캐는 미카미를 경무부에 물들은 형사 출신 미카미로 보기 시작하는 형사들때문에 숨어있던 진실을 알기가 쉽지 않음을 알게 된다.

 

 

 

 

요코야마 히데오는 소설 『64』를 여타의 추리소설이 아닌 경찰소설을 썼다. 

경찰이 주인공이고 유괴살해사건이 생겼을때, 사건을 추리하며 해결해가는 경찰관들의 모습보다는 경찰 내부와 외부 조직의 관계와 갈등을 드러내고 있었다. 사무직이라고 할 수 있는 경무부서의 일의 특성과 그들을 사무직으로만 바라보는 발로 뛰는 형사부들의 심리가 들어있었다. 형사들은 살인사건이나 유괴사건이 생겼을때, 출동한 후부터 사건을 해결하고자 밤을 지새우는 일이 많고 직접 몸으로 뛰며 살인범들을 잡고자 하는 행동형 사람들이다. 그에 비해 사무실에서 일하며 정시에 퇴근하는 경무부서의 일을 우습게 보는 것도 사실이다. 형사 출신인 미카미가 홍보담당관으로 인사이동으로 왔을때 그를 바라보는 홍보실의 직원들도 2년후면 형사부로 돌아갈 것으로 보고, 미카미 또한 자신이 있을 곳은 형사부라는 생각을 짙게 하고 있었다.

 

 

기자 출신인 요코야마 히데오의 『64』는 날카롭고 강렬했다.

미카미를 빌어 형사의 감각으로 사건을 해결하려는 강한 의지를 보여줬고, 자신의 자리에서 자신의 직무를 다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우리는 알 수 있었다. 인간이 어떤 하나로 얼마나 심약해지는 지, 또한 얼마나 집요하고도 철저해질 수 있는지 다양한 인간상들을 볼수 있던 작품이었다. 어떠한 일이 있어도 자식을 위해서 끝까지 포기하지 못한 점, 누군가를 아끼기 위해 사건의 한 실수를 과감하게 덮을 수도 있는 점, 더 나은 것을 얻기 위한 것이었음을 우리는 알 수 있었다. 작가는 우리에게 휴머니즘을 이야기한다. 약한 인간이지만 강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던 작품이었다.

 

 

* 이 리뷰는 예스24 리뷰어클럽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