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대한 개츠비 (양장)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7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김영하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누군가에게 사랑을 받는 다는 것은 무척 행복한 일이다.
오로지 한 여자를 위해서 평생 마음이 변하지 않는 것. 한 여자를 죽을 때까지 마음에 품고 있는 남자를 볼때면 사랑받는 여자가 부러울 정도다. 여자들은 대부분 그런 남자를 꿈꾸지 않을까. 그런 남자만 있다면 지금이라도 만나보고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푹 빠지게 되지 않을까. 여자들에게는 로망같은 남자, 개츠비를 만났다.
개츠비는 그가 좋아했던 여자 데이지 가까이에 있기 위해 웨스트에그 마을로 이사했다
데이지의 집이 바라 보인다는 이유로, 데이지가 자기를 만나러 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으로 저택을 사, 날이면 날마다 파티를 열었다. 파티를 열면 가까운 마을에 사는 데이지가 자기 집을 방문하지 않을까 하는 강한 염원이 있었다. 데이지가 다른 남자를 만나 결혼하고, 결혼한 남자와의 사이에 아이가 있다 해도 개츠비에겐 문제가 되지 않았다. 데이지가 자기를 바라 보기를, 아직도 자기를 사랑한다는 마음을 얼른 알아채기를 바라는 것이다.
"당신 부인은 당신을 사랑하지 않습니다."
"데이지는 당신을 사랑하지 않습니다. 날 사랑합니다. " (164페이지)
개츠비가 사랑했던 데이지는 자신의 신분과는 다른 상류층 여성이었다.
개츠비는 언제 다른 나라로 나갈수 밖에 없는 군인이란 신분이었다. 영국에 있는, 데이지를 사랑하는 개츠비는 미국에 있는 그녀에게 가려고 애를 쓰지만 자신의 마음처럼 되지 않았다. 그러는 사이 오지 않는 개츠비를 기다리지 못하고 데이지는 자신의 앞에 나타난 돈 많은 부자 톰 뷰캐넌과 결혼하고 화려한 생활을 시작했다. 개츠비는 데이지를 위해 불법으로 돈을 벌어 그녀가 사는 마을에 커다란 저택을 샀다. 그녀에게 보이기 위해. 이제 나한테 오라고. 개츠비가 사랑해마지 않았던 데이지는 우리의 생각과는 다르게 속물적인 여자였다. 개츠비를 다시 만나 저택에서 그의 아름다운 셔츠들을 보며 개츠비를 안는게 아닌 셔츠 더미들을 안고 눈물을 흘리는 여자였다.
데이지의 속물적인 성격은 개츠비가 죽고나서도 그대로 드러났다.
이 책의 화자 닉 캐러웨이가 개츠비의 장례식에 오기를 기다렸지만 데이지는 자신의 안락한 생활을 버리지 못하고 톰 뷰캐넌과 장기간 여행을 떠나버린 여자였다. 남편 톰이 윌슨 부인을 정부로 둔 사실을 알면서도 자신의 안락을 위해 모르는 척 하고 넘어간 여자였다. 그런 여자를 사랑한 개츠비는 그런 사실을 알면서도 그녀를 자신에게로 데려오고 싶어 했다.
개츠비는 오직 저 초록색 불빛만을 믿었다. 해가 갈수록 멀어지기만 하는 가슴 설레는 미래를. 그것은 이제 우리 앞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그러나 무슨 문제인가. 내일 우리는 더 빨리 달리고 더 멀리 팔을 뻗을 것이다 ....... 그러면 마침내 어느 찬란한 아침 ....... (224~225페이지)
이 책을 번역한 김영하 작가는 작품해설에서 " 데이지는 사랑 그 자체와 사랑에 빠지고 개츠비는 자기 자신의 이미지와 사랑에 빠진다. 그들은 서로를 사랑한다고 믿고 있지만, 실은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있는 것이다." 라고 했다. 사람들은 진짜 사랑하는 모습도 보이지만,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사랑한다고 한다. 사랑에 실패했을때도 자신이 사랑한 상대보다도 자신의 그런 이미지 때문에 아직도 사랑한다고 착각하고 있다고 말하는 글을 보았다. 이 책에서의 개츠비도 그랬던 것 같다. 다른 남자와 살고 있는, 데이지가 있는 집의 초록색 불빛을 바라보며 자신의 돈을 사랑하는 데이지와의 미래를 꿈꾸었던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아메리칸드림으로 인한 한 인물의 공허한 꿈을 표현한 비극적인 글을 나타냈다. 진실로 간절히 원했지만 결코 이루어지지 않는 그들의 이상을 그린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