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여애반다라 문학과지성 시인선 421
이성복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늘, 시를 읽어야겠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성복 시인의 시집이 새로 나왔다고 해서 구입한 시집이다. 또한 SNS에서 이성복 시인이 번역한 작품 『좁은문』이 나왔다는 소식을 듣고 더욱 시집부터 만나고 싶었다. 그의 시집 중 『남해 금산』을 먼저 읽고자 했으나 신작을 먼저 읽었다. 이 작품은 이성복 시인이 10년만에 낸 시집이며 '래여애반다라'라는 제목을 썼는데, 이는 신라의 향가 「풍요風謠」(「공덕가功德歌」)의 한 구절인 '래여애반다라來如哀反多羅'를 썼으며,  '오다, 서럽더라'라고 풀이된다고 한다. 신라 백성들이 불상을 빚기 위한 흙을 나르면서, 그 공덕으로 세상살이의 서러움을 위안하는 내용이라고 시집의 발문에서 시인의 제자가 설명하고 있었다. 

 

 

처음 시집을 펴 읽기 시작했을때는 마음의 울림을 그다지 느끼지 못했다.

뒷 쪽으로 읽어갈수록 시의 제목들이, 시어들이 가슴속으로 들어왔다. 그리곤 다시 앞장으로 와 처음부터 시를 다시 읽기 시작했다. 그때는 시집의 첫편부터 마음속에 울림을 주고 있었다. 시인이 말하고자 하는 마음이 시어속에서 숨쉬고 있었다.

 

 

시집의 첫편을 먼저 보자면,

 

그 봄, 청도 헐티재 넘어

추어탕 먹으러 갔다가,

차마 아까운 듯이

그가 보여준 지슬못,

그를 닮은 못

 

멀리서 내젓는

손사래처럼,

멀리서 뒤채는

기저귀처럼

찰바닥거리며 옹알이하던 물결,

 

반여, 뒷개, 뒷모도

그 뜻 없고 서러운 길 위의

윷말처럼, 

비린내 하나 없던 물결,

그 하얀 물나비의 비늘, 비늘들

 

                                    -  죽지랑을 그리는 노래

 

 

시는 한번 읽어서는 제 의미를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다지 와닿지 않는 시도 다시 음미하며 읽으면 그 시의 의미를 조금은 알듯 하다.

짧은 시어 속에 응축되어 있는 의미와 더 나아가 나는 시 속에서 나의 삶을 반추하고 있었다.

 

 

이 순간은 남의 순간이었던가

봄바람은 낡은 베니어판

덜 빠진 못에 걸려 있기도 하고

깊은 숨 들여 마시고 불어도

고운 먼지는 날아가지 않는다.

깨우지 마라, 고운 잠

눈 감으면 벌건 살코기와

오돌토돌한 간처녑을 먹고 싶은 날들

깨우지 마라, 고운 잠, 아무래도

나는 남의 순간을 사는 것만 같다.

 

                                 -  來如哀反多羅 3

 

아주 일상적인 일을 적어놓은것 같지만 지금 살고 있는 삶이 나의 시간이 아닌 남의 순간을 사는 것만 같다는 구절이 참 서럽고도 허무하게 느껴졌다. 시인이 올해 만 육십 세 라던가. 그래서일까. 시 속에는 죽지 못해서 살고 있는 시인의 마음, 아직 살아 있음에 간절한 시간들, 그럼에도 살아가는 그 순간순간들이 보였다. 살아 있음이 이토록 서럽다는 걸 시어들 속에서 느낄 수 있었다.

 

 

언젠가 그가 말했다. 어렵고 막막하던 시절

나무를 바라보는 것은 큰 위안이었다고

-중 략-

 

그는 한 번도 우리 사이에 자신이

있다는 것을 내색하지 않았다.

우연히 그를 보기 전엔 그가 있는 줄 몰랐다.

-중 략-

 

그는 누구에게도, 그 자신에게조차

짐이 되지 않았다.

-중 략-

 

도저히, 부탁하기 어려운 일을

부탁하러 갔을 때

그의 잎새는 또 잔잔히 떨리며 속삭였다.

- 아니 그건 제가 할 일이지요

 

어쩌면 그는 나무 얘기를 들려주러

우리에게 온 나무인지도 모른다

아니면, 나무 얘기를 들으러 갔다가 나무가 된 사람

-후 략-

 

                                       -  기파랑을 기리는 노래

 

 

나이 육십이 넘어가면 죽음을 무시할 수는 없다. 죽음에 대한 시 들이 많았다. 장인 장모의 죽음을 바라보는 시선들, 물고기의 죽음, 새들의 죽음으로 또 다른 생명을 구하는 일. 죽음은 새로운 시작의 다른 의미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글 속에서 위안을 얻는다.

그게 소설이든, 에세이이든, 시이든.

글에서 느끼는 위안은 아주 크다. 아주 짧은 몇 줄의 글에서도 우리는 눈물을 흘릴 줄 아는 감성을 지녔다. 소설에 비하면 아주 짧은 글인 시. 시를 읽으며 마음을 다독인다. 그리고 마음의 치유를 얻는다. 시는 마음을 드러내는 창. 더이상 서럽지 않기 위해 시를 읽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