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운의 조선 프린스 - 조선왕실 적장자 수난기
이준호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조선이란 나라의 왕은 몇 명의 왕을 제외하고는 거의 적장자가 왕이 되었을거라 생각했다.

적장자 계승원칙에 따라 당연히 그렇게 되었을거라고 생각하고 이 글을 읽던 차에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적장자 계승원칙을 따르려 했지만, 500년 조선 왕조 스물일곱 명의 왕 가운데 적자자로서 왕위를 계승한 임금은 문종, 단종, 연산군, 인종, 현종, 숙종, 순종 등 일곱명에 지나지 않았다 한다.

 

 

장자의 왕위계승은 아버지가 되는 기쁨을 제일 먼저 안겨준 자식에게 애틋하고 각별한 정을 느끼기 마련이며, 그런 장자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싶었을것이고, 장자가 왕위를 계승하는 것이 왕실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도 가장 무난했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었다. 조선의 왕들은 자식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자신의 아들이라는 것을 부정했고, 어떻게든 다음 왕위를 주려는 세자의 부덕한 행실로 인해 폐세자가 되기도 했다. 또한 역할이 너무 커버린 세자를 견제하기 위해 왕이 될수 없었다.

 

 

저자는 조선 시대의 왕자들, 특히 비극적인 운명을 살다간 왕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썼다.

총 5장에 걸쳐 비운의 왕자들을 소개하는데 첫번째 장이 정종 이방과의 아들인 불노와 지운이고, 두번째 장에서는 태종의 아들인 양녕대군이다. 세번째 장은 세조의 아들인 의경세자의 적장자인 월산대군 이정과 예종의 적장자 제안대군 이현이며, 네번째 장은 선조의 적장자 영창대군, 다섯번째 장은 인조의 적장자 소현세자가 그들이다.

 

 

저자가 말하는 왕자중 가장 눈에 띄는 이는 양녕대군과 소현세자이다.

언젠가 드라마로 방영되었던 '대왕 세종'을 기억한다. 드라마에서는 양녕이 충녕에게 왕세자 자리를 양보하기 위해 미친척하고 방탕한 생활을 일삼았다고 나왔었다. 그럴수도 있겠다 싶었고 어느 정도 설득력도 있었다. 하지만 저자는 야사처럼 일부러 왕세자 자리를 넘겨주기 위해서 양녕이 미친척했기보다는 어렸을때부터 왕재 교육을 받으며 억압된 생활과 감시로 인해 방탕한 생활을 해 태종으로부터 믿음을 얻지 못했다고 말하고 있었다.

 

 

병자호란후 배반하지 않을 것에 대한 아비의 맹세로 볼모로 청나라고 간 소현 세자의 이야기를 그린 김인숙 작가의 『소현』을 읽은 적이 있었다. 아들이되 임금의 적이 될수 밖에 없었던 비운의 세자를 그린 책이라 참으로 안타까워 했었다. 또한 긴 세월동안 볼모생활을 하던 청나라에서 조선으로 돌아왔을때도 이미 의심의 눈으로 바라볼 수 밖에 없었다. 소현세자가 독살당했을수도 있었다는 것을 언급한 것도 다시금 마음이 아팠다.

 

 

보통 자식간에는 한없이 사랑으로 대할 관계도 정치적인 권력 관계에서는 숙적으로도 변할수도 있는 비정한 관계라는 걸 다시 한번 알 수 있었다. 그들도 궁궐 밖 평범한 일상들을 꿈꾸었을까? 아니면 진짜 권력을 탐하려고만 생각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