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토장이의 딸 - 상
조이스 캐롤 오츠 지음, 박현주 옮김 / 아고라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조이스 캐롤 오츠의 작품 『좀비』로 작가를 알게 되었다.

그 악인을 다룬 글임에도 굉장히 냉정하게 이야기를 풀어나간 그 차가운 감성에 조이스 캐롤 오츠라는 작가의 이름을 머릿속에 새겼다. 그리고 만난 『사토장이의 딸』. 난 처음에 사토장이란 말을 잘 몰라, 느낌상으로만 흙을 만지는 사람인가 했다. 단어를 검색해보니 무덤을 만드는 사람이라고 나와 있었다. 그때부터 무덤이 떠올라 왠지 으시시한 느낌이 들었다. 더군다나 돌무덤처럼 생긴 곳에서 살아가기란 굉장히 힘들었을 거라는 생각도 했다. 작가는 실제 사토장이의 딸이었던 할머니의 삶을 모티프로 삼아 이 글을 썼다고 밝히고 있었다.

 

 

제2차세계전쟁이 한창인 때 독일에서 나치의 탄압을 피해 미국으로 건너와 사토장이로 살던 아버지, 미국으로 건너오는 배의 항구에서 태어난 레베카, 오빠들이 살아가지만 동네 아이들로 하여금 '유대인'이라며 멸시와 핍박을 받으며 가족이 무너지고, 그 속에서도 살기 위해 애썼던 한 여성의 성장기를 다루고 있었다. 독일에서 피아노를 쳤던 엄마 안나, 수학교사였던 아버지 제이콥 슈워트는 나치를 피해 미국으로 왔지만 그가 가질수 있었던 직업은 사토장이 밖에 없었다. 그리고 그 일을 할 수 밖에 없는 이유, 그들이 살 집인 돌오두막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오빠들의 가출, 부모의 죽음후 레베카는 러터 선생님의 집에 얹혀 살다가 남편 티그너와 살지만 그는 폭력을 아무렇지도 않게 휘두르는 남자였다. 남편의 이름을 딴 아들 나일리에게도 폭력을 휘두르자 오로지 살기 위해, 남편으로부터 도망친다. 이름도 헤이즐 존스로 바꿨다. 언젠가 공장에서 일을 마치고 돌아오고 있을때 레베카를 따라 왔었던 남자가 헤이젤 존스 아니냐고 물었을때의 그 이름. 그녀에게는 새로운 삶이 펼쳐졌다. 피아노 연주를 하는 아들 나일리도 재커리어스 존스가 되어 새 삶이 시작되었다.

 

 

책 내용의 주축은 레베카와 제이콥 슈워트의 심리를 다룬 1부와 헤이즐이 된 레베카와 그녀의 연인이며 아들 잭의 후원자이자 재능을 알아 본 갤러허, 잭의 심리가 나온다. 아들을 지키기 위해, 자신이 살기 위해 죽음을 무릅쓰고 도피행각을 벌여 살아남았지만 그 속에서 그녀가 느껴야 했던 삶의 정체성이 책의 마지막에 가서야 회복을 하게 됨을 볼 수 있었다.

 

 

 

 

그 시절엔 그랬을 수도 있었겠다 생각했지만, 이토록 힘든 사람, 사람에게 받는 핍박과 아픔이 컸을지는 몰랐다. 그들에게도 유대인이라며 무시하고 멸시했었다는 게, 심지어 가족인 갤러허에게조차 그 사실을 감출수 밖에 없었다는 사실이 아픔으로 다가왔다. 자신의 사촌일지도 모르는 프레이다에게 쓴 편지글에서야 나는 레베카이자 헤이즐에게 깊이 동일시되었다. 그제서야 그녀가 감추고 살아야 했던 아픔들이 마치 내 아픔처럼 그렇게 느껴졌던 것이다.

 

자신의 존재를 알림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했던 그 부분을 읽으면서 계속 눈물이 흘렀었다.

작가가 할머니의 세계를 보며 가슴아파했을 그 마음들이 그대로 전해져 왔고, 생각해보면 예전의 우리 부모 세대들도 그 힘든 과정들을 다 겪어 왔기 때문에 지금의 우리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어떻게든 레베카는 살아남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