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러스트 이방인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호세 무뇨스 그림 / 책세상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알베르 까뮈의 이방인을 읽었다.
그것도 한 손으로 들 수 없는 특별판으로. 또한 호세 무뇨스의 흑백으로 된 일러스트된 이방인을.
사진 속 표지의 띠지에서도 보다시피 『이방인』출간 70주년과 알베르 까뮈 탄생 100주년을 기념한 특별판으로 제작된 책이다. 책 제목을 보자마자 소장 욕구에 구입하게 되었다. 사실 이렇게 큰 판형일줄은 몰랐다. 들고 다니기도 버겁고 오로지 집에 앉아 읽어야 할 판형이었다. 흑백의 일러스트를 보며 도대체 이 세상 사람 같지 않은 '이방인' 뫼르소를 알아가려 했다. 책의 마지막 장을 덮는 순간까지, 뫼르소를 다 알 수 있었나 하면 그건 아닌것 같다. 마지막까지 뫼르소를 다 알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뫼르소란 사람, 작가가 이 책의 제목을 왜 '이방인'이라고 했는지 조금은 알것 같다.
자신의 죽음 앞에서도 남의 죽음을 바라보듯 하고, 자신이 죄인이라는 것도 재판을 하며 남으로 인해 알게 된 사람. 자신의 재판에도 왜 먼 곳을 보듯 했는지 조금쯤은 알겠다. 세상에 이런 사람이 있을까. 이세상 사람같이 않는. 생각이 저 먼 곳에 있는 사람.
책의 줄거리는 아주 간단하다. 내용 또한 짧다.
선박회사에 근무하는 뫼르소, 양로원에 있는 어머니의 죽음을 알려주는 전보를 받고 그곳으로 향한다. 어머니의 시신을 보겠냐는 질문에 보지 않겠다고 하고 마지막 묘지에서도 어머니를 보지 않겠다고 한다. 어머니의 죽음을 자신과 상관없는 사람의 것으로 생각하는 그의 무관심에 그를 보는 사람들의 시선이 그다지 곱지 않다. 더군다나 그는 어머니의 나이도 몰랐다. 어머니의 장례를 치르고 온 다음 날, 전에 같이 근무했던 마리를 만나 바다에 나가 해수욕을 하고 그녀와 정사를 벌인다. 같은 아파트에 사는 레몽과 친구가 되고 개를 잃어버린 살라마노에게 위로의 말을 한다. 레몽은 연인을 자꾸 때리는 남자로 그와 관련된 어떤 사람을 총으로 죽이고 만다.
그러나 그때는 그러한 것이 나에게는 별로 의미가 없었다. 한나절이 얼마나 길면서도 동시에 짧을 수가 있는 것인지 나는 깨닫지 못했던 것이다. 지내기는 물론 길지만 하도 길게 늘어져서 하루는 다른 하루로 넘쳐서 경계가 없어지고 마는 것이었다. (101페이지)

지금이건 이십 년 후건 언제나 죽게 될 사람은 바로 나다. 그때 그러한 나의 추론에 있어서 좀 거북스러웠던 것은, 앞으로 올 이십 년의 삶을 생각할 때 나의 마음속에 느껴지는 저 무서운 용솟음이었다. 그러나 그것도, 이십 년 후에 어차피 그러한 지경에 이르렀을 때에 내 생각이 어떠할까를 상상함으로써 눌러버리면 그만이었다. 죽는 바에야 어떻게 죽든 언제 죽든 그런 건 문제가 아니다. (131페이지)
주인공 뫼르소가 사랑하는 건 작렬하는 태양이었다. 바다에서의 해수욕이었다. 빛나는 태양과 흑백의 일러스트가 전하는 건 삶의 어두운 이면이었다. 재판에서 그를 살인자로 몰아가며, 죄를 지었던 정황보다는 그의 사람됨을 더 부각시켜, 어머니의 죽음 앞에서도 연인과 질펀한 정사를 벌이고, 코미디 영화를 보고, 기분좋게 해수욕했다는 걸 강조하며 그는 죄인 중의 죄인이라 몰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이 보인다. 중죄인을 보는 재판장의 서늘한 눈빛, 어떻게든 그의 인간같지 않았던 행동들을 알게 해주며 그를 죄인으로 몰아가는 검사와 차가운 눈빛들의 배심원들. 자신이 진짜 죄를 지었는지 그들의 말을 들으며 죄인이라는 걸 인식하게 되는 뫼르소의 아웃사이더적인 무심함. 이런 뫼르소를 보며 왜 이렇게 밖에 행동할 수 없는가를 생각했다.
책 속의 뫼르소를 나타내는 그림들은 모두 알베르 까뮈를 닮았다.
차가우면서도 무심한 눈빛을 지닌 뫼르소, 그리고 알베르 까뮈의 모습이 오버랩되어 보였다. 그 전에 내가 읽은 알베르 까뮈의『이방인』이나 『페스트』는 수박 겉핧기식 책읽기 였다는 걸 이제야 알겠다. 지금의 나이가 되어보니 까뮈가 말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부조리를 이제야 느끼겠다. 가슴을 치는 내용들이었다.
호세 무뇨스가 왜 흑백의 일러스트를 그렸는지도 책을 다 읽고 나니 가슴을 탁 치고 들어온다. 까뮈가 말하고자 했던 것을 호세 무뇨스는 그대로 표현한 것이었다. 까뮈가 말하고자 하는 자신의 일인데도 무관심함과 죽음을 흰 종이에 먹으로 된 그림을 표현한 것이었다.
삶의 의미를 찾으려 한다면 삶이란 결코 불가능하다. - 알베르 까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