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계단 - 제47회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작 밀리언셀러 클럽 29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 황금가지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며칠전부터 딸아이가 학교에서 토론 주제로 사형제도에 대한 것을 하기로 했다며 아빠와 엄마, 중학생인 남동생 까지 '사형제도를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흉악무도한 살인범을 보았을때, 어린 소녀들을 강간하고 죽인 살인범이라든지, 여러명의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간 연쇄살인범을 볼때면 죽어야 마땅하다고 생각하지만, 우발적으로 일어난 살인사건에 휘말린 사람을 볼때면 그 생명이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럴때면 꼭 사형제도가 필요한 것인가 하는 생각을 한다. 만약 내 가족에게 일어난 일이라면 복수를 꿈꿀지도 모른다. 사형제도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할 것이고, 마음속으로 몇번이고 그를 죽이는 상상을 할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읽다보니 사형제도에 관한 것을 묻는 책이어서 아이가 물었던 일이 생각나, 조금 더 빨리 책을 읽었더라면 아이에게 권해 줄 수도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전에 공지영 작가의 책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읽으며 사형제도에 대한 것을 생각했던게 기억난다. 우리가 살아있다는 것만으로도 얼마나 행복한 일인지 가슴절절하게 깨달았었다. 공지영의 책이 우리의 감성을 자극하며 사형제도를 묻는 책이었다면, 다카노 가즈아키의  『13계단』은 일본의 사형제도에 대한 것을 아주 냉철하게 묻는다.

 

 

살인을 저지른 사람들, 더구나 사형수들에게 저승사자 들이라고 불리우는 사형 집행관의 발걸음이 들릴때 느끼는 그 두려움부터 이 작품은 시작한다. 사형수들의 감방을 돌아다닐때는 발걸음도 들리지 않게 조심스럽게 다녀야 한다고 한다. 사형수가 있는 감방 문 앞에서 발걸음이 멈추었을때 죽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소변을 지리고, 정신이 착란 될 수도 있는 극도의 두려움을 보면서, 사형제도라는 것, 꼭 생명을 앗아가야 하나 하는 의문이 들게 만든다. 

 

 

 

 

 사형을 언도받은 살인범의 사형 집행일이 3개월 정도 남은 상태에서 익명의 의뢰인이 내건 거액의 현상금 때문에, 교도관 생활을 염증을 느낀 난고와 상해 치사로 복역 중이다가 집행 유예로 나온 준이치가 이 사건을 다시 조사하게 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사형수는 7년을 복역하면서도 사건이 일어났던 날의 일들이 기억하지 못한다. 최근에 겨우 기억났던 것이 자신이 계단을 올라가고 있었다는 것이었다. 그 기억을 가지고 난고와 준이치는 사건을 처음부터 다시 조사한다. 교도관이었던 난고가 사형 집행인을 하면서, 사형수들을 보고 느꼈던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사형수를 자신이 죽였을수도 있었다는 그 죄책감을 난고의 입을 빌어 이야기한다. 상해 치사로 복역했던 준이치가 자신이 사형당할 수도 있었다는 것, 사형수들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들을 보여주고 있었다.

 

 

죄를 범하는 자는 돌이킬 수 없는 형태로 자신의 환경까지 파괴해 버린다. (56페이지)

 

범죄는 눈에 보이는 형태로 무언가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다. 사람들 마음속에 침투하여 그 토대를 들어내는 것이다.  (131페이지 중에서)

 

 

『제노사이드』를 읽을때도 느꼈지만 다카노 가즈아키라는 작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다.

작가가 얼마나 많은 자료를 치밀하게 준비하고 연구, 검토했는지 작품을 읽으면서 드러났다. 책을 다 읽고 나서도 여전히 사형제도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된다. 최근 인터넷을 켰을때 범죄로 가족을 잃은 사람들이 평생 용서하지 못하겠다는 말을 하며 고통스럽다고 말하는 것도 너무 작게 표현한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며 울분을 토한 기사를 보게 되었다. 평생의 아픔이고 고통일 가족과 한 생명의 스러짐에 대한 기로에 서게 되는 사형제도. 역시 명쾌한 답이 나오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