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파드 형사 해리 홀레 시리즈 8
요 네스뵈 지음, 노진선 옮김 / 비채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르웨이의 차가운 감성 작가 요 네스뵈의 『스노우맨』을 읽은 사람이라면 소설속 형사 해리 홀레 시리즈인 『레오파드』또한 독자들을 사로잡을 것이다. 『스노우맨』의 후속작이 나온다고 할때 부터 내내 기다렸던 책, 『레오파드』를 읽었다. 한 번은 독자모니터로서 가제본으로 읽었고 두 번째는 따끈따끈한 책으로 만나게 되었다. 두 번째 책을 읽었는데도 지루한 줄 모를 정도였다. 물론 800페이지가 넘는 책이라 책을 읽는 동안 팔이 아파 조선시대 양반처럼 꼿꼿하게 앉아 읽었다. 도저히 누울수가 없는 책.

 

 

표범은 빠르다. 영리하다. 절대 소리를 내지 않는다. 

단 한 번의 흐트러짐을 기다리며 먹잇감의 숨결에 자신의 숨을 맞춘다.

"나는 지금, 표범 같은 자의 손아귀에 있다."

 

 

『스노우맨』에서 사랑하는 라켈과 올레그를 잃을뻔한 충격으로 홍콩의 허름한 곳에서 하루하루를 버텨내고 있는 해리에게 하겐 경정이 보내온 여형사 카야가 찾아온다. 노르웨이를 공포로 떨게 했던 스노우맨의 공포가 다시 시작되고 있다는 소식을 안고. 두 명의 여자가 죽었는데 스노우맨을 모방한 듯 해보이는 연쇄살인범이 나타났다며 해결할 사람은 스노우맨을 잡은 해리밖에 없다는 말을 전한다. 물론 거절을 하지만 아버지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함께 전해 해리로 하여금 돌아올 수 밖에 없게 만든다. 두 명의 여자가 죽었는데 그 살인무기는 일명 레오폴드의 사과였다. 콩고내전이 일어났던 곳, 콩고에서 족장들에게 다이아몬드가 어디에 있는지 털어놓게하려는 고문기구인 레오폴드의 사과였다. 누가 죽였는지, 무슨 이유 때문인지, 같은 무기로 죽은 이 여자들의 연관 관계는 무엇인지 미궁에 빠진다.

 

 

 

 

『레오파드』는 두꺼운 페이지지만 잠시도 쉴 틈을 주지 않는다. 지루할 틈을 주지 않는다고 해야 맞겠다. 작품속 인물들도 그냥 쉽게 넘어가서는 안된다. 그의 곁에 있는 인물들과 그가 다녔던 장소들이 하나의 연결고리를 안고 결말까지 이어지게 되는 것을 볼수 있었다. 어느 것하나 관심을 두지 않으면 미궁에 빠져버릴지도 모른다. 하나를 보면서 작품 전체로 가는 길을 찾게 될 것이다. 사소한 단서 하나에도 추적을 멈추지 않으며 범인을 유추하는 그의 해결력에 다시 한번 감탄하게 한다. 책은 역시나 요 네스뵈의 추리소설 답게 반전의 반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살인범을 잡았다고 해서 안심할 수가 없다. 누가 진짜 연쇄살인범인지 믿을수가 없게 만든다. 얼마전에 읽은 책 『제노사이드』의 배경과 같은 콩고가 나와 살인자에 대한 누군가가 죽어도 전혀 알수 없는 곳이자 대학살이 일어난 곳이라 콩고에 대한 현실을 인식했다.  

 

 

인간을 살인자로 만드는 것은 대체 무엇이고, 어디에 있을까? 선천적인 걸까? 유전자에 깃들어 특정한 사람만 물려받는 잠재력일까? 아니면 필요에 의해 형성되고, 세상과 부딪히며 개발되었다가, 생존 전략이자 목숨을 구해주는 병이며 이성적인 광기가 되는 걸까? 병이 열을 동반하며 신체에 공격을 퍼붓듯이, 광기는 인간이 새롭게 자리매김할 수 있는 장소로 후퇴시키기 때문이다.  (18페이지)

 

 

위의 말에서도 알수 있지만 인간을 살인자로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책에서는 한 사람의 내면에 타오르는 대한 증오가 살인을 부를수 있다고 스노우맨의 입을 빌어 말한다. 아주 사소하고도 단순한 사건으로 인한 증오의 원천적인 원인, 시간이 갈수록 쌓이는 증오가 언젠가는 활활 타오를때 이처럼 연쇄살인까지도 할수 있다는 말을 한다.

 

 

 

 

『레오파드』한 권으로도 문제 없지만, 아무래도 이 책은 『스노우맨』을 먼저 읽은후 읽으면 더 이해가 빠르겠다. 물론 다른 해리 홀레 시리즈를 읽지 않고 『스노우맨』을 읽어도 쏙 빠져서 읽기도 했다.  북유럽의 차가운 감성을 지닌 추리소설 『레오파드』는 꼭 조선시대 양반처럼 꼿꼿하게 앉아서 읽기를 권한다. 조금이라도 누워서 읽는다면 팔에 경련이 올지도 모른다. 조심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