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김연수 지음 / 자음과모음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김연수라는 작가의 이름만으로도 그의 새 책이 나오면 유심히 보아진다.

이번엔 어떤 내용으로 우리 곁으로 다가올까. 어떤 주제를 가지고 우리의 마음에 손짓할까. 우리는 또 어떤 것들을 느낄까. 그의 작품이 다소 난해하게 느껴져도 짝사랑하는 사람처럼 그의 작품을 자꾸만 읽고 싶어진다.

 

 

표지에서부터 보이는 책은 왠지 아련함이 먼저 찾아든다.

양갈래로 머리를 땋은 소녀의 뒷모습에서도 아련한 추억이 묻어 있을 것 같다.

 

 

현재의 카밀라 포트만. 양어머니인 앤이 죽고 난 뒤 혼자서 지내고 있는 그녀에게 양아버지로부터 자신의 어릴적 유년시절의 추억이 쌓여있는 여섯 개의 상자가 도착한다. 그 물건들을 바라보기 꺼렸지만 유이치의 제안으로 추억의 물건을 하나씩 꺼낼때마다 자신의 이야기를 하나씩 써보는 시간을 마련한다. 여섯 개의 상자 속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써 작가가 된 카밀라. 자신의 뿌리를 찾는 논픽션을 쓰기 위해 한국으로 향하게 된다. 여섯 개의 상자속에서 사진을 자신과 친엄마로 보이는 사진 한 장을 발견하고 한국 남해안에 있는 진남으로 향했다. 열입곱 살에 자신을 낳았고 진남여자고등학교에 다녔다는 걸 알게 된 카밀라(희재)는 진남여자고등학교로 갔지만 교장으로 있는 신혜숙은 졸업앨범등을 보여주지만 진남여고 학생이 아니었다는 말을 한다. 무언가 진실을 숨기고 있는 듯 하지만 알 수가 없다. 엄마 이름이 정지은 이라는 것. 정지은이 아이를 낳는다면 희재로 이름을 짓고 싶어했다는 것.

 

 

소설은 1부는 카밀라의 시점으로 나타나고 2부에서는 지은의 시점으로 카밀라를 너라고 칭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는 마치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에서처럼 독특한 느낌이 들었다. 3부에서는 3인칭 시점으로 지은과 같이 학교를 다녔던 이들이 나와 25년 전을 이야기한다. 소설속에서 등장하는 붉은 동백꽃, 양관의 앨리스 무덤과 에밀리 디킨슨의 시, 그리고 검은 모래가 있는 바다. 이 모든 것들이 우리들을 과거속의 정지은에게로 향한다. 정지은은 왜 자살을 했을까. 카밀라(희재)는 누구의 아이일까. 지은이 찾고자 했던 심연 속에서 날개를 퍼덕이지만 쉽게 가 닿을수 없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서로에 대한 이해를 가로막는 심연이 존재합니다. 그 심연을 뛰어넘지 않고서는 타인의 본심에 가닿을 수가 없어요. 그래서 우리에게는 날개가 필요한 것이죠. 중요한 건 우리가 결코 이 날개를 가질 수 없다는 점입니다. 날개는 꿈과 같은 것입니다. 타인의 마음을 안다는 것 역시 그와 같아요. 꿈과 같은 일이라 네 마음을 안다고 말하는 것이야 하나도 어렵지 않지만, 결국에 우리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알 방법은 없습니다. 그럼 날개는 왜 존재하는 것인가? 그 이유를 잘 알아야만 합니다. 날개는 우리가 하늘을 날 수 있는 길은 없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 존재하는 것입니다. 날개가 없었다면, 하늘을 난다는 생각조차 못했을 테니까 하늘을 날 수 없다는 생각도 없었을 테지요.   (274~275페이지 중에서)

 

 

왜 인생은 이다지도 짧게 느껴지는 것일까? 그건 모두에게 인생은 한 번뿐이기 때문이겠지. 처음부터 제대로 산다면 인생은 한 번으로도 충분하다. 하지만 단번에 제대로 된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단 한 번 뿐인 인생에서 우리가 저지르는 실수는, 그게 제아무리 사소한 것일지라도 돌이킬 수 없다는 점에서는 모두 결정적이다. 한 번뿐인 인생에서 우리는 그런 결정적인 실수를 수없이 저지른다는 걸 이제는 잘 알겠다.  (285페이지 중에서)

 

 

희재의 친아버지가 누구일까. 그의 정체를 찾지만 작가는 독자들에게 그리 친절하지가 않다.

책을 읽는 우리들에게 안개속을 헤매듯 나름의 추리를 맡기고 있다. 그야말로 심연 속에 갇힌 느낌이다.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심연. 우리는 심연 속에 갇혀 우리들의 자화상을 바라보기도 한다.

 

 

처음 '나'로 시작하는 글에 남자 작가가 쓴 글이면 으레 남자 주인공이겠거니 하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된다. 마흔이 넘은 김연수 작가가 스물네살의 작가인 희재와 열일곱 살의 지은 또는 지은의 학교 동기들인 영화감독이나 기자의 마음을 대변하는 글이 상당히 생소하고 낯설었다. 하지만 내가 읽었던 김연수 작가의 몇 권의 책들 보다는 더 다정하더라. 내가 좋아하는 단어인 '심연'이라는 주제와 '희망'의 날갯짓을 이야기하는 이 글이 퍽 다정했다. '나'와 '너'가 모여 '우리'가 되는 희망의 날개가 심연속에서 피어오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