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 같은 날은 없다 ㅣ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61
이옥수 지음 / 비룡소 / 2012년 4월
평점 :
가족이란것에 대해 생각해본다.
밖에서 아무리 힘든 일이 있어도 집안에 오면 따뜻한 기운으로 인해 다시 힘을 얻을 수 있는 곳. 가족은 삶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그런 가족에게서 폭력에 노출되어 있다면 가족은 지옥 속의 인물들이 되어 버린다. 폭력도 습관인 것 같다. 한 번 누군가에게 폭력을 휘두르면 그게 두 번이 되고 습관처럼 되는 것 같다. 감정을 어떻게 주체할 수 없어 아들에게 폭력을 휘두르면, 아들은 동생에게 똑같은 행동을 하게 되고, 동생은 또 강아지나 다른 것에 화풀이를 할 수 밖에 없다. 폭력이 계속 반복된다. 왜 그러는지 깊이 들어가보면 상처와 눈물이 있다. 그걸 마음 깊숙이 묻어 놓고 다른 행동으로 표출하는 것이다. 폭력은 또 다른 폭력을 야기한다.
다른 이도 아닌 가족의 형제남매간의 폭력으로 인해 폭력이 어떤 식으로 나타나는지, 폭력의 원인을 살펴보며 그 상처가 얼마나 아팠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어느 한 사람 만의 문제가 아닌 가족 모두가 대화하고 소통해야 된다는 걸 이야기하고 있다. 집안이 사막같다. 황량한 사막 (71페이지 중에서) 같다고 말하는 중학교 3학년의 강민과 강민의 형 강수 형제, 강민에게 하마라고 불리우는 거식증에 시달렸던 미나와 민욱 남매. 어쩌면 이세상 모두의 이들에게 위로를 보낸다는 작가의 말이 인상적이었다.
아버지가 형에게 말을 듣지 않는다고 때리고, 형 강수는 강민을 때린다. 강민은 또 집안에 키우던 강아지를 때리는 등 폭력이 반복된다. 강민은 아버지가 밉다. 아버지가 형을 때리지 않으면 형은 자기를 때리지 않을 것이고 자기는 또 애꿎은 강아지 찡코를 때리는 일도 없을 것이다. 아버지도 죽이고 형도 죽이고 싶다. 그러다가 강아지 찡코를 죽이고야 만다. 미나, 거식증으로 인해 정신과 전문의 오원장에게 심리 치료를 받으러 갔다가 찡코의 사진을 보게 된다. 찡코는 미나의 외삼촌댁 옆집에 있는 키는 크고 삐쩍 마른 소년이 키우던 강아지다. 강아지 사진을 들여다 보던 중 강아지의 까만 눈망울이 그만 미나의 가슴속으로 들어와 버린다. 그 뒤 자꾸 강아지의 말이 들리고 꿈까지 꾸게 되자 미나는 애니멀 커뮤니케이터를 찾아가 고민을 털어놓게 된다. 미나는 잊고 있었던 과거를 떠올리게 되고 본인이 아픈 상처로 인해 해리성 기억 장애를 갖고 있다는 걸 알게 된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가정내 폭력은 집안 일이라며 쉬쉬하는 경향이 많다.
남편이 아내를 때린다던가, 부모가 아이들을 때리는 경우도 이웃은 알고 있지만 남의 집안 일이라는 이유로 관심 보이는 것도 조심스럽다. 더군다나 형제간의 폭력은 부모들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문제에서부터 시작한다. 형제니까, 형제들은 서로 맞기도 하고 자란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자녀가 말을 해도 오빠니까, 형이니까 그럴수 있지 하고, 심각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때는 다른 사람 보기 창피하다며 쉬쉬 하게 되어 문제가 커지는 것이다.
가족에게도 소통이 필요하다는 것.
많은 대화가 필요하다는 것. 그것으로도 되지 않으면 심리 치료나 상담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겠다. 가족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이었다. 폭력에 얼룩져 마음을 다쳤던 강민과 미나에게 따뜻한 위로의 말을 건네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