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의 베일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7
서머셋 모옴 지음, 황소연 옮김 / 민음사 / 2007년 2월
평점 :
일년 반쯤 전에 『인생의 베일』을 원작으로한 <페인티드 베일>이란 영화를 보았다.
중국 오지의 마을에서 콜레라 때문에 죽어가는 사람을 보살피는 남자, 그리고 그의 아내의 이야기가 나오는 영화였다. 배우 에드워드 노튼과 나오미 왓츠가 주연으로 나온 영화를 보면서 나는 너무 늦게야 자신의 사랑을 깨우친 키티를 보며 너무도 슬퍼 엉엉 울었던 영화였다. 아름다운 화면과 배우들의 연기가 너무도 좋았었다. 그 원작이 있다는 말에 꼭 읽어보고자 했다. 화가 폴 고갱의 이야기이기도 한 『달과 6펜스』의 작가 서머싯 몸의 『인생의 베일』이란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서머싯 몸은 사랑의 상처로 인해 힘겨워하지만 그걸 극복하고 조금씩 성장해 가는 키티의 삶을 이야기한다. 자신의 진정한 삶을 향해 나아가는 것. 그게 인생이 아닐까 싶다.
사랑이란게 뭘까.
상대방이 나를 사랑하니 사랑하는 것? 상대방은 나를 향한 사랑에 푹 빠져있어도 내 마음이 움직이지 않으면 끝까지 짝사랑으로만 남게 되는가. 진정한 사랑이라는 것도 어찌보면 의문스럽다. 동시에 서로 사랑에 빠지는 것도 행복인 것인지.
어머니 때문에 사랑하지도 않는 남자랑 결혼한 키티는 세균학자인 남편 월터를 따라 홍콩으로 온다. 무료한 생활을 하던중 파티에서 멋진 몸매와 유려한 말솜씨를 가진 남자 찰스 타운센드를 만나 불륜에 빠진다. 진정한 사랑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키티. 불륜 사실을 월터가 알아버렸다. 꼭 해야할 말 외에는 말을 하지 않는 남자인 월터는 그 사실을 알고도 특별한 행동을 취하지 않고 있었다. 찰스를 때려눕히기라도 해야 하는데 이 남자는 그런 일을 혼자서 고민하고 조용히 처리를 한다. 바로 콜레라가 만연한 시골 골짜기 메이탄푸로 떠나기로 했다. 키티를 사랑했던 것만큼 고통을 겪었던 월터는 고민끝에 메이탄푸 행을 결심했던 것이다. 어리석고 경박한데다 머리가 텅 비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키티를 사랑할 수 밖에 없었던 월터였다.
생명을 내놓을수 밖에 없는 곳. 죽음의 냄새가 깃든 곳에 절대 갈수 없다는 키티는 찰스를 찾아가 찰스도 이혼하길 원하고 자신도 이혼하겠다 하지만 말만 번지르했던 그 남자는 아내와의 이혼은 절대 안된다고 뒤로 발뺌을 한다. 그제야 찰스의 마음을 알았던 키티. 그런 찰스의 행동까지 예상했었던 월터였다. 십여 일에 걸쳐 메이탄푸로 오게 된 키티는 그곳에서 또한 무료한 생활을 견딜수 없어 한다. 자신과 눈도 맞추지 않는 월터, 키티의 신발이나 벽을 바라보고 말하는 월터 때문에 더욱더 힘들어한다. 무료한 생활을 견딜수 없었던 키티는 워딩턴을 따라 간 병원으로 사용하는 수녀원에서 다른 삶을 보게 된다.
냉철하고 이지적인 남자, 월터.
그토록 키티를 사랑했지만 자신한테 온건 아내의 부정이었다.
그가 선택할 수 있었던 것,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것들. 영화에 비해 책은 거의 키티의 감정 상태를 많이 드러내고 있었다. 그녀가 사랑한다고 믿었던 찰스에 대한 마음, 남자다운 매력이 그다지 없어 사랑할 수 없었던 남편 월터에 대한 감정들.
우리는 왜 항상 너무 늦게야 그 사람을 사랑한다는 걸 알게 될까?
그를 진정으로 사랑했음을 어리석은 일을 겪은 후에야 깨닫게 되는 걸까? 가장 행복할 때 불행한 일이 생길까봐 두려운 것처럼. 우리는 진실된 자신의 속마음을 너무 늦게 알게 되었다. 키티가 마음을 열었을때 그에게 진정한 용서를 빌 수 있었다. 긴 상처와 커다란 고통, 짧은 사랑, 짧은 행복.
그들은 보는 나는 너무도 안타까워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책을 놓자마자 다시 영화를 보았다.
책속 키티의 감정들을 절제한 화면 속 배우들의 연기가 너무도 아름다웠다. 거의 원작을 따라가지만 결말부분은 오히려 책 보다도 더 마음에 들 정도였다. 사랑의 상처로 인해 고통을 겪지만 그 고통속에서 성큼 성장해가는 키티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는 것. 사랑이란 이토록 숭고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았다. 비극적이면서도 아름다운 그녀의 성장이야기, 그녀의 인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