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한 줄에서 통찰은 어떻게 시작되는가 - 고정관념을 깨부수는 '시詩적 생각법'
황인원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시를 읽는 이유.

시인이 어느 한 사물이나 감정에 대해서 글을 짓고, 함축된 그 글에서 우리는 마음속에 커다른 울림을 갖는다. 황폐해진 내면을 시인의 글로 감성적으로 채우게 된다. 글을 음미하고, 글 속에 숨겨진 마음을 들여다보려 우리는 마음의 문을 열어놓는다. 마음이 어지러울수록 시詩들은 더욱더 마음속 깊이 들어오게 된다. 아마도 이래서 시를 읽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해본다.

 

 

 

시 창작은 사람이나 사물을 바라 보는 다양한 시각을 갖는다고 한다. 같은 사물을 보아도 새롭게 해석하는 방법을 배우고, 새로운 발상을 통해 창조와 창의적 사고를 늘리기 위함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생각의 힘'을 느낄수 있는 시詩를 통해 문학적 경영에 관한 통찰을 배우는 글을 만났다. 한 편의 시를 소개하고 그 시에 깃든 의미를 풀어 기업의 경영에서 성공을 거두는 것들을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다.

 

 

 

맹문재 시인의 <바퀴>라는 시가 있다.

이런 하찮은 것에 대해 시를 쓴 그는 바퀴에게 많은 의미를 부여했다. 이처럼 사람들도 마찬가지. 우리는 그리스 신화에서 피그말리온을 기억한다. 여인상을 하나 조각해 놓고 여인상에게 사랑에 빠져 온갖 정성을 기울인 정성이 갸륵하게 여긴 아프로디테가 여인상에게 생명을 불어넣어 사람으로 만들어주었다는 이야기. 이를 가리켜 심리학에서는 간절히 원하면 믿는대로 이루어진다고 해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불리기도 한다. 자신의 가치를 알아주는 사람에게 우리는 충성을 하게 된다는 것을 알려준다. 어느 직장에서건 나의 가치를 진정으로 알아주는 사람에게 우리는 마음을 열고 그 사람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 일하는 사람들을 보아왔다. 기업의 CEO들이 직원들을 향한 한두 마디의 칭찬과 기대가 얼마만큼의 성과를 내는지 알수 있을 것이다.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는

그의 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그의 미래와 함께 오기 때문이다.

부서지기 쉬운

그래서 부서지기도 했을

마음이 오는 것이다. - 그 갈피를

아마 바람은 더듬어 볼 수 있을

마음.

내 마음이 그런 바람을 흉내낸다면

필경 환대가 될것이다. (193~194페이지 정현종 <방문객>)

 

 

 

저자는 정현종 시인의 <방문객>이라는 시를 우리에게 읊어주고,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오는 직원들을 향해 강요가 아닌 감동을 주라는 메세지를 전한다. 한 예로 어느 기업의 CEO가 5월 가정의 달에 임직원들의 자녀 1,599명에게 편지를 썼다 한다. '아빠가 매일 늦게까지 일하느라 많은 시간을 함께 놀아주지 못하게 해서 미안하지만, 세계 최고의 회사를 만들기 위해 고생하는 아빠를 이해해주라'고. 3만원의 문화상품권을 동봉해 필요한 것을 사라고 하며 '아빠처럼 훌륭한 사람이 되라'고 했다고 한다. 가족을 감동시키고, 가족은 직원에게 힘을 보태주면 그에 따른 일의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했다.

 

 

 

굳어 있는 생각들을 버리고 열린 마음으로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다. 시인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 시를 쓰듯 그 시를 음미하며 생각의 힘을 기르고, 우리는 통찰법을 배우게 된다. 저자도 책머리에 언급했지만, 1950년대 섭씨 19도의 컨테이너에서 얼어 죽은 선원이야기 처럼 생각의 힘이 얼마나 큰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경영을 하는 CEO들이 이 책을 읽으면 그 효과가 더 클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