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십년지기
송여희 지음 / 청어람 / 2012년 1월
평점 :
사랑과 우정 사이라는 노래를 기억하시는지.
사랑보다는 먼, 우정보다는 가까운,,,, 이런 식의 가사가 있었던 곡. 많은 이들이 친구로 시작해 연인이 되기도 한다. 자신의 마음을 숨기고 우정 인양 친구로 지내는 이들도 상당히 많을 것이고, 상대방의 마음을 얻고자, 또는 친구라는 이름으로라도 남고 싶어 그들의 곁에 있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나야 뭐 한번 친구는 영원한 친구 라는 모토로 살아왔지만 말이다. 사실 로맨스 소설에처럼 그런 멋진 친구가 없었기에 가능했을수도 있다. 친구녀석들은 왜 하나같이 로맨스 소설의 남자주인공처럼 키도 크고 잘생긴 녀석들이 없었느냔 말이지.
꼭 로맨스 소설이라고 할수는 없지만 내가 좋아하는 러브 스토리의 주요 내용들 중에서 남장 여자 나오는 것과 의사 샘들의 이야기가 나오는 걸 좋아한다. 결혼해서 시작하는 것보다는 이제 막 사랑을 시작하는 그 풋풋한 설렘을 즐기는 터다. 그리고 열심히 자기 일을 하면서 어쩔수 없이 사랑에 빠지는 그 모습들을 참 좋아한다. 이번에 읽은 책도 첫사랑 이야기요, 아주 잘생긴 남자 주인공에게 좋아한다고 고백했지만 마음을 받아주지 않자 그냥 친구로 지내는 두 사람의 이야기이다. 그것도 십여년을.
의대 신입생 최연오. 죽어라 공부만 해 옵세라 불리던 최연오는 의대에 들어와 우연히 마주친 강이현의 잘생긴 모습을 보고 반한다. 의대의 거의 모든 여학생들이 다 좋아했던 이현이었다. 자신에게 좋아한다고 고백했지만 치기어린 감정으로 연오를 놀리고자 했던 이현은 그녀의 마음을 무시한 죄로 십 여년을 그녀의 곁에서 맴돌았다. 연오에게 대쉬를 해볼까 한다는 동기 남학생들에게 같은 동기간의 연애는 근친상간 같지 않느냐며 차단막을 쳐놓고 때론 라이벌로, 때론 친구로 그렇게 지내왔다. 좋아한다는 걸 직접적으로 다가가지는 못하고 그렇게 방해만 놓고 있었다.
남자가 저돌적인 면도 좀 있어야지. 십 여년을 어떻게 버텨왔는지 모르겠다.
친구라는 이름으로 같은 병원에서 같은 과를 지원해 근무하면서 그렇게 서로 다른 사람을 사귀고 있으면서 마음을 숨겼는지. 다른 사람을 사귀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마음이 무지 아프고 조바심이 났을텐데도 그냥 바라보기만 했다는 것인데. 그러고 보면 사람들은 사랑앞에선 다들 소심쟁이가 되나 보다. 내 마음을 거부할 까봐 지레 겁을 먹고 피하는 사람들이 많더라. 사랑을 한다면 과감하게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는게 좋다고 본다. 좋아하는데 피하려만 하지 말고 스킨십을 한다든지 살뜰하게 챙기는 모습에서 눈치채게 만들어야지. 나중에 후회하지 않게.
채령이라는 아름다운 배우와 결혼할 것 같았던, 연오에게는 한 가닥의 마음조차도 없을것 같았던 이현이 연오와 결혼이란걸 하게 되면서 점점 더 자신의 마음을 과감하게 표현하는 모습들을 바라보는게 즐거웠다. 십 년전부터 좋아했다는 사실을 알리기 보다는 그냥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었으면 하고 바라는 이현의 풋풋한 모습이 즐거웠다.
이게 첫 작품이라는데 이 작가의 글 참 마음에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