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 문학에 취하다 - 문학작품으로 본 옛 그림 감상법
고연희 지음 / 아트북스 / 2011년 1월
평점 :
마음이 어지러워 도무지 책이 읽혀지지 않았다.
읽고 싶었던 소설책 몇 권을 뒤적거렸다. 이상하게 내용이 눈에 들어오지 않아 서너 권의 책을 겨우 몇 장씩 읽다가 덮어버렸다. 책장 앞을 서성거렸다. 소설 책에 집중하지 못할때는 여행서나 그림에 관한 책을 보면 마음이 안정되는걸 생각해냈다. 그러다가 이 책을 집어 들었다. 이 글에 대한 리뷰를 보자마자 읽고 싶어 구입했던 책. 그림과 문학 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이잖나. '문학 작품으로 본 옛그림 감상법'이란 소제를 가지고 있는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마음이 풍랑이 이는 듯 춤을 추더니 어느 새 고요해진다. 저자가 소개해주는 옛그림과 시를 읽으며 어느새 위로를 받고 있었다. 그림은 그런 존재인것 같다. 얼어붙었던 마음을 따뜻하게 어루만져주는게 내겐 그림이다.
옛그림 속에 숨어든 문학작품을 소개하는 글이다.
옛그림에 담긴 문학작품을 설명하며 그 시대의 우리의 문화를 들여다보는 일이기도 하다.
그림이 그려질 당시의 문학작품(시)가 애호되던 그 시절의 상황과 중국의 작품을 좋아했던 우리 선조들의 문화적 코드를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림과 문학을 사랑했던 우리 선조들의 여유로움도 엿볼수 있었다. 저자도 책머리에서 밝혔지만 우리나라의 뛰어난 문인인 최치원이나 대문학자인 이율곡의 작품도 더러 있지만 중국 당나라나 송나라의 명시들이 대부분이고 오랜 중국의 사상서나 역사서도 포함을 시켰다고 말했다. 중국의 훌륭한 작품들을 외우고, 그런 문학작품을 그림으로 표현해 문학과 그림이 어우러져 문학작품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해주고 그림을 감상하게 하는 법을 알려주고 있다.
조선의 문인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던 소식. 조선의 문인들은 좋아했던 동파 선생의 모습과 그가 유배지의 뱃놀이를 읊은 '적벽부'와 안견이 그린 「적벽부도」를 감상했다. 여름 지나는 강물에 배를 띄우고 소식이 흥을 내어 노래하기 시작하는데 배 안의 손님 한 명이 구슬픈 가락의 피리를 분다. 삶의 덧없음을 지적하고 죽은 영웅(조조)의 시를 읊는다. 소식과 손님은 삶은 한때 위대했던 영웅과 그의 참패 장면과 영웅의 죽음을 떠올리고 인생의 유한함을 절감한다. 손님에게 술을 권하며 마음을 달래주는 소식의 초월적 철학과 우정을 볼수 있는 글이다. 조선 문인들에게 그렇게 사랑을 받았던 소식은 정작 우리의 선조들을 변방의 오랑캐라 부르면서 고려에 책을 하사하거나 팔지 못하도록 진정을 고하고 우리 사신들이 강남으로 들어가는 것도 차단시켰다 한다. 중국의 귀한 책이 고려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겼다하니 이것 참 아이러니다. 소식을 향한 우리 선조들의 외사랑이 보이지 않는가.
벼슬을 그만 두고 전원으로 돌아가는 순간의 기쁨과 전원생활의 평화를 노래하고 있는 도연명의 「귀거래사」를 설명한다. 유배의 명을 받고 전원으로 쫓겨 왔던 한 어의 요청을 받고 조선 후기의 중인화가인 전기가 그린 「귀거래도」를 감상할 수 있었다. 초라한 집이지만 늘어진 버드나무 가지와 높은 기상의 소나무가 나룻배를 타고 도착하려는 도연명을 반기는 듯한 그림. 그림 속에서 우리는 전원 생활을 향한 기대감과 설렘을 볼 수 있는 듯하다. 우리 또한 힘겨운 생활을 정리하고 어디론가 떠나고 싶다는 꿈을 늘 꾸곤 한다. 우리의 마음과 닮았다.

전기, 「귀거래도」, 종이에 수묵담채
소나무 아래 소년 신선이 앉아 생황을 부는 장면인 김홍도의 많은 걸작들 중의 대표작인 「송하취생도」이다. 당나라 시인인 나업의 「제생」이란 글을 그림으로 나타냈다. 「제생」에서 나업은 생황 연주자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중국 주나라의 태자로 태어났으나 정치에는 관심이 없고 산수山水에만 뜻이 있었던 그는 나이 열다섯 살에 도사를 만나 생황을 배웠다. 그 다음 해 왕자진은 부모님께 작별인사를 드리고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랐는데 왕자진은 생황을 연주하며 눈같이 흰 학을 타고 날아갔다고 한다. 그에 관한 이야기를 김홍도가 「송하취생도」로 나타냈다. 힘찬 기백이 보이는 소나무의 그림과 금방이라도 생황을 불며 일어서 그림속에서 빠져 나올것 같은 소년의 모습이 생동적이다. 생황가락의 신비로움과 맑음을 볼 수 있는 글과 그에 대한 그림은 우리의 마음속으로 생황가락이 들려온다.

김홍도, 「송하취생도」, 종이에 수묵담채
우리나라의 옛그림은 문학적 흥취가 있다.
화려한 색감을 자랑하는 서양화도 물론 좋아하지만 은은함 속에 숨겨진 열정이 엿보이는 듯한 옛그림은 우리의 마음을 위로해 준다. 마음속에 화가 치밀어 오를때는 그 화를 누그러뜨려주기도 하고 슬플때는 마음을 어루만져 주는게 우리의 그림인 것 같다. 그림 속에서 문학 작품을 볼 수 있었고 문학 작품을 이해하며 옛그림을 감상할 수 있었다. 문학에 취하고 그림에 흠뻑 빠질수 있는 귀중한 시간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