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동이 만나러 갑니다
김제동 지음 / 위즈덤경향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연예인 김제동을 맨 처음 보았던게 생각난다.

공중파 방송에서 무슨 영화속 한장면(배우 한석규 같기도 함)을  패러디 했던것 같은데, 뭐 이렇게 못생긴 사람이 다 TV에 나왔네 하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그리고 두 번째는 상당히 웃긴다는 거다. 하는 행동하며 몸짓도 웃긴 걸로 기억한다. 후에 텔레비젼의 많은 예능프로그램에서 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사람 참 편하게 보인다. 생김새 때문인지 연예인인데도 말을 붙이면 굉장히 잘 들어줄것 같고 편하게 대해줄것 같은 생각이 든다. 그리고 그를 다시 보았다. 고 노무현 대통령의 노제때 그의 모습을 다시 보게 되었다. 그를 표현하자면 이렇다. 뭉클한 감동을 주는 사람. 꾸미지 않는 편안한 웃음을 주는 사람. 

 

그가 책을 냈다.

경향신문에서 <김제동의 똑똑똑>을 진행하며 만난 사람들의 진솔한 이야기들을 담았다. 그가 만난 사람들을 보니 다양한 직종에 있는 사람들이다. 소설가 이외수부터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와 소녀시대까지 만났다. 비치는 이미지가 여러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줘 친하게 지내는 이들이 많을거라고 짐작은 했지만 이 정도까지 일줄은 몰랐다. 그의 다양하고도 방대한 인맥에 놀랐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는 사람이라는거. 만나는 사람들에게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친한 사람과 격의없이 대화하는 것 같아도 이것저것 우리가 궁금해 할것들을 질문하는 것까지 사람에 대한 그의 배려를 볼수 있었다.

 

문학은, 특히 소설은 인간에 대한 탐구잖아요. 인간끼리 얽혀야 사건이 생기고 그게 쌓여 이야기가 진행되는 거예요. 개개인의 마음, 미세한 차이를 다 발견해야 하는 거지. 그러려면 정말 사람마다 가진 차이를 유심히 지켜봐야 하거든요. (199페이지, 조정래 편에서)

 

죽음은 남녀노소 누구나 자기 삶의 화두예요. 인생의 화두가 사랑이듯, 같은 의미로 인생의 화두가 죽음인 거죠. 죽음은 바다의 파도 같아요. 파도가 밀려와서 절벽에 부딪치면 파도가 사라지지만 그렇다고 바다는 없어지지 않는 것처럼. (224페이지, 정호승 편에서)

 

 그가 만난 사람들과의 사진들이 참 정감이 있다.

사진을 들여다 보고 있노라면 나도 그 인터뷰 장소에 있는것 처럼 생각되어진다. 별 감흥없었던 사람도 책에서 그들의 대화를 읽고 있으니 그 사람에 대한 호감도가 쑥쑥 높아진다. 그냥 연기 잘하는 사람으로 알고 있었던 배우 황정민에게서 인간적인 냄새를 맡았다. 배우의 진심을 알게 되는 새로운 발견을 한 느낌이다.

얼마전에 그가 한다던 토크쇼가 장소 때문에 불발되었다는 소식을 접했다.

아이들을 위해 대안학교를 만드려는 그, 그의 인간적인 면, 진심과 웃음이 묻어나오는 토크쇼를 나도 한번 참석해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