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잃어버린 이름들의 낙원
허주은 지음, 유혜인 옮김 / 창비교육 / 2025년 4월
평점 :
#잃어버린이름들의낙원 #허주은 #창비교육
소설의 배경은 정조대왕이 승하한 이후 정순왕후가 남인을 치기 위한 신유박해의 한가운데다. 천주교를 믿는 자들은 가족 혹은 주인으로부터 배척을 당하여 죽임을 당했다. 한 여성이 코가 베인 채 시체로 발견되며 소설이 시작된다. 다모 설은 오빠를 찾으러 갔다가 도망을 쳤다는 이유로 왼쪽 뺨에 노비의 婢가 새겨졌다. 포도청의 다모가 되어 여성이 시체로 발견되면 나가서 살폈다. 설은 사건 조사에 특별한 능력이 있었다. 한 종사관의 명령이 있기도 전에 누구를 만나야 할지를 알았다. 죽은 오 소저의 집에 찾아가 하녀 소이를 만나 주인의 이야기를 들었던 것도 그 일환이다. 죽기 전 누구를 만났는지,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알기 위해서였다.
“아프냐? 나도 아프다.” 라는 대사가 유명했던 드라마가 있었다. 이 소설을 읽는데 자꾸 그 드라마가 떠올랐다. 종사관과 다모, 조선 중기 정조대왕이 승하한 시대적 배경 때문이었을 것이다. 열여섯 살 한 소녀가 주인공으로 역사적 사건과 그로 인하여 이별한 한 가족의 이야기가 묘하게 울림을 주는 소설이었다.

다모 설의 독백이 이어진다. 누가 오 소저를 죽였을까. 서양의 이교 때문에 죽었을까. 소이는 어떤 사실을 알고 있을까. 소이가 도망친 건 다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산으로 도망친 소이를 찾으러 갔다가 호랑이와 대치 중인 한 종사관을 살리기 위해 화살을 쏜다. 목숨을 구한 설에게 한 종사관은 죽은 여동생에게 주고 싶었던 노리개를 주었다. 이번 사건이 끝나면 자유로운 신분을 만들어 줄 거라고 약속했다. 종사관 복장을 한 그의 눈을 바라보니 오라버니와 같은 갈색의 눈동자를 가지고 있었다. 한 종사관을 바라볼 때마다 오라버니를 떠올린다. 이 상황들을 보며 한 종사관이 설의 오라버니가 아닐까 짐작하다가 점점 그가 설의 오라버니이기를 바란다. 설의 가족에게 어떤 사연이 있었길래 언니는 너무 많은 걸 알려고 하지 말라고 하고 한양으로 떠난 오라버니의 무덤을 찾으라고 했을까. 오라버니의 얼굴이 그려진 그림을 들고 이런 사람 보았느냐고 묻는 장면은 애틋하고도 간절하다.
오라버니를 찾는 과정과 사람을 죽이고 코를 베어 가는 사건이 이어지면서 천주교와 관련이 있는지 탐색한다. 문득문득 떠오르는 오라버니의 말과 오 소저가 만났던 사내의 등장, 산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 도움을 주었던 강씨 부인의 등장은 역사적 인물과 조우하는 느낌이었다. 천주교 전파에 앞장섰던 강완숙이라는 인물은 주준모 신부를 중국에서 입국시켰으며 신유박해사건 때 참수되었었다.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 역사적 배경을 실어 소설과 역사를 비교해서 볼 수 있게 해 한국의 역사를 앎과 동시에 이해할 수 있게 했다.
사건을 따라가며 성장하는 설을 볼 수 있다. 아울러 설의 오라버니가 누구인지 짐작하는 과정도 즐거웠으며, 한 종사관의 과거와 그의 유일한 벗 심 부장이 숨긴 과거는 이 소설의 중요한 모티프다. 사건 현장과 관련 인물을 허투루 보지 않으며, 무엇보다 설에게는 호기심과 궁금증, 행동력이 큰 자산이었다. 사건을 해결하고 진실에 다가서는 자양분이 된 것이다.
수치심 때문에 살인을 할 수 있을까. 수치심을 잊기 위해 코를 베고, 사람을 죽여 수치심을 잊고자 하는가. 사건의 진실을 찾는 과정과 그 과정만큼 성장해가는 스토리가 감동이었다. K-드라마를 이어 노벨문학상을 잇는 K-역사소설도 세계적으로 펼쳐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더군다나 가장 매력적인 조선시대가 아닌가. 한 소녀의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자유롭게 풀려났어도 한양의 삶을 잊지 못한다. 사건을 해결하고 쓰임새가 있는 삶을 향하여 내딛는 설의 발걸음에 희망을 엿본다.
읖조리는 듯한 설의 생각들과 조선의 신유박해에 얽힌 사건과 정치. 십대 소녀의 성장이 미스터리라는 장르로 새롭게 태어났다. 왜 창비가 아닌 창비교육에서 출간되었는지 읽어보면 짐작할 수 있으리라. 한 마디 더 붙이자면, 재미있다.
#잃어버린이름들의낙원 #허주은 #창비교육 #유혜인 #책 #책추천 #문학 #소설 #소설추천 #영미소설 #영미문학 #조선시대 #천주교 #톨스토이문학상 #K역사미스터리 #역사소설 #미스터리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