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온실 수리 보고서
김금희 지음 / 창비 / 2024년 10월
평점 :
#대온실수리보고서 #김금희 #창비
김금희 작가의 소설을 오랜만에 읽었다. 근래에 읽은 한국소설 중 가장 매혹적인 작품이었다. 어떤 장소에 담긴 애정이 듬뿍 배어있는 작품으로 우리가 무심코 지나쳤던 장소에 대한 애정과 역사를 돌아보게 하는 효과를 주었다. 창경궁 관람할 때 온실을 못 봤던 아쉬움이 남아 있었다. 이 책을 읽은 후 후회가 되었다. 소설의 배경이 된 장소를 그려보는데 상상과 실재하는 풍경은 얼마나 다를까. 소설의 머릿속에 부유하는 풍경들에 아쉬움이 남았다.
우리나라의 역사 중에서 가장 친근하게 여겨지는 게 바로 조선시대다. 조선시대의 역사는 드라마로도 제작, 방영되어 익숙하고 관련 서적들도 탐독했다. 특히 일제 강점기는 아픔의 역사이기에 늘 안타깝게 여겨진다. 역사적 장소인 창경궁의 대온실에 관련된 역사를 작가가 어떻게 풀어나갈까 궁금했다.
강영두는 건축설계사무소에서 창경궁의 대온실 수리보고서 쓰는 일을 임시직으로 맡게 되었다. 창경궁은 중학교 시절 서울 유학 당시 ‘낙원하숙’과 담을 사이에 두고 있었던 곳이기에 의미가 있던 장소다. 당시 하숙집 주인이었던 ‘문자’ 할머니와 같은 방을 썼던 리사의 기억이 아프게 남아 있었다. 창경궁과 대온실을 바라보며 어떤 이유로 졸업을 하지 않고 다시 석모도로 내려갔던 과거를 떠올렸다.
소설은 세 갈래의 형태의 인물이 등장한다. 먼저 대온실 수리 공사를 맡은 건축사사무소 직원들과 과거 원서동 하숙집 가족들 그리고 석모도의 친구 은혜와 은혜의 딸 산아가 주축이다. 영두는 일이 끝나면 석모도로 들어가 은혜가 만들어준 반찬으로 밥을 먹고 산아의 고민을 듣고 해결해주는 역할을 했다. 어른스러운 산아의 의견에 따라 선택과 결정이 달라지기도 했다. 대온실을 설계했던 인물 원예학자 후쿠다 노보루를 탐색하는데, 역사의 인물을 그대로 가져온 줄 알았다. 대온실을 설계했던 인물의 이름을 바꿔 표현했고, 가상 인물이라는 것을 작가의 말에서 밝혔다. 영두는 문자 할머니의 기억을 통해 지하 배양장에서 무엇이 나올지 궁금했다. 대온실 수리 과정에서 인간의 뼈로 보이는 것을 발견했고, 공사를 주관하는 부서에서는 지하실을 덮을 것을 강요했지만, 낙원하숙의 마리코 할머니와 박목주(기노시타 쿄주)의 흔적을 찾고 싶어 포기하지 못했다.
창경궁은 아픔의 역사다. 유홍준 교수도 말했지만, 순종을 창덕궁에 유폐시킨 뒤 왕을 위로한다는 명목으로 동물원과 함께 건립된 서양식 온실이다. 역사의 아픔이 묻어 있는 장소를 일본인 여성이 한국에서 과거의 아픔을 안고 살아가는 것을 조명함과 동시에 대온실이라는 건축물에 깃든 역사는 전쟁의 피해자와 가해자를 떠나 고통으로 점철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최대한 감정을 배제하면서 담담하게 모든 것을 바라보는 장면들이 인상적이었다. 과격하지 않았고, 있어야 할 장소, 존재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나타내었다.
마리코 할머니의 기록과 문자 할머니의 기억이 혼재하여 이 소설을 이끌어간다. 과거의 인물과 현재의 인물이 마주치며 대온실과 일제강점기의 역사, 역사적 장소에 깃든 이들의 영혼과 그에 대한 안부 인사인 것만 같다.
#대온실수리보고서 #김금희 #창비 #책 #책추천 #문학 #소설 #소설추천 #한국소설 #한국문학 #일제강점기 #창경궁 #창덕궁 #대온실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