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녹나무의 여신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윤옥 옮김 / ㈜소미미디어 / 2024년 5월
평점 :
#녹나무의여신 #히가시노게이고 #소미미디어
월향신사의 좁은 덤불숲을 들어가면 녹나무 한 그루가 있다. 초하룻날과 보름날 밤에 나무의 우묵한 동굴에 들어가 밀초에 불을 켜고 염원을 한다. 예념자와 수념자를 이어주는 이가 녹나무 파수꾼이다. 파수꾼 레이토는 오늘도 신사의 경내를 청소하고 있다. 레이토의 시선을 따라가면 다양한 사람들이 기념하러 온다. 녹나무의 파수꾼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다뤘던 『녹나무의 파수꾼』에 이어 『녹나무의 여신』은 신사를 찾아온 고등학생 소녀의 동생들과 잠을 자고 나면 기억을 잃은 소년이 찾아오며 일어나는 일을 다룬 내용이다. 행복이라는 건 어디서 오는지 묻고, 전체적으로 따스함과 뭉클함을 주는 소설이다.
월향신사를 찾는 사람들에게 팔아달라며 유키나와 동생들이 찾아와 시집을 맡기고 그 시집을 읽은 한 중년 남자는 다음에 주겠다며 시집을 그냥 들고 나간다. 시집을 누가 사겠느냐며 거절하려 했던 레이토는 유키나가 마음 상할까 봐 독후감을 남겨 전해준다. 인지장애가 있는 치후네를 따라 갔던 곳에서 자고 나면 기억을 잃은 소년을 만나 스타워즈와 관련된 대화를 하는데 소년은 모처럼 이야기가 통한 사람을 만났다며 기뻐한다.

소설에서 한 장이 끝나면 ‘내일의 나에게’라는 일기가 펼쳐진다. 자고 나면 기억을 잃는 소년이 내일을 위하여 쓴 일기다. 일기에서 중학생 모토야는 레이토를 다시 만나고 싶은 사람이라고 쓴다. 녹나무에 대한 시를 쓴 유키나의 시집을 모토야에게 주자 그는 시를 바탕으로 그림을 그린다. 녹나무를 여신으로 표현하는 그림이었다. 레토야는 유키나와 모토야를 이어준다. 함께 그림을 그리며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었다. 어쩐지 뭉클해진다. 누군가와 대화가 할 수 있다는 거, 같은 주제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것처럼 중요한 게 없다.
녹나무에 맡긴 염원은 반영구적으로 남게 됩니다. 다만 두 가지 예외가 있어요. 첫째는 같은 사람이 두 번 이상 예념하는 경우인데, 먼저 맡긴 염원은 나중 것으로 갱신됩니다. 요즘 말로는 업데이트라는 게 될까요. 또 한 가지는 예념한 당사자가 수념하는 경우인데, 그 염원은 녹나무에서 완전히 소실됩니다. 그 뒤에는 아무도 수념할 수 없어요. …… 그러니 그 방법을 이용해 추억을 되찾더라도 기회는 단 한 번이에요. 두 번은 없습니다. 예념한 당사자의 수념이 금지 사항이 아니지만, 감행할 거라면 그 점을 명심하도록 하세요. 그게 파수꾼의 역할입니다. (326페이지)
모토야에게 소원이 있었다. 지금은 없어진 가게 '단맛집'에서 만든 매실 찹쌀떡을 먹고 싶다는 거였다. 다른 기억은 잊었어도 찹쌀떡의 맛은 잊지 않고 있었다. 죽기 전에 먹어보고 싶다는 말에 레이토는 모토야에게 매실 찹쌀떡을 먹게 해주고 싶었다. 찹쌀떡을 만드는 과정이 나오는데, 모토야가 진정으로 원했던 건 가족들과 단란한 시간이었다는 것이다. 행복이란 얼마나 단순한 것인가. 죽음을 앞둔 상태에서 소원이 있다면 뭔가 거창한 것 같은데 실제로는 아주 작은 것이다. 가족이 함께 모여 무언가를 먹었던 장면 하나가 오래도록 행복한 기억으로 남아있는 것처럼. 우리의 모든 순간이 훗날 기억하고 싶은 순간이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녹나무의여신 #히가시노게이고 #소미미디어 #책 #책추천 #문학 #소설 #소설추천 #일본문학 #일본소설 #녹나무의파수꾼 #염원 #기원 #힐링소설 #녹나무두번째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