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반대편에 들판이 있다면 - 문보영 아이오와 일기
문보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오와 글쓰기 프로그램(IWP, International Writing Program)에 한국 시인으로 아이오와에 가게 된 시인 문보영의 일기 형식의 에세이다.

 


IWP30여 개국에서 온 작가들이 3개월간 한 호텔에 머물면서 리딩, 강연, 토론 등 문학 행사에 참여하는 작가 레지던시 프로그램이다. IWP에 참여하는 작가들은 다양한 나이대다. 시인은 그중에서 비슷한 또래의 작가 코토미와 에바와 특히 친하게 지냈다. 다른 작가들은 아이오와를 떠나면서 다시 돌아올 생각을 하지 않은데, 문보영 시인만은 아이오와로 다시 돌아올 거라 말한다. 아이오와에서 그는 한국에 있을 때와는 다른 감정을 느꼈다.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열렸던 호텔은 아주 낡아서 어둡고 서늘했다. 작가들에게 주어진 전망은 벽에 가로막혀 있는 곳이 많아 전망이 없는 작가들의 모임을 만들었다. 이 작가들은 중정 안에 있는 종이컵을 주제로 글쓰기 모임을 했으며, 해가 비치는, 전망이 있는 곳으로 탈출하고자 긴 호소장을 작성하기도 한다. 호소장을 건네주지 못하고 가방에 품고만 다니다가 IWP 최고령 작가인 메리가 요구는 정당하다며 전달하라는 부추김에 넘어가고 만다. 그러면서 메리는 호텔 기둥에 숨어 지켜보고 있었다.




 


시간 순서대로 이어지는 에피소드는 작가가 아이오와에서 느꼈던 것들을 바라볼 수 있다. 피드백을 해줄 뿐 아니라 자기의 시를 낭독하는데 이때는 마음에 들지 않은 부분은 살짝 들어내기도 한다. 한 문단을 들어내면 새로운 작품이 탄생하는 효과가 생긴다. 어차피 한국어를 알아듣지 못하니 가능하다.

 


아이오와는 뭔가를 잊을 수 있도록 돕고, 그것을 다시 기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공간이라던 동료 작가의 말을 오래도록 기억하고 싶다. 그 말은 어쩌면 들판의 말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삶의 반대편에 들판이 있다면, 난 끝없이 들판을 걸어보고 싶다. 반대 방향으로 걸었을 때 우연히 진짜 삶을 발견하게 되어 지금까지의 삶을, 그리고 앞으로의 삶을 전혀 다르게 바라보게 될지도 모르니까. 한국과 정반대에 있는 어느 작은 시골 마을에서 자유를 발견한 것과 같이. 그것은 들판이 내게 준 것이었다. (5~6페이지)


 

낡은 호텔이었지만 작가에게 좋았던 건 너른 들판이 있었다는 거다. 글을 쓰는 작가들은 타인과 함께 있는 시간보다 오히려 혼자만의 시간을 좋아할 거로 보인다. 그런 까닭일까. 각자만의 길로 들판을 거닌다. 삶에 뛰어드는 길, 들판의 길이 있는데 작가는 다른 작가들이 가지 않는 나무 길을 걷는다. 이 길은 들판의 나무를 관찰할 수 있으며 마음의 준비라고 부른다.


 

들판을 산책하는 것은 천천히 생각에 잠기는 일이다. 천천히 주변을 둘러보며 사색에 잠긴다. 때로는 길을 잃기도 하고, 하늘을 바라보느라 부딪치는 것들이 있다. 산행길의 오르막에서 힘이 드니 하늘과 나무를 바라볼 생각은 하지 않고 땅바닥 혹은 앞사람의 신발만 보고 걷는다. 너른 들판은 다르다. 샛길로 가면 울퉁불퉁한 길이 있으며 그 길에서 혹시 사슴을 만날지도 모른다.


 

노엘은 매일 새벽 5시에 호텔을 떠나 들판으로 향한다. 사슴을 찾으러. 새벽 산책은 그녀에게 의식과도 같다. 길이 아닌 길을 따라 걷는 것, 그것은 진짜 실을 걷기 위한 준비인지도 모른다. 사람의 길이 아닌 길을 충분히 걸어야 사람이 걷도록 만든 길도 걸을 수 있게 된다고 나는 믿고 싶다. (71~72페이지)

 


새로운 경험은 우리 삶을 좀 더 풍부하게 가꿔준다. 타인을 외면하고 살았던 한국과는 다르게 아이오와에서는 세친구와 어울리고 오릿과 뜻깊은 교류를 한다. 영어로 시를 써 서로의 방문 안에 넣어주는 일이다. 모국 언어로 글을 쓴다는 것과 이국의 언어로 글을 쓰는 일은 다르다. 감정 표현 방법도 다르며 새로운 발상일 수 있다.


 

태어나고 자란 나라를 떠나 타국에서 생활하는 작가들이 여럿 있었다. 낯선 언어로 말하는 일이 힘들 것 같은데, 작가는 영어를 사용하며 비로소 자유로워진 것 같았다. 같은 언어를 사용해도 말이 통하지 않은 경우가 있잖은가. 작가는 영어가 서툰 코토미와 영어로 대화를 나누며 코토미가 무슨 말을 하는지 어떤 마음인지 이해할 수 있다고 했다. 영어로 대화를 나눌 때 편안함을 느꼈다고 했다. 언어가 달라도 몸짓과 눈짓으로 통하는 게 있는 법이다.

 


외국에 나갈 때면 영어를 자유자재로 하는 사람이 부럽다. 간단한 인사와 대화를 시도해보지만 부족하다. 여행을 마치며 한국에 돌아가서는 꼭 언어를 배우겠다 다짐한다. 하지만 결국 여행 때마다 반복되는 서사다. 문보영 시인의 아이오와 일기를 읽으면서도 마찬가지였다. 영어를 공부해야겠다. 시인이 하고 있다는 아침 전화 영어도 해야 하지 않을까. 다시 한번 다짐하게 되었다.

 

 

#삶의반대편에들판이있다면 #문보영 #한겨레엔 #한겨레출판 ##책추천 #문학 #에세이 #에세이추천 #한국에세이 #한국문학 #하니포터 #하니포터8#아이오와 #IOWA #IW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