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널목의 유령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박춘상 옮김 / 황금가지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노사이드13계단의 다카노 가즈아키의 신작이 11년만에 출간되었다. 두 작품이 워낙 강렬했기에 작가의 신작 소식이 반가웠다. 이번에는 심령 소설이다. 작가와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았지만, 특유의 해결 방식이 역시 작가답다.

 


여성 전문 잡지의 계약직으로 일하는 마쓰다는 한때 잘나가는 일간지의 사회부 기자였다. 2년 전 아내를 잃은 그는 아내의 유령이라도 찾아왔으면 하지만 집에서는 적막이 흐를 뿐이다. 그런 그가 심령 기사를 취재하게 되었다. 유령이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하지만, 사진에 나온다는 건 좀처럼 없는 일이다. 기차역 건널목에 찍힌 사진 속 여성의 정체를 찾기 시작하면서 소설은 새로운 국면을 맞는다.

 


하코네행 특급열차를 운행하는 기관사는 운행 중에 3호 건널목의 선로에 사람이 서 있는 걸 발견하고 급정거했지만, 사람의 흔적이 보이지 않았다. 주변 사람을 탐문 하자 건널목에서 찍은 사진 중에 그 장소에 없던 사람이 찍혔다. 사건 조사 결과 사진 속 긴 머리 여성이 근처에서 살해 당했다는 게 밝혀졌다. 그러나 죽은 여성의 이름조차 알 수 없었다.




 


소설의 배경이 1994년이다. 인터넷도 휴대폰도 없는 상태에서 발로 뛰어가며 취재하는 기자의 노곤함을 엿본다. 끝까지 파고드는 기자의 근성 때문에 사건이 해결되는 장면에 늘 감탄한다. 기자인 마쓰다의 행동이 누군가를 떠오르게 했다. 하라 료의 사와자키 탐정이었다. 마음속으로 사와자키 탐정이라면 어떤 방식으로 움직였을까, 상상하며 읽었다. 물론 미스테리 소설이라 해결하는 방법이 다르긴 하지만 끝까지 밀고 나가는 면은 닮아 있었다.

 


마쓰다는 아내를 먼저 보냈다. 그런 이유로 건널목에서 찍힌 여성의 이름이라도 찾아주고 싶었던 듯하다. 사진 속 여자는 억지로 웃는 듯했다. 어떤 삶을 살았길래 찾는 사람도 없으며 신원미상의 죽음으로 남아 있는가. 웃을 수 없는 아이로 밝혀졌다. 친구 하나 없는 삶이란 도대체 어떤 것인가. 사회의 어두운 면을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폭력 조직과 정경 유착의 한 형태를 보여준다. 어딜 가나 빠지지 않는 소재이긴 하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폭력 조직과 손잡고 서로 뒤를 봐주는 행태는 지금도 우리 사회 저변에 깔려있다.

 


인생은 좀 더 재밌을 줄 알았어. (226페이지)

 


마쓰다가 심령 기사 취재 중에 한 말이다. 그림을 그리고 싶었던 그는 신문사에 들어가 문화부 기자가 되면 그림과 연관된 일을 할 줄 알았다. 하지만 사회부에서 1년 내내 특종을 잡느라 그림의 여유 따윈 없었다.

 


심령이란 게 확언할 수 없는 부분이긴 하다. 죽은 자가 보내는 메시지를 산 자가 받는다. 서로 교감하여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이끈다. 그러고 보면 우리는 자신의 존재를 누군가 알아주었으면 하는 것 같다. 그 여자가 간절히 바랐던 것처럼.

 

 


#건널목의유령 #다카노가즈아키 #황금가지 ##책추천 #책리뷰 #도서리뷰 #북리뷰 #소설 #소설추천 #일본소설 #일본문학 #문학 #추리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