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력 뒤에 쓴 유서 ㅣ 오늘의 젊은 작가 41
민병훈 지음 / 민음사 / 2023년 1월
평점 :
작가의 이름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을 읽다 보면 느끼는 게 있다. 잊으려고 애쓴 고통스러운 기억들도 결국엔 글로 풀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작가가 자신을 말할 수 있을 때 진정한 글쓰기가 되는 것일까. 자신을 드러냄으로써 다른 이야기도 할 수 있는 것 같다.
오늘의 젊은 작가 시리즈는 1편부터 읽어오고 있다. 드문드문 이어지지만 늘 눈여겨보고 있다. 아마도 제목 때문에 이 책을 선택했던 것 같다. 자신의 아픔을 드러낼 수 없었던 누군가가, 뒤늦게 발견할 수 있는, 아니면 휴지 조각으로 변할 수도 있는 달력 뒤에 유서를 썼을까. 그 고통이 전해오는 것 같아 궁금했다.
작가의 이름이 등장하는 자전적 소설이다. 두 편의 소설집이 있지만, 많은 사람이 읽지 않은 작가의 내면을 들여다본다. 아버지의 죽음을 정면으로 바라보기 시작한 것이다. 죽은 아버지를 발견한 기억으로 인도하는 게 아니라, 작가로서 풀어내야 할 숙제처럼 안고 있었다는 사실을 자각함과 동시에 이제야 소설로 옮길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 과정이다. 기억은 단편적이어서 전체적인 것을 말할 수는 없지만, 과거의 한 장소로 찾아가는 과정이 그의 번민과 맞닿아있다.
고통스러운 기억을 꺼내는 게 힘들어 주저하지만 글로 풀어내기 위해서는 기억과 마주해야 한다. 글쓰기의 고통이 드러난다. 아울러 소설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다. 남들이 읽지 않은 소설을 쓴다는 것의 고통. 직업으로서의 소설가에 대한 고민도 엿보인다. 편집자와 나눈 메일은 작가와 편집자 간의 역할에 대해서도 알게 한다. 좋은 편집자란 그가 가진 것을 이끄는 능력이 있어야 하는지도 모르겠다.
흩어진 기억을 모으고, 잊고 살았던 장소에서 마주하는 것들. 그것은 사람일 수도 있고, 풍경일 수도 있다. 아버지를 발견했던 공간에서의 기억은 이미 잊혔다. 그럼에도 단편적인 기억들이 부유한다. 환경미화원으로 일했던 아버지. 못 박는 소리를 들었지만 무심코 흘려보냈던 일, 창문을 깨고 들어가야 했던 기억들이 그를 괴롭힌다.
나는 글쓰기를 통해 삶을 이해하고 고통을 극복한다는 말을 믿지 않는다. 그럼에도 이렇게 글을 쓰는 이유는, 쓰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어떤 상태에 놓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오랜 기간, 아니 매일 그 일에 대해 생각했다. (9페이지)
그가 소설을 완성할 수 있다는 건 기억에서 해방되었다는 뜻이다. 소설을 쓰는 일은 사랑했던 아버지를 잊지 않으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영원히 잊지 않기 위한 작업이다.
모든 건 그의 죽음 때문이 아니다. (151페이지)
아들의 문장을 읽을 수 없는 어머니에게도 마음이 언젠가는 닿기를 바라는 염원. 민병훈 작가를 기억하게 해줄 작품이었다. 꺼내고 싶지 않은 기억을 떠올렸을 지난한 과정이 보였다. 이제는 기억에서 자유롭기를 바란다. 다른 작품에서 삼켰던 그의 문장들이 제대로 전해지길 바란다.
#달력뒤에쓴유서 #민병훈 #민음사 #책 #책추천 #책리뷰 #북리뷰 #도서리뷰 #소설 #소설추천 #문학 #한국문학 #한국소설 #오늘의젊은작가 #오늘의젊은작가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