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마음 - 나를 돌보는 반려 물건 이야기
이다희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건 하나를 사려고 하면 고민을 많이 한다. 이리 재고 저리 재다가 놓친 물건도 있다. 대신 내 물건이 되면 애틋한 감정을 갖는다. 오래도록 사용하는데 어떤 물건은 십 년 넘게 사용하는 것도 있다. 몇 년 동안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물건을 정리할 시점이라는 거는 알고 있다. 그럼에도 쉽게 버리지 못하겠다. 미니멀하게 살고자 하지만 쉽지 않은 일이다.

 


사는 마음, 하면 살아가는 마음, 물건을 사는 마음을 동시에 나타내는 말이다. 저자는 이를 가리켜 살다(live)’사다(buy)’라고 표현했다. 살아가며 필요한 물건을 사고, 물건에 대한 애착을 갖고 있다. 추억이 있는 물건이어서 버리지 못하고, 영혼이 깃든 물건이어서 애지중지하고 있다. 우리는 함께 사는 동물을 가리켜 반려라고 지칭한다. 물건도 마찬가지다. 함께 오랜 시간을 함께 지내 온 물건을 우리는 반려 물건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저자의 반려 물건을 보자면 아버지의 책장에서부터 시작한다. 번역가이자 그리스 로마 신화의 저자 이윤기가 썼던 책장이다. 튼튼하고 무겁지만 이제는 보내야 할 물건이다. 아마추어 바이올리니스트로 활동하는 저자에게 바이올린은 무척 소중한 물건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건이고 대체할 수 있으며 사라질 수도 있다고 표현한다. 엄마의 찻잔이 대표적이다. 워낙 무언가를 망가뜨리는 손이라 결혼할 때 엄마가 준비해주신 찻잔이나 그릇들이 제대로 남아있지 않다. 엄마가 해준 찻잔을 당근에 내다 파는 친구들이 많다고 한다. 그 사실을 안 엄마는 서운할 테고. 그러나 몇 년 동안 사용하지 않은 물건은 과감하게 정리해야 되지 않을까. 나도 못하고 있는 터라 강하게 주장하지는 못하겠다.


 

마음에 꼭 들지 않으면 사지 않기, 세월이 흐를수록 아름다워지는 물건을 사기, 그동안 나를 기쁘게 했던 물건이 아니라면 미련 없이 남에게 주거나 버리기. 가만 보니 이 원칙은 새 인연을 만들 때도 쓸 수 있겠다. 특히 폐기가 쉽지 않은 인연을 맺으려는 사람들은 꼭 참고 바란다. (107페이지)


 

겨울 초입, 트렌치 코트 디자인의 다운을 하나 보고 있었다. 한 달 전부터 좋아하는 브랜드와 그다음 브랜드에서 장바구니에 넣어두고는 이리 재고 저리 재다가 좀 비싸더라도 내가 좋아하는 브랜드의 옷을 구매했다. 클래식한 디자인이라 오래 입을 수 있는 옷이었다. 나만 이러는 게 아닌가 보다. 저자가 트렌치 코트, 일명 바바리를 구매하기 위해서 했던 행동은 우리 모두와 같았다. 무리해서라도 사고 싶었던 바바리가 드디어 세일을 시작해 더 이상 따지지 않고 구매에 이르게 된 과정을 보며 슬며시 미소를 지었다. ‘이왕 사는 거라고 자신에게 주문을 걸듯 결국 구매로 이어지는 과정이었다. 물건이라는 게 그렇다. 사고 싶은 게 있으면 구매하기 전까지 온통 그것만 눈에 들어온다. 오죽하면 지름신이라는 게 있을까.

 


예뻐서 구입한 부츠가 있다. 지퍼가 없는 부츠인데 오래 걸으면 상당히 불편하다. 발 볼이 넓어 한 사이즈 큰 신발을 사야 하는데, 운동화 사이즈로 잘못 샀기 때문이다. 올해 한 번도 신어보지 않았다. 이런 건 버려야 하는 거다. 쉽게 버리지 못하는 나는 아마 일 년 정도는 버려야 할까 버리지 말아야 할까 고민할지도 모르겠다.

 


성공한 여성이라면 어떠해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스스로를 가두려는 태도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쉽지 않은 일임은 분명하다. 우리는 마치 여성 해방이 온 것처럼 욕망하고 성취하면서 동시에 여성 해방이 여전히 멀고먼 현실을 살아 나가야 한다. 그래서 여성의 삶은 때로 앞뒤가 안 맞는 모순투성이일 수 있다. 잔소리를 극히 싫어하는 내가 젊은 나에게 딱 한 마디 잔소리를 한다면 바로 그 모순을 견디면서 나만의 삶을 만들어 나가라는 것이다. (241페이지)

 


어렸을 때 부모님이 사준 책상, 비록 현재는 수납장 용도로 사용하고 있지만 추억과 영혼이 배어있는 물건을 버리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아울러 책상을 구매했을 때의 기억들이 떠오르고 살아오는 매 순간 함께 해왔던 물건인 경우는 특히 그렇다. 텃밭에서 식물들을 키우고 있다. 정원처럼 가꾸고 싶은 마음 때문에 오늘도 장미 묘목을 심고 왔다. 식물을 가꾼다는 건 온 마음을 주는 일이다. 잡초가 자라면 잡초를 뽑아주고 때에 따라 나무를 잘라 줘야 한다. 우리가 누군가를 돌본다는 건 사람과 동물, 혹은 식물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우리가 돌보는 물건들도 우리를 돌보고 있었다. 서로가 돌보는 존재가 되어 함께 살아가야 한다.

 


인간으로서, 여성으로서, 커리어를 위해,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를 말한다. 아울러 수많은 물건과 함께 살아가는 우리에게 어떤 것이 중요한지를 묻는 작품이다.


   

#사는마음 #이다희 #한겨레출판 ##책추천 #책리뷰 #도서리뷰 #북리뷰 #에세이 #에세이추천 #한국문학 #한국에세이 #하니포터 #하니포터6_사는마음 #반려물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