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선가 눈물은 발원하여 문학과지성 시인선 574
정현종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읽는다는 건 언어의 사유를 품에 안는 것. 시를 읽음으로써 우리 안의 마음과 대화하는 일. 마음속에 침잠하는 일.

 


그저 시가 좋아서 읽는다. 한 편 두 편 읽다 보면 생각지 못했던 감정의 파도를 겪는다. 깊이 생각하여 이해하고자 다가가는 시도를 하게 된다. 정현종의 시는 그렇게 우리 마음속으로 다가와 똬리를 틀 듯 머물렀다.

 


출퇴근길에 일주일 동안 읽었다. 그럼에도 내가 제대로 이해했나 생각해보면 잘 모르겠다. 그저 읽었다고 해야겠다. 최승희 교수가 담근 살구 술을 생각해보고 정성을 다해 빚은 술을 마시며 살구나무를 바라보는 시인의 감성을 헤아려본다. 그냥 흘러가게 둘 수 없었을 것이다. 눈에 띄는 게 살구나무였을 것이다. 내후년쯤 살구나무에 열매가 열리면 술을 담아도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약간 불그스름한 빛을 띤 살구 술에서 우리의 노고를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내가 말했다.

섬기려면 살구나무 같은 걸 섬기는 게

그래도 그중 나은 거라.

매년 가을 떨어진 나뭇잎을 모아

그 나무 밑을 파고 묻어

거름이 되게 한다고 하니 말인데,

아침저녁으로

그 살구나무에 절을 하는 게 좋겠다.

경배할 만한 건 필경

나무 정도가 아닐까 믿어 의심치 않는바…… (8~9페이지, 살구나무에 대한 경배중에서)

 


종이 신문을 제대로 읽지 않은 지 좀 되었다. 신문의 역할과 중요성을 일깨우는 시가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신문에 대한 시인의 생각이 들어있는 시다.

 


신문들은

그런 기관이어야 하리.

우리 사는 데가 살 만한 곳이 되기를 바라

생각과 느낌이 지극한

간곡한 마음들이 모이는

자리이어야 하리.

아침놀이어야 하리. (17~18페이지, 아침놀중에서)


 

신문의 날에 부쳐 쓴 시다. 신문이란 자고로 아침놀처럼 세상을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편 가르기가 아닌 진실만을 보아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 같았다.


 

모처럼 한가한 주말 오전, 친구들과 함께 이른 점심을 먹고 산책을 나섰다. 날씨가 추워 얼마 가지 못하고 돌아오긴 했으나 걷는 길의 공기는 상쾌했다. 길을 걷다 보면 느끼는 감정들. 두세 명이 걷는 길과 혼자 걷는 길은 그 차이가 크다. 오롯이 혼자 있는 광경은 처음 맞이하는 것처럼 설레기까지 한다. 그 길에서 유연한 사고를 한다. 갇혀 있지 않고, 열린 마음을 갖는 것. 산책의 효과가 아닐까.

 


이 단순한 활동은 얼마나 풍부한가.

아직 아무것도 시작되지 않은 듯한 시간이라니!

사물사물하는 보석,

이 시간이 없으면 어떻게 살까.

세상의 시간이 아닌 때를

고해가 아닌 데를 걸어가느니. (42페이지, 산책중에서)


 

최근에 읽었던 소설에서 길을 걷는 것 자체를 철학하는 거라고 표현했다. 산책을 한다는 건 나를 좀 더 깊이 들여다 보는 일. 저 너머로 가는 나를 붙잡는 일. 새로운 사고를 할 수 있게 되는 일. 이제껏 느껴보지 못하는 새로운 세계를 펼칠 수도 있는 일. 깊이 있는 시선을 가질 수 있는 일인 것이다. 책의 뒤편에 실린 시를 찾아서라는 산문은 시의 예술성과 우리가 시를 읽어야 하는 이유를 말한다. 시는 예술이며, 삶을 견디게 하는 힘이므로 그렇다.

 

 


#어디선가눈물은발원하여 #정현종 #문학과지성사 ##책추천 #책리뷰 #도서리뷰 #북리뷰 ##시집 #한국시 #한국시집 #한국문학 #문학과지성사시인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