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아름다운 할머니
심윤경 지음 / 사계절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을 키우며 내 욕심껏 바라고 다그치지 않았는지 반성해 보았다. 부모가 되기 전에는 아이를 있는 그대로 보아주자 다짐했었으면서 막상 부모가 되니 자꾸 무언가 되길 바랐다. 하나를 잘하면 둘을 잘하기를 바랐다. 그게 내 욕심이었다는 걸 아주 나중에서야 알았다. 아이들이 내 손길을 떠나 자기만의 삶을 향해 나아갔을 때 말이다. 너무 늦었다. 이 책을 먼저 읽었더라면 달라졌을까. 달라지려고 노력하지 않았을까.

 


증조할머니의 기억이 떠올랐다. 심윤경 작가의 할머니처럼 쪽진 머리에 마른 체형을 가진 분이었다. 엄마 시집살이를 많이 시켰던 분으로 기억되는데, 아마 작가의 할머니처럼 말을 아낀 분이었다면 그 기억으로 자식들을 대하는 방법을 배우지 않았을까. 무관심이 아닌 무심한 이해를 주었던 사람으로 말이다. 자식 일이라면 왜 불안해하는지 모르겠다. 아이마다 각자 개성이 있는데 어느 틀 안에 가두려고 하는가 말이다.




 


작가 할머니의 언어를 배울 필요가 있겠다. 마음속으로는 많은 감정이 오갔겠으나, 무심하게 건네는 한마디에서 심사숙고한 할머니의 마음이 엿보였다. 말을 아낄 필요가 있다는 거를 다시 배운다. ‘저런이라니. ‘저런에 담긴 그 모든 마음이 짐작되었다. 염려와 공감의 언어였다. 우리가 하기 힘든 언어들이다. 해가 갈수록 말을 너무 많이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한다. 아이에게도 마찬가지다. 본인 알아서 잘하련만, 기다리지 못하고 재촉하게 된다. 부모의 기대와 염려라고 일컫고 싶겠지만 조바심에서 나온 말이라는 걸 깨닫게 된다.

 


작가 친구의 아버지가 했던 말도 배워 실천하고 싶다. 뒤늦게 공부하는 딸에게 등록금을 해주겠다며 했던 말이다. ‘거 뭐 될 필요는 없다.’라는 말. 보통 부모가 하는 말은 열심히 해서 꼭 뭐가 되어라라고 하지 않나. 그 말을 들은 자녀는 부담스러운 마음이 작용할 터다. 방송에서 누군가 했던 말이 떠오른다. 꼭 뭐가 될 필요는 없다는 말이. 자식 걱정에 자기 밥벌이를 하고 살았으면 하는 마음에 하는 말이지만, 실제로 꼭 뭐가 되지 않아도 우리는 오늘을 살 수 있다. 충분히 만족할 수 있고, 충분히 행복할 수 있다. 학창 시절에 공부하지 않았던 사람이 대학 졸업 후에도 공부하는 것을 멈추지 않는다.


 

작가는 일의 어떤 순간에도 할머니의 말을 떠올렸다. 만족할 만한 대답을 하지 않아 답답한 마음도 있었지만, 훗날 막막한 일에 맞닥뜨렸을 때 기억나는 건 할머니의 단순하고도 짧은 언어였다. 할머니의 언어를 기억해내고 나의 감정을, 딸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할머니와 함께 살았기 때문에 할머니의 언어를 배울 수 있었다.

 


작가의 작품을 꽤 여러 편 읽었다. 할머니의 애틋한 기억이 떠올랐던지 어렸을 적 저자와 함께 있는 할머니의 사진은 익숙하다. 할머니의 이야기를 할 수 있다는 것, 작가만이 할 수 있는 일일 것이다. 할머니의 언어로 우리의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듯한 느낌이다. 작가 또한 수많은 순간에 떠올랐던 할머니의 말을 떠올려 그 기억을 글의 형태로 나타내고 싶었던 것 같다. 작품 속에 빛나는 할머니의 언어가 선물처럼 다가왔을 것이다. 영원히 남아 있을 언어는 기대와 염려로 가득한 우리에게 무심하게 사는 법을 가르쳐주는 것만 같다.

 


무심한 듯 이해를 주는 사람이 되고 싶다. 기대와 염려를 포장한 조바심을 뒤로 하고 기다려줄 줄 아는 사람이 되고 싶다. 말을 아끼고, ‘저런처럼 짧은 언어에서 내포하는 수많은 감정을 다루고 싶다.

 


 

#나의아름다운할머니 #심윤경 #사계절 ##책추천 #책리뷰 #도서리뷰 #북리뷰 #에세이 #에세이추천 #한국에세이 #한국문학 #김영하북클럽 #김영하북클럽_나의아름다운할머니 #할머니이야기 #문학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alstaff 2022-10-24 1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심윤경 책이 나왔구나!
얼른 검색해보니까 에세이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