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피컬 나이트
조예은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독히 외로운 상황에 있다면 불안한 존재를 집안으로 들일 수 있을까. 그렇다 혹은 아니다로 갈릴 법한데 나의 답은 들일 수 있다는 거다. 혼자라는 외로움은 경험해보지 않으면 모른다. 생의 마지막 순간, 혼자 외롭게 죽고 싶지는 않을 것이다. 혼자 사는 사람이 죽었을 때 오랜 시간이 지나도록 아무에게도 발견되지 못하는 걸 고독사라 부른다. 그거야말로 가장 두려운 것이다.

 


피곤한 몸을 이끌고 집에 들어오던 옥주는 쓰레기를 뒤지는 아이를 발견했다. 석류처럼 붉은 눈을 하고 있었다. 장례식장에서 일하는 그는 소금 그릇을 챙겨 밖을 내다보았다. 썩은 쓰레기를 먹던 아이의 모습을 한 존재는 쓰레기통 옆에서 졸고 있었다. 안쓰러워 집안에 들여 석류를 권했으나 아이는 옥주의 팔을 물었다. 인간을 먹어야만 살 수 있는 아이를 집안으로 들인 것이다. 혼자 죽고 싶지 않은 마음이 컸다. 그 아이와 함께 있을 때 자신이 죽었으면 했다.




 

조예은의 소설은 스노볼 드라이브를 읽고 이번 작품이 두 번째인데 꽤 매력적인 작가다. 우리의 미래는 현실의 확장으로 디스토피아적이고 상상하지 못하는 존재들과 함께 살아야 할지도 모른다. 인간과 더불어 살아가며 인육을 먹어야만 하는 존재나 꿈을 꾸는 사람이 상상하는 무서운 거로 보이는 악몽의 존재나 서로 다른 세계를 잇는 틈이 벌어져 다른 세계로 들어서는 것은 영화나 소설에서 자주 보았던 내용이다. 우리가 상상하는 세계가 작가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느낌이다. 현실에 안주하는 우리는 밖의 세상을 향한 목마름이 있다. 그 목마름을 채워주는 역할이 하는 게 작가라고 할 수 있겠다. 상상하지 못하는 세계에 도달해 마음껏 즐기고 다시 현실로 돌아오는 것을 반복하는 것 같다.

 


파란 수염을 변주한 푸른 머리칼의 살인마, 고양이가 사라진 도시에 새롭게 발견한 고양이의 존재를 알게 한 유니버셜 캣숍의 비밀등은 다른 세계에서 온 존재를 상상하게 한다. 상상의 세계만 다루는 게 아니다. 너무도 현실적인 이야기는 마치 우리의 거울 속을 보는 듯 불편하다.


 

새해엔 쿠스쿠스는 학교를 그만두고 집안에 틀어박힌 한 여성의 이야기다. 사촌 언니와 비교당했던 유리, 학교에서 전공과는 무관한 과목을 가르쳤던 유리는 학생부장의 괴롭힘으로 직장을 그만두었다. 집 앞으로 엄마가 찾아오는 날이 이어지고, 유리는 알 수 없는 번호로 온 문자를 받는다. 모로코, 사막과 쿠스쿠스라는 단어를 보고 과거의 기억을 떠올린다. 부모들이 종종 저지르는 실수 중의 하나가 타인과 비교하는 거다. 친구는 당연하고 형제나 친척들까지 끼는 경우가 있다. 비교당하는 자의 기분은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 복수하는 마음으로 살아간다는 게 어떤 것인지 생각해보게 된다. 부모에게 복수하겠다고 생각한 적은 없지만, 유리나 연우의 입장이라면 가능할 것 같았다. 스치듯 말한 부분에서 힌트를 얻고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훌쩍 떠나는 방법도 있다는 것을 알게 했다. 누군가의 강력한 권유는 이처럼 변화가 필요할 때 더할 나위 없는 방법이 된다.

 




인간의 호흡기에 침투하는 바이러스는 시간이 지날수록 극성을 부릴 것이다. 인간에게 필요 불가결한 요소 중 하나가 공기다. 우리의 미래는 먼지와의 전쟁일지도 모르겠다. 작가들이 그리는 미래의 모습에서 눈에 띄는 한 가지가 바로 미세먼지로 가득한 지구다.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부옇게 가라앉은 지구. 마음껏 숨을 쉴 수 없어 보호구를 착용하고 다녀야 하는 지구를 그려보니 우울하다. 가장 작은 신의 수안은 취업 면접에서 떨어진 날, 급성 먼지바람이 불자 벤치 밑으로 들어가 방독 마스크를 사수하고 일주일 만에 깨어났다. 요양을 위해 자발적으로 집에 틀어박혔다. 생수 배달이 오는 날, 고등학교 동창이라는 미주가 찾아오며 기묘한 만남이 시작된다. 다단계의 영구회원 동의서를 받아야 하는 미주와 그런 미주의 사정을 알면서도 집에 찾아오는 게 싫지 않아 미주의 회사에서 파는 저품질의 제품을 사주고 있었다. 수안에게 영구회원 동의서를 내밀지 못했던 미주는 실적이 좋지 않은 직원들이 가는 야유회에 가야 한다. 미심쩍은 수안은 미주를 구하기 위해서는 집 밖으로 나가야 했다. 용기를 내어 집 밖으로 나섰던 수안의 모습은 투사와도 같다.

 


그러므로, 인간은 타인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다. 인간이 잠들 때 가장 무서운 모습으로 나타나야 할 악몽이 곰으로 나타나는가 하면, 벌어진 틈 사이로 빠져나와 기억을 잃은 릴리가 마지막까지 쥐었던 손에서 들려오는 다정한 목소리. 서로 싫어했던 사촌 자매가 같은 것을 바라보고 그에 대한 꿈을 꾸는 것까지. 마음 한쪽이 차올랐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아직 살 만하다고. 우리 곁에 누군가가 있어 외롭지 않다고 말하는 소설이었다. 비록 다른 존재에게 먹힐지라도, 함께 있다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될 수 있다는 걸 알려주었다.

 

 

#트로피컬나이트 #조예은 #한겨레출판 ##책추천 #책리뷰 #도서리뷰 #북리뷰 #소설 #소설추천 #하니포터 #하니포터4_트로피컬나이트 #한국문학 #한국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