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을 겪은 세대들은 삶과 죽음이 소중함을 깨달아 살아가는 방식이 다른 법이다. 일반적인 전쟁도 그럴진대 나치에게 학살당한 유태인이었다면, 그 삶은 어땠을까. 더군다나 아우슈비츠에서 살아 돌아왔다면. 밤마다 악몽을 꿔 소리 지르며 자식의 잠을 깨웠다는 것. 다른 부모도 똑같이 그런 줄 알았다는 것을 집을 떠난 후에야 알게 되었다는 저자의 말에서 그가 가진 트라우마를 엿보게 된다. 직접 나치를 겪지 않은 저자도 그 부모와 마찬가지로 전쟁의 트라우마를 겪고 있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왜 쥐인가. 유태인을 고양이 앞의 쥐로, 독일의 나치는 고양이로 그렸다. 폴란드인은 돼지로 그려 인간의 세상이 동물의 세계와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나치의 유태인 학살에 관한 역사를 알아왔지만, 이 만화는 더 직접적인 것들을 나타낸다. 저자의 아버지가 겪은 홀로코스트의 증언을 육성으로 듣는 거 같았다.

 


아버지와 가깝게 지내지 않은 아트 슈피겔만은 유태인 학살에 관한 것을 그리기로 하고 아버지가 겪은 이야기를 듣는다. 어머니와 처음 만났던 시절로부터 행복했던 시간과 유태인 학살을 시작한 시기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듣고자 한다. 심장병을 앓고 있는 아버지, 새어머니 말라와 사이가 좋지 않은 것. 나치의 학살 이후로 뭐든 고물을 주워 집안을 채우며 한 푼의 돈도 아끼는 것. 아우슈비츠를 겪은 아버지의 살아가는 방식이었다.

 


전쟁에서 친구라는 게 과연 존재할까. 유태인을 숨겨주어야 할 때는 자기의 목숨까지도 위험한 법. 약간의 돈을 받고 유태인을 숨겨주는 사람들이 있었다. 처음엔 그들이 꼭 돈을 받아야 하나 의문도 들었지만, 그마저도 없으면 길가에 내몰려 나치에게 발각될지도 모른다. 전쟁 상황에 안전한 곳은 없다. 그나마 아트 슈피겔만의 아버지 블라덱에게 돈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전쟁 중에도 금이나 다이아몬드를 돈으로 바꿔 그걸로 먹을 것을 사고 숨을 만한 장소를 찾을 수 있었다.

 


아우슈비츠의 생활도 마찬가지였다. 돈이나 자기가 가진 기술로 책임자의 환심을 사 가족과 연락할 수 있었고, 힘든 일에서 빠질 수 있었으며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 블라덱은 사업 수완이 좋은 만큼 살아가는 수완도 좋았다.

 


만화라는 매체가 가진 특성을 그동안 잊었던 거 같다. 만화가 가진 장점이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다는 거다. 흑백의 그림, 뭉툭한 글씨체, 동물들의 모습으로 나타난 홀로코스트는 어쩐지 우리를 다른 세계로 인도하는 듯했다. 우리가 겪지 않았으나 가슴 아픈 그 시절로 우리를 데려갔다. 쥐와 고양이, 돼지 등 동물들이 나오는 그림은 우리와 전혀 다른 세계인 듯도 했다. 그랬기에 객관적인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었던 것 같다. 히틀러가 저지른 만행은 유럽을 초토화시켰고, 수많은 목숨을 앗아갔다. 인간으로서 해서는 안 될 행동이었다. 하지만 여전히 세계는 이념이나 자국의 이익 때문에 전쟁 중이다.

 


전쟁이 가진 참혹함을 나타내는 것 중 하나가 홀로코스트가 아닐까 한다. 인간을 인간으로 보지 않고 동물보다 못하다고 생각했던 일들이 종종 있었다. 인종이 다르다고 같은 인간을 학살하는 경우는 역사 속에서 존재해왔다. 인간이야말로 가장 잔혹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인간의 존엄성 부재는 늘 존재해왔다.

 


홀로코스트를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 이 책으로 읽어도 역사 공부가 될 듯하다. 역사를 바로 알아야 새로운 역사를 쓸 수 있는 법이다. 어떤 매체로든 역사는 늘 공부해야 하고 또 읽어야 한다. 만화는 접근성이 좋다. 그런 만큼 많은 사람이 읽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아트슈피겔만 #아름드리미디어 ##책추천 #책리뷰 #도서리뷰 #북리뷰 #만화 #소설 #김영하북클럽 #김영하북클럽_3월의책 #김영하북클럽_#그래픽노블 #유럽만화 #퓰리처상 #MAUS #유태인학살 #홀로코스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