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 : 젓가락 괴담 경연
미쓰다 신조 외 지음, 이현아 외 옮김 / 비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시아 문화권은 한자를 기본으로 하는 언어를 사용하며 많은 부분 비슷하다. 젓가락도 그중의 하나로 한국은 주로 쇠로 된 젓가락을 사용하는 반면 다른 나라는 나무로 된 젓가락을 사용한다. 최근 한국의 가정에서도 나무로 된 젓가락을 많이 사용하는데 아마 외국의 영향이 있을 것이다.


 

괴담 소설의 원조라고 할 만한 작가가 미쓰다 신조다. 미쓰다 신조와 홍콩, 타이완 등의 작가가 모여 괴담 경연을 펼친 소설이 ; 젓가락 괴담 경연이다. 타이완의 출판사에서 작품을 기획하여 젓가락을 공통 소재로 삼았다. 젓가락과 관련된 괴담이 이렇게나 많을 줄은 몰랐다. 같은 아시아권이라고 해도 이렇게 다른 이야기가 펼쳐진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3개국의 다섯 명의 작가가 젓가락 괴담을 펼치는데 미쓰다 신조와 쉐시쓰, 예터우쯔, 샤오샹선, 찬호께이가 함께 했다. 이야기는 따로 썼으나 마치 하나의 이야기처럼 여겨진다. 단지 작가의 생각과 그 나라가 지닌 문화가 조금씩 다를 뿐이다. 젓가락은 모두 죽음과 연결되어 있다. 죽은 사람을 위해 짓는 밥을 사잣밥이라고 하는데, 누군가에게 소원을 빌기 위해 밥에 젓가락을 꽂아 두기도 한다. 그게 사잣밥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섬찟할 일이다.

 


밥그릇에 대나무 젓가락 한 쌍을 꽂고 소원을 빈다. 그럼 젓가락님이 나타나 원하는 것을 들어준다. 그 표식으로 팔에 물고기 모양의 모반이 생긴다. 젓가락님에게 무언가를 바라는 사람은 모두 한 초등학교의 교실 안에 있는 꿈을 꾼다. 아홉 명 중 여덟 명이 죽는다. 이 사항은 모두 비슷한 내용이다.

 


미쓰다 신조는 젓가락님에서 아메미야 사토미가 괴담 소설을 쓰는 작가에게 자기가 바랐던 일과 네코 이야기를 전한다. 쉐시쓰는 산호 뼈에서 결혼을 앞두고 위()도사를 찾아가 강령게임이 유행이었던 때 산호로 만든 젓가락을 가지고 다녔던 아이에 관하여 이야기를 한다. 잃어버린 산호 젓가락과 다시 만든 산호 젓가락에 깃든 사연을 말한다. 예터우쯔의 저주에 걸린 물고기는 신냥탄의 귀신 신부에 관한 이야기다. 스튜디오의 활성화를 위하여 가짜로 만들어냈던 젓가락 저주가 실제로 일어난 이야기로 죽음을 부르는 의식이 되었던 이야기다. 샤오샹선의 악어 꿈은 한 매춘부가 들려주는 민며느리의 사연과 괴담 소설가의 강연을 통해 수몰된 B 초등학교에서 일어난 진실을 마주한다. 마지막 편, 찬호께이의 해시노어는 이 모든 것의 해설과 완결을 나타낸다.

 


악어 꿈의 핀천과 저주에 걸린 물고기에서 귀신 신부였던 녜 샤오쿠이가 나와 잃어버린 진실을 꿰맞춘다. 각자의 이야기가 하나로 통합되는 순간이었다. 하나의 주제로 다른 작가가 연작 소설을 쓰는 일은 무척 힘들 거 같다. 작가와 교분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더더욱 힘든 일일 텐데, 마치 한 작가가 쓴 작품처럼 여겨졌다.


 


 

 

자신의 이익과 영달을 위해 이용하는 것과 인간 이외의 존재가 있을 수도 있다는 전제는 우리가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라는 걸 깨닫게 된다. 상상력의 산물일 수 있지만 그렇다고 괴담 소설이라고 하여 무시할 수도 없는 거 같다.

 


소설을 다 읽고 처음으로 돌아가 미쓰다 신조를 다시 읽기 시작하니 그제야 내용이 한눈에 들어온다. 인물들의 다양한 사연과 유기적으로 연결된 사연을 아는 것도 굉장히 재미가 있었다. 앞으로 젓가락을 볼 때마다 젓가락님을 떠올리게 될까 봐 조금은 걱정스럽다. 설마 밥그릇에 젓가락을 꽂아 두고 소원을 빌지는 않겠지.


 

##젓가락괴담 #미쓰다신조 #찬호께이 #쉐시쓰 #예터우쯔 #샤오샹선 #비채 #김영사 ##책추천 #책리뷰 #도서리뷰 #북리뷰 #소설 #소설추천 #괴담 #괴담소설 #젓가락 #홍콩소설 #타이완소설 #일본소설 #리뷰 #도서 #서평 #문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