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모두 집으로 돌아간다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94
마쓰이에 마사시 지음, 송태욱 옮김 / 비채 / 2021년 4월
평점 :
태어나고 죽는 건 인간의 순리다. 삶과 죽음이 한 끗 차이라고 하는 건 아마도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다. 새 생명이 태어나는 순간에 누군가는 죽어가고 있다. 슬프지만 변할 수 없는 현실이다. 물론 현재는 새 생명이 점점 더디 태어나는 게 문제라면 문제다. 젊은 사람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아이를 낳지 않고 젊은이들이 보살펴야 할 노인들의 숫자는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일본도 우리와 다르지 않다.

『여름은 오래 그곳에 남아』의 작가 마쓰이에 마사시는 이번에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있는 인간의 삶을 말하는 소설로 돌아왔다. 홋카이도의 가상의 마을 에다루를 배경으로 하여 소에지마의 3 대 가족을 이야기한다. 조산사로 일했던 요네는 새 생명의 탄생을 나타내고 요네의 세 딸과 아들은 점점 스러지는 생의 마지막을 보여준다. 다만 건강하게 살다가 죽으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많은 사람들의 죽음이 그렇지 못하다는 게 슬프다. 자신의 선택과는 상관없이 기억을 잃어간다. 그럼에도 우리는 삶을 살아간다. 살아가야 한다.
대학교의 교수인 하지메는 도쿄에서의 삶을 정리하고 홋카이도의 에다루로 향한다. 할머니 요네의 조산소가 있었던 곳에는 고모들이 거주하고 있고, 그 옆에 부모님이 살고 있다. 에다루는 그의 기억의 본질이 있는 곳이다. 누나 아유미와 목사의 아들 에토 이치이가 있고 그의 가족과 함께해 온 홋카이도 견이 있었다. 늙은 아버지 신지로를 대신해 하지메가 4 대 홋카이도 견 하루를 산책시킨다.

소설은 요네와 아유미 , 신지로와 하지메, 이치이나 다케시 등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를 한다. 현재에서 과거로 과거에서 더 과거로 흘러들어 지난 역사들을 말한다. 특별한 사건이 있는 게 아니다. 그저 흘러가는 시간. 그 시간 속에 있는 인물들을 말하는 식이다. 누나 아유미와 가즈에나 도모요 고모를 빼놓고는 많은 사람들은 말이 없다. 표현도 제대로 하지 않는다. 주변 사람들이 곤란을 겪을 정도로 말을 아끼는 사람들이라 답답하다.
일본 소설에서는 보기 힘든 신앙에 대한 깊은 고민과 울림이 있다. 목사의 아들인 이치이는 아유미에게 많은 영향을 준 인물이며 아유미의 마지막을 개신교 목사이면서 가톨릭 식 병자성사 즉 종유의 비적을 주는 인물이다. 농장학교의 다케시의 죽음으로 자유를 꿈꾸었던 이치이는 다시 신학으로 돌아왔다. 저마다 방황을 하다 집으로 돌아오며 비로소 마음의 평안을 찾는 것 같다.
다소 심심하게 시작되는 소설이었다. 하지만 소설 속 인물들을 파악해 갈수록 우리는 홋카이도의 에다루에 가 있는 듯하다. 그곳의 정경을 마음속에 그리며 인물들의 서사를 따라간다. 사람들의 죽음이 안타깝지만 삶이라는 게 이런 것임을 깨닫는다. 우리라고 다르지 않다.

자신은 빛을 발하지 않는다. 죽어서 재가 되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아니, 그렇지 않을지도 모른다. 죽어서 남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말이 아닐까, 하고 아유미는 생각한다. (224 페이지 )
사라질 준비. 그것은 큰 고리를 중간 정도의 고리로 줄이는 일. 작은 고리를 중심을 향해 더욱 축소해가는 일, 고리였던 것은 결국 점이 되고 그 작은 점이 사라질 때까지가 그 일이었다. 하지메의 등에서 뻗은 보이지 않는 선 끝에 있는 소실점은 지금 에다루 어딘가에 더는 움직이지 않도록 핀으로 고정되어 있을 터였다. (474 페이지 )
신지로를 포함하여 가즈에와 도모요가 치매에 걸려 자꾸 밖으로 나가고 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장면이 있다. 하지메 혼자서 고모들을 케어할 수 없어 도우미가 오고 결국엔 요양시설로 들어가는 장면에서 우리의 마지막을 예상하게 한다. 하지메도 어느 새 초로의 나이다. 자식이 없는 그 또한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그 끝에 있는 소실점을 향하여 오늘도 발걸음을 하고 있을 것이다. 우리도 하지메처럼 당황해하며 또 적응해갈 것이다. 그게 우리 삶이므로.
#우리는모두집으로돌아간다 #마쓰이에마사시 #송태욱 #비채 #책 #책추천 #책리뷰 #도서리뷰 #소설 #소설추천 #일본소설 #일본문학 #여름은오래그곳에남아 #우아한지어떤지모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