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이야기의 힘 - 대담하고 자유로운 스토리의 원형을 찾아서
신동흔 지음 / 나무의철학 / 202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야기는 상상의 산물이다. 눈을 감고 귀로 이야기를 듣는다. 할머니나 엄마에게서 이야기를 듣는데 우리는 마음속으로 상상의 나래를 편다. 마치 그림처럼 이야기를 떠올리고 그 그림은 수없이 변형된다. 아이들이 어릴적 이야기를 들려달라는 말에 그저 이야기 책을 읽어주었지만 이야기 속에 없는 그 후의 이야기를 자꾸 물으면 나도 몰래 상상으로 지어서 들려주었다. 이런 이야기를 듣고 자란 아이들은 그때 그렸던 그림으로 일생을 사는지도 모르겠다. 아직도 이야기에 목말라하는 내가 어릴 적 들었던 이야기를 잊지 못해서 일수도 있다는 걸 새삼 깨닫는다. 



『옛이야기의 힘』이라고 해서 나는 우리나라에서 구전되어오던 설화 중심으로 펼쳐나갈 줄 알았다. 하지만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페로 동화집, 그림 형제가 수록된 글들이 많았다. 우리나라 이야기나 다른 나라의 이야기의 원형은 비슷하다. 권선징악을 다루는 내용이 많다. 아이들에게 교육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사용했을 이야기다. 어릴 때부터 이야기를 좋아하던 사람들은 아이들에게도 이야기를 들려주는 걸 당연스럽게 생각한다. 그 이야기의 끝이 권선징악이면 더 좋을 일이어서 아마 그렇게 하지 않았을까 싶다. 




저자도 말하였지만, 언젠가 <알고 보면 무시무시한 그림동화>를 보고 그림속에 숨겨진 것들을 읽으며 소름이 끼쳤었다. 이야기라지만 이런 무시무시한 내용이 숨겨진 걸 읽어주어도 되나 싶었던 것도 사실이었다. 하지만 아이들은 아무리 무서운 것도 나름의 시각으로 받아들이고 버릴 것은 버린다는 걸 알게 되었다. 



옛이야기들의 결말은 모두 '오래오래 행복하게 잘 살았습니다'로 끝난다. 그런 이야기를 듣고 자라서인지 드라마나 영화를 볼 때 결말이 다르면 적응이 잘 되지 않는다. 결말을 다시 바꾸고 싶은 생각이 드는 건 나만 그럴까. 그렇지 못한 세상이니 착한 사람이 대우 받고 사는 사회였으면 하는 바람일지도 모르겠다. 



옛이야기 속 주인공들에게는 항상 시련이 따른다. 가난하게 살기도 하고 부자인 아버지의 재산을 갖기 위한 시험에 들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주로 시험에 들게 되는 건 세 아들이나 세 딸들이다. 욕심많은 첫째와 둘째와 달리 셋째는 마음이 선하고 아버지를 지극히 사랑한다. 가난하고 약한 사람들의 말을 무시하지도 않는다. 그들의 말을 경청하고 도와주면 그것보다 배를 더하여 도움을 받는다. 더불어 삶의 지혜를 갖는 건 당연하다. 저자는 많은 이야기 속에서 삶의 진실이 담겨 있음을 말하였다. 백설공주의 의붓 어머니에게는 편견과 질투로 눈이 먼 우리의 자화상이 아닌가 했다. 



세상의 거친 회오리 속에 감춰진 '태초의 알에 노른자처럼 숨어 있는 구슬은 원형적 생명을 암시합니다. 수정 구슬이니 투명하고 강한 생명의 힘이지요. 그것은 앞에서 본 요하네스와 통하는 무엇, '참 자아'로 보면 딱 어울립니다. 요하네스를 작고 투명하게 응축한 구슬 정도로 생각하면 되겠어요. 나를 나답게 하는 정수(精髓)이지요.

이것을 상실하면 인간은 자기 삶을 살 수 없습니다. 첫째 아들처럼 깊은 바다 속을 헤매며 한숨을 토해냅니다. 본연의 생명력과 아름다움을 잃은 채 공주처럼 어둠 속에서 눈물을 흘리고, 막내아들처럼 가야 할 바를 모른 채 드넓은 세상을 방황하게 되지요. 마침내 그것을 찾아낼 때 모든 문제는 한꺼번에 해결됩니다. (159페이지)



그림민담 <수정구슬>에 대한 이야기의 부연 설명이다. 민담에서 수정구슬을 얻기 위한 싸움을 우리의 삶에 맞딱뜨린 것들과 비교하여 설명했다. 삶을 살아가는 동안 지속해야 할 힘겨운 싸움이며 그것을 찾는 소명이라고 말이다. 




구전되어오는 이야기는 조금씩 변형되기 마련이다. 할머니들도 손자들에게 이야기를 들려 줄때 호기심에 자꾸만 더 깊은 내막을 물으면 덧붙여 이야기를 꾸며내기도 한다. 페로 동화집같은 경우는 작가가 윤색을 많이 하였고 그림 형제는 구전되어온 이야기를 원형에 가깝게 충실히 수록되어 있다고 했다. 책으로 엮어진 건 좀더 원형에 가까운 게 좋다고 본다. 들려주는 이야기와는 별개로 말이다. 그래서 저자는 그림 형제의 민담을 더 많이 수록하였다. 더불어 비슷한 이야기를 서로 비교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콩쥐팥쥐>나 그림 형제의 <재투성이 아셴푸텔>에서 왕자가 화려한 신데렐라보다는 진정한 모습을 발견하게 하는 것까지 설명하였다. 



옛이야기는 변화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세상에 숨어 있는 무한한 변화의 가능성을 찾아내서 그것을 실현시키지요. 변화는 좋은 방향으로도 나쁜 방향으로도 펼쳐집니다. 공통점이 있다면 그 과정이 놀랍고 극적인 동시에 매우 정합적이라는 사실입니다. (404페이지) 



꽤 두꺼운 책이지만 다양한 옛이야기에 이끌려 즐겁게 읽었다. 다양한 옛이야기는 권선징악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우리가 어떤 삶을 살아야 할지를 말하여 주기도 한다. 상대의 마음을 짐작하기에도 좋고 삶의 지혜를 찾기도 쉽다. 무엇보다 옛이야기를 읽고 있으면 어릴적 시간으로 돌아가는 것 같다. 아이들과 함께 읽어도 좋겠다. 어느 페이지를 펼쳐 읽어도 좋을 값진 옛이야기다. 



#옛이야기의힘  #신동흔  #나무의철학  #책  #책추천  #책리뷰  #구전설화  #구비문학  #고전설화  #스토리원형  #전래동화  #구비설화  #문학치료  #세계동화  #그림형제  #이야기  #옛이야기  #민담  #그림민담  #토네이도출판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